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원숙연-
dc.contributor.author문정희-
dc.creator문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5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570-
dc.description.abstractToday, in the community of governmental officials, one of representative organizations in the public sector, constituent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re very important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However, the realization of cooperation among individuals and constituents in the community of governmental officials cannot be easily expected without its directors' excellent leadership. In addition, superior officials' leadership seems to be desperately necessary for the constituents' united achievement of organizational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governmental offici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upon job satisfaction. For this, the investigator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of governmental officials in Dongducheon City and then empirically analyzed collected data.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examined preceding studies and literature. As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of 300 officials who were working for Dongducheon City, the investigator used self-reporting type questions. In order for the theoretical examination-based verification of study hypothesis, questions on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were extracted from a variety of papers. And the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questions was enhanced and total 40 questions which were appropriate for study purposes and study subject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s for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questionnaire, the investigator set 20 questions for the examination of leadership, 15 questions for the examination of disposi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5 questions for the examination of disposition of transac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10 questions were set to examine officials' job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study subjects' demographic features, 8 questions were set. The method of answer was bipolar distribution of 'disagree-agree' and Likert 5-point scale and nominal scale were used. This study was consists of five chapters. In the first chapter of introduction, the goal, necessity, content, subject and method of study were described. In the second chapter of examination of theoretical background, important conceptions of leadership were established and the conception and component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were described. In addition, the theory of job satisfaction was arranged. Preceding studies were introduced mainly in relation to leader,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In addition, officials' job satisfaction and its influential factors were presented. In the third chapter of survey design, the investigator established the model, hypothesis and analytic model of study as analytic tools for the empirical analysis of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described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variables, the composition of measures, the selection of study subjects,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the composition of questionnaire and the technique of analysis. In the fourth chapter of analysis of study finding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ing tools were analyzed together wit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he empirical examination of study samples' characteristics and hypothese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job satisfaction of governmental officials in Dongducheon City for superior officials' leadership seems to be positive in general. First, superior offici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better influence upon the job satisfaction of governmental officials in Dongducheon City than their transactional leadership does. Second, subordinate officials seem to feel job satisfaction from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personal consideration and superior officials' motivation.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ransformational-transactional leadership, subordinate officials' gender seem to have influence upon job satisfaction. When superior officials' leadership is transformational, job satisfaction is bigger in general than their leadership is transactional. And personal consider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the subordinate officials' satisfaction for superior officials. Therefore, study findings show that superior officials' leadership, one of personnel management elements, has a great influence upon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 of governmental officials, and superior offici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influence upon subordinate official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eems to be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the role and direction of a superior governmental official as a leader. It is because superior offici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s very important in the organization of governmental officials.;오늘날, 우리나라 공공분야의 대표적인 공무원사회에서 조직의 발전은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협조가 매우 중요하며, 개인과 소속 집단 구성원의 협조는 그 조직이 속해 있는 관리자인 상사의 탁월한 리더십이 없이는 실현을 기대할 수 없다. 