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주영주-
dc.contributor.author윤희숙-
dc.creator윤희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4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485-
dc.description.abstractCyber University in Korea has been rapidly developed as a distance education system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in 2001. It is formulated now as higher education institute for age 20’s to 40’s training and reeducation. As of April, 2009, total of 57,946 had graduated, the 80,606 students had registered and also total of 27,960 have newly entered in Cyber University. The role and scope of Cyber University was enormously inflated however, it was issued for students to drop the course without getting a degree. Because the students’ persistence is closely related with the course quality, it is used as an assessment item for ‘Cyber University evaluation’ which is govern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Even though researches about learning persistence in Cyber University have been continued for years, most of them are focused on the reasons of the learners’ problem. In other words, most of the researches find the reasons of dropping the course from demographic data such as sex, age, academic background or from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only few researches which investigated the causes of course-dropping from the classes or institutional experiences. Even though students choose the University to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course experiences could have affected the students’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because they drop the course often after the first year semester.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nd the students’ experiences in Cyber Univers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relationships of integration, commit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1. Does the integration (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and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influence on goal commitment in Cyber University? 2. Does the integration (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and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influence on institutional commitment in Cyber University? 3. Do goal commitment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influence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Cyber University? 4. Does goal commitment mediate between the integration (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and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Cyber University? 5. Does institutional commitment mediate between the integration (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and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Cyber University? The model which dra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gration (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and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commitment (goal commitment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was hypothesiz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s, self-report survey was developed for the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learners, who were enrolled in A Cyber University on March, 2008. Total of 1,049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garding the structural model fi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del, including academic integration, social integration,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goal commitment,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provided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as CFI=.938, TLI=.929, RMSEA=.063.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s of the academic integration,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on goal commitment are significant, while the direct effect of the social integration on goal commitment is not. Second, the direct effects of the academic integration and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on institutional commitment are significant but the social integration is not. Third, the direct effects of goal commitment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o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re significant. Fourth, the goal commitment has an indirect effect mediating academic integration,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Fifth, the institutional commitment has an indirect effect mediating academic integration, extra-institutional integra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After the examination, the model was modified because social integration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academic commitment and institutional commitmen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modified model gave the result which shows the variables provided a reasonable fit to the data and the indirect effects were all significant. Based on the total effects, which were the sum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stitutional commitment was relatively more effects on the learning persistence and academic commitment, extra-institutional commitment and goal commit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 finding,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promoting academic integration and social integration which influence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in Cyber University. Second, most of the Cyber University classes executed individually in Korea prevent the learners from interacting each other. Hence, there should be more effort for the research of amplifying the social integration for student. Third, the identified model in this research will be the basic form of illustrating learning persistence process which explains students’ decision about course dropping and learning persistence. Based on this model, it is required to find other influencing variables which can add up to this model to explain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Fourth,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ly for learning persistence intention for dependent variable, while other valuable factors such as actual learning persistence would give the excellent explanation of learning process. Fifth, to enrich the research results from the students in 1st semester after entrance and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learning persistence, it is important to continue the study for the students who have stayed at school for more than one year.;우리나라에서 사이버대학은 새로운 원격교육체제로 2001년 처음 도입된 이후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여, 현재는 20대 후반부터 40대까지를 위주로 한 성인학습자들의 재교육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으로 자리잡고 있다. 2009년 4월 기준 18개 사이버대학의 입학정원은 27,960명, 재학생수는 80,606명, 학위취득자는 57,946명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사이버대학의 규모와 역할은 크게 확대된 반면, 학생들이 입학 후 졸업까지 학업을 지속하지 못하고 중단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임연욱, 2007). 