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1 Download: 0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대근육운동 능력 및 교육팀 구성원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대근육운동 능력 및 교육팀 구성원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on the gross motor ability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cognition of collaborative education team members
Authors
표윤희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It is true that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and expectation of development of new policies on the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providing effective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and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fo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s on the gross motor ability; the gross motor function, the functional transfer capability and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goals of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and to explore the cognition, experiences, and thoughts of collaborative education team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s. Twenty-fou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eight special educators, eight paraprofessionals, and four physical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twenty-four students with cerebral palsy, eight special educators, four physical therapists, and eight paraprofessionals were assigned to either an experimental group or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The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for 4 months. To prove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applied.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two group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lso four special educators, four paraprofessionals and two physical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e individual interview and focus group to share their experiences regarding their perception on the intervention.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n the gross motor function and functional transfer cap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lso IEP goals of experimental group were accomplished. second, three themes and eight subthemes were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effect of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team work intervention, (2) barriers of implementation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and (3) methods to improve implementation of collaborative teamwork intervention. Finally, discussions,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collaborative teamwork practic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특수교육 관련서비스의 일환으로 도입된 치료지원은 특수교육 현장에 전문 치료영역을 전공한 치료사가 배치되어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치료지원을 교육활동과 연계하여 특수교사와 치료사 간의 협력적인 팀워크를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는 학습과 실행기회를 방해하는 신경이나 운동기능 손상, 그 밖의 다른 어려움을 갖는 뇌성마비 학생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신체적, 인지적, 의사소통적인 면에서 매우 다양한 특징을 보이는 뇌성마비 학생들의 요구를 어느 한 전문가의 지식만으로는 적절하게 대처하기가 어려우므로 이들을 중재하기 위하여 전문 영역 간의 협력은 필수적이다. 그 협력의 방안으로 정보와 기술 및 수행능력을 공유하는 역할방출(role release)을 축으로 한 초학문적 팀 접근(transdisciplinary team approach)과 자연스러운 교육적 맥락 안에 운동 및 다른 기술들을 통합하여 가르치는 통합된 치료(inte- grated therapy)의 개념을 결합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를 들 수 있다. 뇌성마비 학생들은 운동기능적인 측면에 있어 주된 어려움을 보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사, 물리치료사, 특수교육보조원의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대근육운동 기능, 기능적 이동능력 및 교육환경에서의 기능적 활동 수행을 목적으로 한 개별화교육목표 성취 수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교육팀 구성원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지체장애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뇌성마비 학생 24명과 특수교사 8명, 물리치료사 4명, 특수교육보조원 8명이었다. 경기도에 위치한 지체장애 학교 1곳의 4개 학급에 소속된 뇌성마비 학생 12명과, 특수교사 4명, 물리치료사 2명, 특수교육보조원 4명을 협력적 팀워크 중재를 실시하는 실험집단으로 배치하였고, 실험집단에 배치된 뇌성마비 학생 12명의 대동작기능 분류체계(GMFCS), 대근육운동 기능 및 기능적 이동능력을 참고로 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지체장애 학교 2곳에서 실험집단 학생과 같은 학년 학생 중 짝짓기를 통해 12명의 뇌성마비 학생을 통제집단에 배치하였다. 통제집단의 뇌성마비 학생이 입급된 4개 학급의 담임교사인 특수교사 4명, 4개 학급을 담당하는 특수교육보조원 4명, 물리치료사 2명은 중재를 실시하지 않는 통제집단의 연구 참여자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약 4개월에 걸쳐 진행된 협력적 팀워크 중재에 참여하였다.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대근육운동 기능과 기능적 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대근육운동 기능 평가(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와 ‘소아장애평가 척도(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를 사용하였다. 협력적 팀워크 중재가 운동능력 관련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목표성취 척도(Goal Attainment Scale, GAS)’를 사용하였다. 중재가 뇌성마비 학생의 대근육운동 기능과 기능적 이동능력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험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차이점수에 대한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운동능력 관련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미친 영향은 목표성취 점수 전환표를 활용한 기술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보고하였다. 중재가 협력적 교육팀 구성원들의 인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는데, 개별 및 포커스 그룹 면담을 전사한 자료와 각종 문서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통해 코딩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능력 향상을 위한 협력적 팀워크 중재의 실행은 대근육운동 기능(GMFM) 수준에 있어서 중재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소아장애 평가 척도(PEDI)의 이동영역에 해당하는 점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실험집단의 학생이 통제집단보다 기능적 이동능력에 있어서 향상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학생을 대상으로 기능적 움직임을 촉진하는 개별화교육목표를 수립하여 협력적 팀워크 중재를 실행한 결과, 총 12명의 학생 중 10명(88.33%)의 학생이 만족스러운 개별화교육목표의 성취수준을 보였고, 이 중 8명의 학생(66.67%)은 기대치를 초과한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수준을 보였다. 둘째, 협력적 팀워크 중재를 실행한 교육팀 구성원들이 작성한 문서자료와 개별 및 포커스그룹 면담내용을 질적 분석한 결과 3개의 주제와 8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협력적 팀워크 중재 실행의 효과, 협력적 팀워크 중재 실행의 방해요인, 효율적인 협력적 팀워크 중재 실행을 위한 개선 방안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협력적 팀워크 중재는 뇌성마비 학생의 대근육운동 기능, 기능적 이동능력, 운동능력 관련 개별화교육목표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지체장애 학교에서의 새로운 협력모형을 제시한 점, 교육활동과 연계한 치료지원에 대한 실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현장 실천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협력적 팀워크 중재에 대한 국내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다. 앞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넘어서는 실효성 있는 중재절차를 개발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치료영역의 전문가와 함께 많은 장애 학생들을 대상으로 협력적 팀워크 중재를 실행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