또한, 그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조직원들의 단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상사의 리더십 발휘가 절실히 요구 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조사에서는, 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동두천시 공무원 조직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실증분석을 하였으며, 기존 논문들을 살펴 선행연구들을 검증하여 보았고, 문헌연구도 병행하였다. 이 설문조사는, 동두천시청 소속 공무원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설문지에 자기기입(Self-Reporting)방식을 적용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 본 조사에 사용된 설문은 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한 가설 검증을 위하여 여러 가지 논문들 중에서 리더십과 직무만족에 관한 문항들을 발췌한 후 문항에 대한 이해 정도를 제고하였고, 본 연구의 목적과 조사대상 조직의 특성에 적합한 문항을 총 40문항으로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의 구성과 내용을 살펴 보면, 리더십을 측정하는 문항은각 각 20개로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 성향을 측정하는 문항 15개와, 리더의 거래적 리더십 성향을 측정하는 문항 5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10개 문항의 공무원의 직무만족을 측정하는 문항이 구성되어 있고, 인구 통계학적 부분을 질문하는 8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문항의 답변방식은 ‘ 반대-동의’의 양극으로 배분된 리커트 5점 척도 및 명목 척도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제1장 서론을 통하여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과 연구의 내용,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고,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에 관한 고찰로서, 리더십에 관한 주요개념을 규정하였고, 리더십중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에 관한 개념과 구성요소, 직무만족의 이론를 정리하여 기술하였고, 선행 연구 검토 부분에서, 리더,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를 기술하고, 또한 공무원의 직무 만족과 직무만족의 영향요인에 관하여 기술하였다. 제3장 조사 설계에서는 분석모형 조사도구의 설계로, 연구의 모형, 가설의 설정, 분석모형을 설정하여,리더십과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분석 및 가설 설정이 이루어 지고,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척도의 구성,자료의 수집방법으로 조사대상자 선정 및 수집방법, 설문지 구성 및,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조사 결과 분석으로, 표본의 특성, 실증분석 및 가설검증으로 측정도구의 신뢰성 분석과 타당성 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요약 및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동두천시 공무원은 상사인 리더에 대한 직무만족 정도는 대체로 만족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동두천시 공무원 조직에서는 상사가 거래적 리더십보다 변혁적 리더십을 사용할 때 부하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부하 공무원은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개인적 배려와 상사의 동기부여에 대한 직무만족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부하의 성별에 따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의 리더십형태가 변혁적 리더십일 때, 대체로 직무만족이 커짐을 알 수가 있으며,개인적 배려가 상사 만족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로 볼 때, 공무원조직에서 어떠한 요인보다 인간관리 분야인 상사의 리더십이 조직의 유지 및 발전에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으며 상사가 리더로서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변혁적 리더십을 충분히 살리는 리더십을 발휘할 때 부하직원들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을 알 수가 있으며, 공무원조직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의 중요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으므로 상사가 리더로서 역할과 활동 할 방향을 제시하여 준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필요성 = 3 C. 연구의 범위 및 구성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주요개념의 규정 = 6 1. 리더십에 대한 고찰 = 6 가. 리더십에 관한 연구 = 6 나. 리더십 이론의 발달과정 = 7 다. 변혁적 리더십 = 9 라. 거래적 리더십 = 25 마. 현대 조직에 있어서 리더십의 중요성 = 36 2. 직무만족 = 38 B. 선행 연구 검토 = 41 1.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 41 가. 거래적 리더십 = 41 나. 변혁적 리더십 = 44 2. 직무만족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 47 가. 직무만족의 중요성 = 47 (1) 개인적 측면에서의 중요성 = 47 (2) 조직적 측면에서의 중요성 = 48 나. 공무원의 직무만족 = 49 (1) 공무원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 = 50 다. 직무만족의 영향요인 = 51 (1) 직무만족의 결정요인에 대한 이론 = 52 (2) 2요인 이론 = 56 (3)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 = 58 Ⅲ. 조사 설계 = 61 A. 분석 모형 = 61 B. 조사도구의 설계 = 63 1. 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척도의 구성 = 63 가. 변수의 조작적 정의 = 63 나. 척도의 구성 = 65 2. 자료 수집 방법 = 68 3. 자료 분석 방법 = 70 Ⅳ. 조사결과 분석 = 71 A. 표본의 특성 = 71 B. 측정도구의 평가 = 73 1. 신뢰성 분석 = 74 2. 타당성 분석 = 75 C. 조사결과의 분석 = 79 1. 직무만족에 대한 독립변수와의 상관관계 = 79 2. 회귀분석 = 82 가. 변혁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 = 83 나. 거래적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관계 = 84 다. 리더십과 직무만족요인과의 관계 = 86 Ⅴ. 연구의 요약 및 결론 = 90 A. 연구결과의 종합 = 90 B. 연구결과 및 시사점 = 94 C. 연구의 한계점 = 95 참고문헌 = 97 부록(설문지) = 102 ABSTRACT = 10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473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공무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방자치단체 동두천시 공직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Goverment Offica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 Focused on governmental officials in Dongducheon City-
dc.creator.othernameMoon, Jeong-Hee-
dc.format.pageⅹ, 10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