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14 Download: 0

유치원 일과에 삽입된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이 일반유아의 사회적 참여와 장애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치원 일과에 삽입된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이 일반유아의 사회적 참여와 장애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Class-wide Social Inclusion Support Embedd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ctivities on Social Engagement of Preschoolers without Disabilities and Peer Relationships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Authors
이수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The support for social inclus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based on supportive social environments. Also, the success of social inclusion must be evaluated comprehensively in terms of their actual peer relationships. In addition, in order to promote class-wide interventions in an inclusive classroom, their effects need to be examined not only for the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in the class, but also for those without disabilit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class-wide social inclusion support program embedded in a regular curriculum on the social engagemen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s well as peer relationships of those with disabilities. Two inclusive classes of four-year old children in a pre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is an experimental group and another is a control group. Each class consisted of fou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15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class teacher implemented the class-wide social inclusion support program embedded in regular curriculum, but in the control group only a general preschool curriculum.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a class-wide social inclusion program embedded in regular curriculum, which was composed of anti-bias activities, social training activities, and play activities with peers. The activities were implemented as a universal intervention in their contents and methods. The class teacher executed all the interventions, incorporating them into the regular curriculum activities such as circle time, free-choice activities, and group activities. She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deciding the constructions, order and types of activities as important partner. I, the researcher, designed the activity plan, which she carried out with my guidance. I developed the plan with activities that the class teachers were familiar with.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social engagemen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analyzed by the peer relationship observed in the classroom and individual peer relationship both. I examined the peer relationship in the class in terms of social acceptance of peers (macro level), social engag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microscopic/dynamic level), and individual social behaviors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microscopic level). The individual peer relationships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of peer interactions. In this study, I applied the pre-post test design for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n social engagement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lso, I conducted an independent t-test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of each group. In addition, I used the multiple case study design and pattern matching technique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pre-post test about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entail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class-wide social inclusion support program implemented, the interactive play of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their peers without disabilities and parallel-aware play increased while their solitary/unoccupied behaviors decreased. Second, the class-wide social inclusion support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classroom. The details of the changes included as follow: (1) the increases of social acceptances towards children with disabilities; (2) the changes that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showed in individual social behaviors toward their peers with disabilities. The changes were increased positive social behaviors, the increased types of positive social behaviors (e.g., seeking attention of peer' and 'expresses affection to peers), decreased of types of negative social behavior, increased initiative behaviors that peers exhibited toward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n the increases of initiation behavio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o on; (3) the increase of interactive play and parallel play that children with disabilities