학생들의 학업지속은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의 질과 관련되는 중요한 사안으로,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실시하는 ‘원격대학 종합평가’에서도 중요한 평가항목 중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국내 학계에서도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학업지속에 관련한 연구들이 몇 년 전부터 수행되기 시작하였다. 그 동안 국내 사이버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은 주로 학생들의 학업중단 원인을 규명하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학업을 중단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중단이유를 조사하거나, 성별, 연령, 학력 등과 같은 학생의 배경변인 또는 동기와 같은 학생의 개인적 특성이 학업중단에 관련되는지 분석한 연구들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학생들이 대학에 입학한 이후 갖게 되는 경험이 학업지속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사이버대학에서 학업중단은 입학 후 첫 해에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임연욱, 2007; Simpson, 2003). 자신의 학업목표를 이루기 위해 특정 사이버대학을 선택하여 입학한 학생이 첫 학기만을 경험한 후 자발적으로 학업을 중단하는 현상은, 입학 이후의 경험이 학생들의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입학 후 경험과 학업지속의향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생들이 사이버대학에 입학한 후 대학생활을 경험하면서 이루게 되는 학문적 통합, 사회적 통합 및 외부환경과의 통합이 학생들의 학업목표에 대한 몰입과 교육기관에 대한 몰입, 나아가 학업지속의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보여주는 구조적 인과관계의 규명을 연구목적으로 하고,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학문적 통합, 사회적 통합 및 외부환경과의 통합은 학업목표에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학문적 통합, 사회적 통합 및 외부환경과의 통합은 교육기관에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가? 3.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학업목표에의 몰입과 교육기관에의 몰입은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가? 4.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학업목표에의 몰입은 학문적 통합, 사회적 통합 및 외부환경과의 통합과 학업지속의향을 매개하는가? 5.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교육기관에의 몰입은 학문적 통합, 사회적 통합 및 외부환경과의 통합과 학업지속의향을 매개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이버대학 학생들의 학문적 통합, 사회적 통합, 외부환경과의 통합, 학업목표에의 몰입, 교육기관에의 몰입 및 학업지속의향 간의 인과관계에 대한 연구가설을 세웠다. 그리고 가설적 인과관계를 나타내는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 상의 구성개념들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선행연구들에 기초하여 개발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국내 A사이버대학의 2008학년도 1학기 입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1,049명의 응답자료가 최종 분석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먼저 기초통계분석, 잠재변인들의 상관분석, 그리고 측정모형의 타당성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하기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음, 구조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 분석에서는 적합도지수들이 CFI=.938, TLI=.929, RMSEA=.063로 나타나 양호한 수준을 보였다. 이와 같이 수집된 자료에 연구모형이 부합함을 확인한 후 연구가설들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를 연구가설 별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 통합, 사회적 통합 및 외부환경과의 통합이 학업목표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통합을 제외하고 학문적 통합과 외부환경과의 통합이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문적 통합, 사회적 통합 및 외부환경과의 통합이 교육기관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통합을 제외하고 학문적 통합과 외부환경과의 통합이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목표에의 몰입과 교육기관에의 몰입이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목표에의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문적 통합과 외부환경과의 통합은 학업목표에의 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업지속의향에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기관에의 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문적 통합과 외부환경과의 통합은 교육기관에의 몰입을 매개로 하여 학업지속의향에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에 따라, 학업목표에의 몰입과 교육기관에의 몰입 모두에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회적 통합을 연구모형에서 제외시킨 수정모형을 설정하였다. 수정모형에 대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적합도는 양호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나아가 영향요인들이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는 모두 유의미하였다.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합산한 총효과를 기준으로 하여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상대적으로 비교해 본 결과, 교육기관에의 몰입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고, 다음으로는 학문적 통합, 외부환경과의 통합, 학업목표에의 몰입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이버대학생들의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 학문적 통합과 외부환경과의 통합을 촉진시킬 수 있는 전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사이버대학생들의 사회적 통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국내 사이버대학에서는 수업이 거의 개별학습방식의 사이버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학생들이 직접 만나거나 상호작용할 기회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사이버대학에서는 학생들의 사회적 통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선결과제라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에서 도출한 모형은 사이버대학에서 학생들이 입학 후 경험을 통해 학업을 지속하거나 또는 중단하는 결정에 이르게 되는 학업지속과정을 설명하는 기초적인 모형이 된다. 이 모형을 토대로 하여 학생들의 학업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인들을 추가하여 분석해 보는 연구가 요구된다. 넷째, 학업지속의향 이외에 다른 결과변인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학생들의 실제 학업지속 여부를 추가하여 학업지속의향이나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첫 학기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현재 소속된 사이버대학에서 1년 이상 학업을 지속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학업지속의향과 영향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C. 용어의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 10 A. 사이버대학 = 10 1. 사이버대학의 현황 = 10 2. 사이버대학생들의 학업지속 현황 = 16 B. 학업지속의향 = 18 1. 학업지속의향의 개념 = 18 2. 학업지속의향과 실제 학업지속의 관계 = 20 C. 학업지속의향 관련변인 = 22 1. 몰입변인 = 22 2. 통합변인 = 25 D. 선행연구 = 36 1. 통합이 학업목표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36 2. 통합이 교육기관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42 3. 몰입이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48 4. 통합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 대한 학업목표에의 몰입의 매개 = 52 5. 통합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 대한 교육기관에의 몰입의 매개 = 54 Ⅲ. 연구 방법 = 58 A. 연구 대상 = 58 B. 측정도구 = 61 C. 자료 수집 절차 = 71 D. 자료 분석 방법 = 72 Ⅳ. 연구 결과 = 79 A. 기초통계 분석 결과 = 79 1. 기술통계 분석 결과 = 79 2. 상관관계 분석 결과 = 81 B. 측정모형의 검증 결과 = 82 C. 구조모형의 검증 결과 = 85 1.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 결과 = 85 2. 직접효과의 검증 결과 = 86 3.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 = 91 Ⅴ. 논의 = 95 A. 통합이 학업목표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95 B. 통합이 교육기관에의 몰입에 미치는 영향 = 97 C. 몰입이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 100 D. 통합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 대한 학업목표에의 몰입의 매개 = 101 E. 통합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 대한 교육기관에의 몰입의 매개 = 102 Ⅵ. 결론 및 제언 = 104 A. 결론 = 104 B.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106 참고문헌 = 110 부록 = 125 ABSTRACT = 13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99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사이버대학생들의 학업지속의향 관련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Factors Related to Persistence Intention in Cyber University-
dc.creator.othernameYoon, HeeSook-
dc.format.pagexi, 138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공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