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3 Download: 0

성매매특별법의 입법과정에 대한 연구

Title
성매매특별법의 입법과정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Legislative Process of Anti-Prostitution Act
Authors
김지혜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선욱
Abstract
When Anti-Prostitution Act was enforced, prostitutes, regarded as the recipients of the law, resisted to it and began struggles for right to live or sex workers' movements. In the academic world or among citizens, disputes are continuing on legitimacy and effectiveness of the law, and criminality of prostitution. However, Anti-Prostitution Act doesn't give us an answer on such controversial matters. Because, a definite purpose of legislation and benefit & protection of the law can't be drawn through the present interpretation based on the substantive enactment of the law. So, this thesis begins from the question "what for Anti-Prostitution Act was enacted, what social and historic context it has, and what limitation of the legislative process caused such strong resistance and disputes." First, as for the limits of the process preparing for the bill, though there was little understanding on the "voluntary" prostitutes, prostitution was returned to violence to women unconditionally. Second, because of concentration on gender power relationship, it was short for considering hierarchy of sexuality which moralism intervened and difference among women. Third, the provision of "Human Trafficking and Forced Prostitution" in the international treaties was applied to generals of prostitution. So it was used as the ground to support the principle to prohibit prostitution. Fourth, without any consideration on the criminal code, used the criminal law as the short-term policy means for the end of prostitution, and tried to change the social culture and structure through the fact of " prostitution is a crime". Fifth, set the aim of ending prostitution through the criminal penalties and regulations at the ideal and righteous level without considering competence of policy execution. Sixth, it wasn't prescribed in the bill why prostitution has to be eradicated through punishment, so the purpose of the law has the indistinct limit. Next, as for the evaluation of the bill by the national assembly, for the short-term evaluation periods, negotiation and compromise were mainly done rather than argumentation and discussion. In spite of many disputes on the criminalization of prostitution, the processes to make benefit & protection of the law of prostitution and discuss legitimacy of the penalty were omitted. Participation of the prostitutes was excluded. Their demands were only interpreted, reorganized, and expressed vicariously by activists of women's organization. Finally, the social situations and political dynamics were analyzed, which made legislation of Anti-Prostitution Act possible despite of many limits. Recurring events of 'Fire Tragedy of Gunsan Prostitution Area' caused public rage and recognized as the index of 'Slavery Prostitution and Confinement Prostitution' to show present Korean situation of prostitution. Women's organizations spread movements for Anti-Prostitution and enactment of Special Law on Prostitution based on the reinforced competence. And they used political conditions properly including 2002 presidential election and exchange of the Executive, 2004 general election, women networks of the Assembly and the Executive. In addition, a few conditions acted favorably on the legislation of the law prohibiting prostitution including the lowest grade of Korea in the Trafficking in Persons Report of U.S. Department of State, less conflicts owing to indifference of the press in the evaluation, existence of the social agreement to the eradication from the historic approach as the prostitution issue was presented as one of the national plundering. However, it seems to be factors concealing the concrete situations of prostitutes.;성매매특별법이 시행되자 법의 수혜자로 지목되었던 성판매 여성들이 반발하며 생존권 투쟁이나 성노동자 운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학계와 시민들 사이에서도 법의 정당성이나 실효성, 성매매의 범죄성에 대한 논란들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성매매특별법은 이러한 논란에 대해 마땅한 응답을 해주지 못하고 있다. 법의 명문규정을 근거로 해석하는 방법으로는 명확한 입법목적과 보호법익을 도출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성매매특별법이 어떠한 사회적이고 역사적인 맥락에서 어떤 과정을 거쳐 무엇을 위해 제정된 것인지, 입법과정에서 어떠한 한계들이 있었기에 이렇게 거센 반발과 논란들이 일어나게 됐는지”에 관한 물음에서 출발하고 있다. 먼저, 법률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의 한계점들을 살펴보았다. 첫째, 당시에는 재현의 과정을 거친 “피해자”로서의 성판매 여성의 삶의 단면을 간간히 접할 수 있었고, “자발적인” 성판매 여성들에 대해서는 아는 것이 거의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성매매는 무조건적으로 여성에 대한 폭력으로 환원되었다. 둘째, 성을 불변하는 젠더로 분석하여 “여성” 대 “남성” 간의 권력관계에 치중하느라 도덕주의가 개입된 섹슈얼리티의 위계의 문제와 여성간의 차이를 고려하는 데 미숙하였다. 셋째, 국제협약의 ‘인신매매와 강요된 성매매’에 관한 조항이 성매매 일반의 경우에 적용되어 성매매 금지주의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되었다. 넷째, 형법에 대한 성찰 없이 형법을 성매매 근절 목표를 위한 한시적인 정책적 수단으로 활용하여, ‘성매매는 범죄’라는 사실로 사회문화나 구조를 바꾸려고 하였다. 다섯째, 정책집행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이상적이고 당위적인 수준에서 형사처벌과 단속을 통한 성매매 근절 목표가 설정되었다. 여섯째, 왜 성매매를 처벌함으로써 근절하고자 하는지가 법안에 드러나지 않아, 법의 목적이 불분명한 한계를 지닌다. 다음으로 국회의 법안 심사과정을 분석해 보면, 입법당시 단기간의 심사기간 동안 논증과 토론보다는 협상이나 타협이 주가 되었다. 성매매의 범죄화에 대하여 상당한 논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매매죄의 보호법익을 구체화하고 그 처벌의 정당성에 대하여 진지하게 논의하는 과정은 생략되었다. 성판매 여성들의 참여는 배제되었고, 성판매 여성들의 요구는 여성단체 활동가들에 의해 해석되고 재구성되어 대리 표출된 게 전부였다. 마지막으로, 많은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성매매특별법의 입법이 가능했던 당시의 사회적 상황 또는 정치적 역학을 분석해보았다. 연이은 ‘군산 성매매업소 화재참사사건’은 사회적 공분을 일으켰고, 한국의 성매매 실태를 드러내는 ‘노예매춘, 감금매춘’의 지표로 인식되었다. 여성단체들은 강화된 역량을 바탕으로 성매매 반대 및 성매매특별법 제정 운동을 전개하였고, 그 과정에서 2002년 대선 및 행정부의 교체, 2004년 총선, 국회와 행정부의 여성네트워크 등의 정치적 조건들을 적절히 활용하였다. 또한 미국무부의 인신매매보고서에서 한국이 최하등급 판정을 받은 점, 언론이 심사과정에 무관심하여 갈등을 줄일 수 있었던 점, 성매매이슈가 민족 수탈의 일환으로 제기되면서 역사적으로 근절해야 한다는 사회적 당위성이 있었던 점 등이 성매매 금지주의 입법에 유리하게 작용하였으나, 성판매 여성들이 놓인 구체적인 상황들은 가리게 만드는 요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