View : 11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연경-
dc.contributor.author박선영-
dc.creator박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6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18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183-
dc.description.abstractAccording to the record environment which changes suddenly and user demand,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should be supported by a continuing education which is professionalized in the business center certainly to play an new role in system analysis, digital asset administration and user education as well as the records management business which is traditional. Through the continuing education,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can secure a professionalism and participate in changes to the environment spontaneous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sent status of a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to analyze whatever problems that may exist in the current system,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continuing education. So, the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a survey were carr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re was to observation that the change with record environment will affect in records management business and changes of the role of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Also, by observing the concept and a necessity of the continuing education, this study brought a direction of a continuing education of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Next,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s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of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was examined through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The Research Institute for Korean Archives and Records and The Korea Association of Archives Management. The examples of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by the NARA, SAA, TNA, SoA, NAA and RMAA were anaylzed and there are implications for Korea's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The last,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81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degree, all agreed that there is a need for continuing education for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The most agreed reason for this was to widen knowledge for performing their duties. Second, in a participation degree, while 44.3% was awared the opportunities of the continuing education of 4-6 times at two year, 47.5% participated to the education of 1-3 times. The participation rate was short of half. The main obstacle factors of continuing education activity of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were investigated with the business blank in period of education participation and the absence of the suitabl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Third, most common types of continuing education were a workshop, a seminar, a scholarly meeting but satisfaction rates were pretty low. The highest remark of dissatisfaction was that it was mostly non-relevant to their duties and the absence of continuity in education. Fourth, most common contents of continuing education were various, but the satisfaction rates were 30% on the average because of non-relevance to their duties and a short period of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ack of suitable programs, this study surveyed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for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components. A program's components derived from the survey is as follows. The program includes the most wanted courses such as Arrangement and Description, Appraisal, Reference, Electronic Records. National Archives of Korea which can perform systematic and powerful public relations and activity execute this program, type of the education is specialized short-term course and duration of the education should be no longer than a week. Courses should be constantly evaluated by means of discussion, examin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regular reports. There should be overall evaluations following a completion of the program, with the results of these evaluations applied, when applicable, to develop better programs in the future. Through this study, problems of Korea's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of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were anaylzed and improvement plans for effective continuing education of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a survey. This study suggested institutional complementary plans and program execution plans as improvement plans of continuing education of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As institutional complementary plans, the credit system and promo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for stable oper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In addition, function of the complete charged organization of continuing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develop a systematic education through educational guidelines and work analysis. Program execution plans were suggested in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operation. In education contents, in-service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by understanding potential participants' needs and developing educational guidelines. In education operation, various forms of the education, systematic appraisal, assurance of professional instructors should be offered. In addition, education should be operated efficiently by cooperating with other organizations and introducing CPD.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improvement plans of continuing education of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reflecting on servic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needs based on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a survey.;급변하는 기록 환경과 이용자 요구에 따라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이 전통적인 기록관리 업무 수행의 역할과 함께 시스템 분석, 디지털 자산관리, 이용자 교육 등 새로운 역할까지 수행하기 위해서는 업무 중심으로 전문화된 계속교육이 반드시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은 전문성을 확보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을 위한 계속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실무자들이 원하는 전문화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현장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요구를 파악하여 수용하기 위한 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앞으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계속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사례분석,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기록 환경의 변화가 기록관리 업무에 미친 영향과 이에 따른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역할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계속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을 살펴봄으로써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계속교육 방향을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국가기록원, 한국국가기록연구원, 한국기록관리협회의 계속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계속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미국, 영국, 호주의 국립기록관, 기록전문협회의 기록관리 계속교육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국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계속교육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교육내용, 방법, 시간 등 실무자들이 원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대해 파악하였다. 설문조사는 국가기록원에서 2009년 발간한 「국가기록포럼자료집」을 참조하여 2009년 현재 배치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8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 전체가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을 위한 계속교육에 대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필요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계속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업무 수행에 필요한 주제 분야의 지식을 확장시키기 위해서’가 주된 이유로 조사되었다. 둘째, 계속교육의 참여정도는 알고 있던 교육의 절반 정도에 실제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의 장애요인은 교육 기간 동안의 업무 공백과 적합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부재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참여한 경험이 가장 많은 교육유형은 워크샵, 세미나, 학술회의였으나 만족도가 낮았으며 그 원인으로는 실무와의 연계성 부족과 교육의 연속성 결여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참여경험이 있는 계속교육의 내용은 어느 한 분야에 치우치지 않고 필요성 또는 관심도에 따라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 실무와의 연계성 부족과 교육기간의 문제로 인해 만족도가 평균 30% 정도에 그쳤다. 본 연구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계속교육 활성화를 위해 이상에서 밝혀진 계속교육 참여의 장애요인 중의 하나인 적합한 계속교육 프로그램의 부재요인을 해결하기 위해 실무자들이 원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이 원하는 프로그램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먼저 교육내용으로는 정리와 기술, 평가, 기록정보서비스, 전자 기록 영역을 선호하였고, 교육유형으로는 전문 주제별 단기교육을, 교육기간은 1주 이내를 선호하였다. 교육과정을 제공할 기관으로는 체계적이고 강력한 홍보와 활동이 가능한 국가기록원을 추천하였고, 평가는 교육과정별 평가로는 발표 및 토론을 선호하였으며 전 교육과정 수료 후 프로그램 전반에 관한 평가를 수행해 프로그램 개선에 반영하기를 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 사례분석, 설문조사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하고 있는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계속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계속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계속교육을 위한 개선 방안으로 제도적 보완 방안과 프로그램 실행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도적 보완 방안으로는, 계속교육의 안정적 실시를 위해 학점제 및 승진제도를 도입해야 한다. 또한, 계속교육 전담기구의 기능을 강화하여 교육지침을 설계하고 직무분석을 통한 교육내용을 개발함으로써 기록관리 계속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프로그램 실행 방안으로는 교육내용과 교육운영 측면을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교육내용 측면에서는 교육수요자들의 요구를 반영하고 계속교육 지침을 개발하여 실무 중심의 교육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다음으로 교육운영 측면에서는 교육유형을 다양화하고 평가방법을 체계화하며 전문 강사를 확보하여 교육시켜야 한다. 또한 각 기관간 연계교육을 실시하고 CPD 제도를 도입하여 교육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사례분석, 설문조사 결과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현장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들의 요구를 반영한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계속교육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2 C. 선행연구 = 4 Ⅱ.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계속교육 = 10 A. 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역할변화 = 10 B. 계속교육의 필요성과 특성 = 15 Ⅲ. 계속교육 프로그램 현황과 사례분석 = 21 A. 국내 계속교육 현황 = 21 B. 국외 계속교육 사례 = 31 C. 국내 설문 조사 = 51 Ⅳ. 계속교육 개선 방안 = 74 A. 제도적 보완 방안 = 74 B. 프로그램 실행 방안 = 80 Ⅴ. 결론 = 97 참고문헌 = 101 부록 1. 국내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대상 질문지 = 107 부록 2. 국내외 계속교육 프로그램 = 118 ABSTRACT =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051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기록물관리 전문요원의 계속교육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Improving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for the Archivists and Records Managers-
dc.creator.othernamePark, Sun young-
dc.format.pageⅸ, 13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기록관리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