engaged in during free-choice activities and the decrease of unoccupied behavior. Third, the class-wide social inclusion support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peer relationship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both. The quantitative changes observed include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eers involved in overall individual peer interactions and unilateral friendships with focal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ative changes included the increased explicit positive connectedness and absence of explicit negative connectedness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extended previous related research related by providing some evidences that special educational practice can be implemented successfully in an inclusive classroom using a universal intervention.;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을 위한 중재는 지원적인 사회적 환경을 만드는 것에 기초하여야 하며 사회적 통합의 성공은 유아의 실제 또래관계의 관점에서 포괄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치원 일과에 자연스럽게 삽입된 학급 차원의 보편적 중재가 필요하며 통합학급에서의 실행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일반유아에 대한 중재의 영향 또한 검증되어야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른 이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을 유치원 일과에 삽입하여 실행하고 장애 유아의 또래관계 변화를 통해 그 성과를 측정한다. 둘째, 일반유아의 사회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함으로써 장애 유아를 포함한 모든 유아를 위한 보편적 중재로서 활동의 효과를 검증한다. 아울러 이 연구는 중재의 실행가능성과 효용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실제 유치원에서 일반유아교사가 활동을 실시하고 일반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로부터 사회적 타당도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에는 장애 유아와 일반유아가 학급 전체 일과를 통해 통합되어 있는 한 유치원의 만 4세반 두 학급이 참여하였다. 각 학급은 장애 유아 4 명과 일반유아 15명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한 학급씩 각각 중재를 실시하는 실험집단과 중재를 실시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할당하였다. 실험은 총 17주간 사전관찰,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고 중재는 11주 동안 제공되었다. 이 연구는 일반유아의 사회적 참여에 대한 중재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였고 장애 유아의 또래관계에 대한 사전-사후검사에서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복합분석단위를 가진 다중사례설계를 적용하였다. 중재는 학급 내 교육활동인 일과 계획 및 정리, 이야기나누기, 자유선택활동, 기타 대집단 활동 등의 활동방식으로 실시되었으며 학급 유아의 요구를 반영하고 또래 간 상호작용 기회를 증진시키기 위해 수정·적용하였다. 연구의 종속변인은 일반유아의 사회적 참여와 장애 유아의 또래관계다. 먼저 일반유아의 사회적 참여의 경우 교실에서 실제 자유선택활동을 직접 관찰하고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기록지(Social Interaction Scan: SIS)(Odom et al., 1988)를 수정·적용하여 학급 전체 유아의 행동을 기록하였다. 장애 유아의 또래관계는 학급 내 또래관계와 개별 또래관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때 학급 내 또래관계의 경우 또래의 사회적 수용도(거시적 수준)와 장애 유아와 또래의 개별 사회적 행동(미시적 수준) 및 장애 유아의 또래관련 사회적 참여(미시적/역동적 수준)에 대해 분석하였다. 개별 또래관계는 또래지명과 교사면담을 통해 각각 상호적 우정관계와 일방적 우정관계, 놀이친구와 특별한 관심을 보이는 또래를 선정하였고 그 수의 변화와 선정된 각 또래와 장애 유아 간의 일대일 상호작용 관찰을 통한 질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의 분석을 위해 일반유아의 사회적 참여는 두 집단의 사전-사후검사 간 차에 대해 두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장애 유아의 또래관계에 대해서는 다중사례연구의 분석기법인 패턴매칭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은 일반유아의 상호작용적 놀이 및 또래를 인식하는 평행놀이 증가와 고립/비점유행동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급 차원 중재로 실시된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은 장애 유아의 학급 내 또래관계를 향상시켰다. 즉, 중재 실시 후 장애 유아의 사회적 수용도가 증가하였고 또래의 개별 사회적 행동이 향상되면서 장애 유아의 사회적 참여 증가와 긍정적인 개별 사회적 행동의 발생률 및 유형의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래는 개별 사회적 행동 중 긍정적 행동(예: 관심 끌기, 애정표현 행동) 발생률 및 유형의 증가와 부정적 행동 유형(예: 적대감 나타내기)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장애 유아보다 더 높은 비율로 긍정적 시작행동 발생률 증가를 나타냄으로써 장애 유아와의 상호작용에서 보다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또래가 반응한 장애 유아의 반응요구행동 발생률은 증가하지 않았지만 장애 유아가 반응한 또래의 반응요구행동 발생률이 증가함으로써 또래가 상호작용을 주도하고 장애 유아가 이에 반응하는 방식의 상호작용 패턴을 나타내었다. 그 결과 또래관련 사회적 참여에 있어서도 상호작용적 놀이 및 평행놀이, 평균 상호작용 대상자의 증가와 비점유행동 감소로 나타나는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셋째,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 실시는 장애 유아의 개별 또래관계를 향상시켰다. 중재에 참여한 장애 유아들은 전반적인 개별 또래관계에서의 양적 증가를 나타내었고 특히 장애 유아에 대해 일방적 우정관계를 나타내는 또래의 수가 증가되었다. 아울러 개별 또래관계 내에서의 긍정적 유대감이 증가되었고 부정적 유대감이 나타나지 않는 등의 질적 향상도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중재로 인한 장애 유아와 일반유아 공동의 혜택은 일반유아교육 환경에서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을 실행하는 데에 대한 타당성을 지지해주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통합 촉진을 위한 특수교육적 전략과 중재가 일반유아의 교육적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아울러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이 장애 유아의 학급 내 또래관계는 물론 개별 또래관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장애 유아의 우정관계 형성을 촉진하기 위한 기초 전략으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러나 중재에 참여한 장애 유아의 개별 사회적 행동의 변화에는 개별 차가 있었으며 이것은 장애 유아의 사회적 통합 촉진 중재가 개별 장애 유아의 요구에 따라 위계적인 중재방식으로 실행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학급 차원의 중재가 다른 전략과 연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향후 연구가 필요하며 이때 학급 차원의 사회적 통합 증진활동은 보다 강도 높은 중재를 실시하기 위한 기초단계의 보편적 중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