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류정아-
dc.contributor.author곽노현-
dc.creator곽노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4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61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617-
dc.description.abstractThe following report is mainly classified into two sections. The first section focuses on increasing the approach of women cultural activity, The second section is to derive social participation of women from their cultural activity. Recently, women have been prosperous activity pattern in diverse fiel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articipation, women participation ratio in cultural field has been increased. Especially high participation ratio has been demonstrated on media field which is mostly online. The limitation of accessibility and economic condition, such as 'limited approach on cultural activity with movement', 'economic burden in terms of direct investment' shown by previous women cultural activities, 'Creative Art Activity', 'Viewing Public Performance Activity', 'Culture and Art Club Activity', and so forth. In addition, media development, general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media equipment through drop in cost gave women more opportunity to access cultural activity in media field. Accordingly, this report focused on 'media' as a medium for women to expand accessibility of cultural activity. Media, not only intrigues the attention of audience but is also an area to easily attract a formation of bond on audiences' sympathy through second-hand experience such as a movie and an image than other cultural field. Nevertheless, Media field demonstrates limitation on cultural participation of diverse class due to the mixture of network ,tools and contents and drastically fast speed of development and change. This threatening factor also limits diverse women class participation on cultural activity through media. As a result, this report focused on local women media movement as an alternative method to settle down the limitation and difficulty. Local media movement has strong bonds with the trend of feminism movement, however, it is also tied with cultual activity field due to the usage of media. In other words, this report chose cultural activity in use of 'media' as a way of extending the women cultural activity approach which suggests 'local women media movement' that practices existing media and hurdle over the limitation of cultural activ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program hosted by local women media movement such as media education, women film screening, movie production, related manpower training education was deeply tied with women cultural activity and provided smooth local media access of women. The point is that cultural activity of women centered on local women media movement creates the additional effect besides synergy with cultural activity for women based on academic impact of women in contrast with existing cultural activity such as 'Creative Art Activity', 'Viewing Public Performance Activity', 'Culture and Art Club Activity'.So, it affects women to establish women self-identity, define femininity, and form empowerment and community spirit. And women not only participate in cultural activity through local women media movement but also join the society through the elevation on social analysis and self-identity. The ultimate objective of this study, regarding approach of women cultural activity on media and extension of women social participation, is to broaden the cultural activity of women and enhance the women rights through extending women cultural activity access and elevating the worth of media activity for women's self-realization. Thus, local women media movement would be socially extended as important activity because it is not only to support women with approach on cultural activity with media, but also to connect women with social participation. However, local women media movement currently have some shortcoming points on insufficiency of social awareness regarding activity, absence of fixed human resource and deficiency of manpower operation, difficulty on financial infra, lack of networking with related local women media activity groups lack of association with local image media center, deficiency on facility and equipment. Eventually, this report suggested 8 issues that discover and train women media activist, intensify the capability of the activists maintain the fixed human resources toward education such as workshop, obtain female workforce accessible to isolated women, supply finance and hard-infrastructure, builded cooperation with diverse association such as local image media center establish self-identity of local women media movement, proliferate local women media movement toward progressive public relations. and conduct systematic programs for extending women participation.;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여성들의 문화활동 접근을 확대시키는 것이고, 둘째는 문화활동을 통해 여성들의 사회참여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최근의 여성들은 다양한 영역에서 활발한 활동양상을 보이고 있다. 