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조동호-
dc.contributor.author김애영-
dc.creator김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50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505-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proposes a direc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eaching artist training system in Korea, based on the notion and training case studies of USA. In addition, this dissertation aims to increase the quality of artist training in Korea,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making Korea more developed nation. Through extensive research on the history and understanding of teaching artist concept, applied with the current USA training system and case studies, following measures for artist training system in Korea are suggested as below: 1) The term ‘teaching artist’ is the combination of an artist and a teacher, which is the most suitable term as it refers to those who teach arts education. 2) Arts colleges and regional arts institutions are needed to promote efficient teaching artist training and management. 3) Arts colleges and arts organizations should be authorized to give certifications and other methods of accreditation to skilled teaching artist. 4) Teaching artist selection process should be more rigorous. It also needs mentoring program and establishing a more intimate partnership between teaching artist and public schools. 5) Full-time employment should be offered to teaching artist so that they can manage class effectively and gain more respect with their profession from the genera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provid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rtist training system in Korea. Although Korea system for arts policy and environment are different from USA, by examining the case studie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rtist in Korea could be achieved faster. As it was the first attempt in researching teaching artist training system through USA case studies, one expects for further in-depth research in the future.;본 연구는 예술교육의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미국에서 생겨난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개념과 교육 사례를 통하여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구축의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고 이를 통한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질적 성장이 국내 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에 영향을 미처 우리나라가 예술교육 선진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예술교육과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흐름과 개념을 통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삼고자 하였고 미국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현황과 교육 시스템 사례를 통하여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구축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예술교육을 행하는 예술가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를 제안하였다. 이는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정체성인 ‘예술가’와 ‘가르치는 자’, 두 가지 의미를 모두 내포하고 있는 용어이기 때문이다. 둘째,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효과적인 교육과 관리를 위하여 예술대학기관과 지역예술기관(지역센터 포함)에서 교육할 것을 제안하였다. 셋째,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자격증과 인증제도는 예술 대학과 지역예술기관에 그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해당 기관의 공신력과 지역에서의 예술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높이도록 제안하였다. 넷째,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를 선발함에 있어 더 엄격한 선발기준을 적용할 것과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능력향상과 효과적인 수업 진행을 위하여 멘토링 제도 도입, 그리고 학교및 교사와의 긴밀한 파트너쉽 형성을 제안하였다. 다섯째,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를 고용함에 있어 현재의 파트타임제에서 풀타임제로 변화해 갈 것을 제안했다. 풀타임제로의 변화는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가 사회 속에서 직업으로써의 지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예술교육 활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해 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사례를 통하여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의 나아갈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미국과 국내 예술정책과 환경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앞선 사례를 살펴보는 것은 시행착오를 줄이게 해 줄 뿐만 아니라 이 분야의 발전을 좀 더 앞당길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에 있어 미국 사례 조사를 처음 시도한 것으로 앞으로 더 많은 사례 연구를 통한 깊이 있는 연구들이 활발히 일어나길 기대해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의 및 목적 = 1 B. 연구 방법 = 2 C. 선행연구 분석 = 3 Ⅱ.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의의와 흐름 = 6 A.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의의 = 6 B. 예술 교육과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흐름 = 9 1. 프랑스 = 10 2. 영국 = 12 3. 미국 = 13 4. 국내 = 16 Ⅲ. 미국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현황 분석 = 21 A. 미국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현황과 정의 = 21 B. 미국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사례 연구 = 25 1. 뉴욕 링컨센터예술교육원(Lincoln Center Institute for the arts in education) = 26 2. 어반 게이트웨이 예술교육센터(Urban Gateway Center for Arts Education) = 33 3. 뮤직 센터(The Music Center) = 40 4. 뉴욕필하모닉(New York philharmonic) = 47 5. 줄리어드 스쿨(The Juilliard School) = 49 6. 필라델피아 예술대학(The University of the Arts in Philadelphia) = 56 C. 미국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사례 평가 = 61 Ⅳ.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현황 분석 = 64 A.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현황과 정의 = 64 B.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사례 연구 = 66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 66 2. 서울문화재단 = 77 C. 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사례 평가 = 86 Ⅴ. 제안 = 87 A.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의 명칭 = 87 B.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기관 = 89 1. 예술대학 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프로그램 = 90 2. 지역 예술기관의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프로그램 = 93 C. 자격증(certification)및 인증제도 = 95 D. 교육 프로그램과 파트너쉽 = 97 1. 선발기준 및 과정 = 98 2.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과정 = 99 3. 멘토링 제도 = 101 4. 학교 및 교사와의 파트너쉽 = 101 E. 고용제도 = 102 Ⅵ. 결론 = 104 참고문헌 = 106 Abstract = 11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516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국내 예술가 교사(teaching artist) 교육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미국 사례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aching artist training system in Korea: focused on the USA case studies-
dc.creator.othernameKim, Ae Young-
dc.format.pageⅵ,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