문화영역에서 역시 여성은 기존 대비 참여율이 높아졌으며, 특히 온라인이 주요 플랫폼이 되는 미디어 영역에서 높은 참여율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여성 문화활동 ‘창조 예술활동’, ‘공연 관람활동’,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 등에서 나타났던 ‘이동에 의한 문화활동 접근의 한계’, ‘직접 투자에 의한 경제적 부담’ 등의 접근성 및 경제여건의 한계가 미디어 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물론 여기에 미디어의 발달, 가격하락으로 인한 미디어기기의 일반화 및 보급의 활성화는 여성들이 미디어 영역의 문화활동을 접근하는데 보다 용이하도록 힘을 실어주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여성들의 문화활동 접근을 확대시킬 수 있는 매체로써 ‘미디어’를 주목하였다. 미디어는 관객 반응을 쉽게 끌어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영화와 영상 등을 통한 간접경험으로 관객 간의 공감대 형성을 다른 문화영역에 비해 쉽게 유도할 수 있는 영역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디어 영역은 네트워크, 기기, 콘텐츠 등이 융합되어 있는데다가 대단히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변화하기 때문에 다양한 계층이 문화활동에 참여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는 영역이다. 그리고 이러한 위협요소는 다양한 계층의 여성들이 미디어를 활용한 문화활동에 참여하는 데 있어서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점과 어려움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대안으로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을 주목하였다.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은 페미니즘 운동의 흐름과 긴밀한 연계를 맺고 있지만 미디어라는 매체를 활용했기 때문에 문화영역과도 관련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논문에서는 여성들의 문화활동 접근을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미디어’를 활용한 문화활동을 선택하였고, 여기서 다시 기존의 미디어를 활용한 문화활동의 한계점을 극복시킬 수 있는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을 제안한 것이다. 연구결과, 지역여성미디어운동에서 진행되는 미디어교육, 여성영화상영, 영상제작, 관련 인력 양성교육 등의 프로그램은 실제로 여성의 문화활동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고, 지역 내의 여성이 미디어의 접근을 원활하게 하는 데 용이했다. 주목해야 할 것은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을 통한 여성들의 문화활동은 창조예술활동, 공연 관람활동, 문화예술 동호회 활동 등으로 분류되는 기존의 문화활동과는 달리, 여성학 적인 면이 가미되어 있기 때문에 여성들에게 문화활동으로 인한 시너지 외의 효과도 함께 창출된다는 것이었다. 즉, 여성의 자아정체성 확립, 여성성 정립, 임파워먼트 형성, 공동체 의식 형성에도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들은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을 통해 문화활동 참여 뿐 만 아니라 사회의 분석시각 고양, 정체성 확립 등을 통해 사회참여도 일부분 병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을 통해 여성의 문화활동 접근을 확대시키고 여성에게 자아실현을 지향하는 미디어활동의 가치영역을 높여줌으로써 여성의 사회참여를 향상시키고 인권을 증진시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은 여성들이 미디어를 통한 문화활동을 접근하는 데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여성들의 사회참여와도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활동으로서 사회적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은 현재 활동자체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 부족, 고정인력의 부재 및 인력운용력의 부족, 재원확보의 어려움, 지역여성미디어운동 관련 단체로부터의 네트워킹 부족, 지역영상미디어센터와의 협력관계 부족, 시설 및 장비의 부족 등 많은 문제점과 진행에 있어서의 애로사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 및 애로사항이 해결될 수 있는 방안으로 여성미디어활동가 발굴 및 양성, 지속적인 활동가들의 역량강화 워크숍 및 교육을 통한 고정인력 확보, 주변화 된 여성에게 접근 가능한 여성인력의 확보, 재원 및 하드인프라 지원, 지역영상미디어센터 및 다양한 단체와의 협력관계 구축,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의 정체성 확립,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의 확산, 여성의 참여 확대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진행 등 총 8가지로 제안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선행연구 = 6 C. 연구의 방법과 범위 = 8 D. 연구내용 = 9 1. 연구문제 = 9 2. 연구내용 = 9 Ⅱ. 미디어와 문화활동 = 13 A. 미디어 영역에서의 문화활동 = 13 B.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여성 문화활동 변화: 웹 문화활동을 중심으로 = 16 1. 적극적인 사회문제 참여 = 16 2. 남녀불평등에 대한 실행방안 제시 = 19 3. 여성주의 임파워먼트 형성 = 19 Ⅲ.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의 접근 = 22 A.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의 의미와 배경 = 22 1. 의미 = 22 2. 등장배경 = 24 B.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의 내용 및 현황 = 27 1. 흐름과 내용 = 27 2. 현황 = 29 3. 프로그램 = 32 Ⅳ. 미디어의 발달에 따른 여성 문화활동 변화양상 분석 = 37 A.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을 통한 여성의 미디어 영역 접근 = 37 1. 교육을 통한 여성의 미디어 영역 접근 = 37 2. 영상제작 관련 여성 문화활동 = 39 3. 지역여성들이 제작한 단편영화 상영 = 40 B. 지역여성미디어운동에 따른 여성 문화활동 변화양상 = 41 1.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을 통한 여성 문화활동 공동체 형성 = 41 2. 일반 관객에서 영화감독, 운영자로의 변화 = 44 3. 여성들의 임파워먼트 형성 = 45 Ⅴ. 미디어 관련 문화활동을 통한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방안 :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을 중심으로 = 51 A. 지역여성미디어운동에서 나타나는 여성 문화활동의 애로사항 및 문제점 = 51 1. 고정인력 부재 및 인력운용력의 부족 = 52 2. 재원확보의 어려움 = 53 3. 여성미디어운동 관련 단체로부터의 네트워킹 부족 = 56 4. 지역영상미디어센터와의 협력관계 부족 = 57 5. 시설 및 장비의 부족 = 58 6. 자체적인 문제 :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의 사회적 타당성을 저해하는 프로그램 진행방식 = 59 B. 미디어를 통한 문화활동 접근 및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방안 = 61 1. 여성미디어활동가 발굴 및 양성 = 61 2. 지속적인 활동가들의 역량강화 워크숍 및 교육을 통한 고정인력 확보 = 62 3. 주변화 된 여성에게 접근 가능한 여성인력의 확보: 소외여성의 사회 재참여 시도 = 64 4. 재원 및 하드인프라 지원 = 64 5. 지역영상미디어센터 및 다양한 단체와의 협력관계 구축 = 65 6.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의 정체성 확립 = 67 7. 적극적인 홍보를 통한 지역여성미디어운동의 확산 = 68 8. 여성의 참여 확대를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 진행 = 68 Ⅵ. 결론 및 제언 = 70 참고문헌 = 74 부록 인터뷰 질문지 = 77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864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dc.title미디어를 통한 여성 문화활동 접근 및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역여성미디어운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expansion issue regarding approach of women cultural activity and women social participation toward media : Centered on local women media movement-
dc.creator.othernameKwak, Noh Hyun-
dc.format.pageⅷ,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책과학대학원 공공정책학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정책과학대학원 > 공공정책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