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5 Download: 0

만 4, 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경향 및 관계

Title
만 4, 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경향 및 관계
Other Titles
The general trends and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of children ages 4 to 5 and self-esteem of parents
Authors
고현경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승연
Abstract
This research is aimed at examining self-esteem of children ages 4 to 5 and their parents, in particular general trends and differences depending on variables. It also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Following are the issues covered throughout the research. 1. What is self-esteem of children ages 4 to 5 like? 1-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esteem of children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such as children's gender, age, and the amount of time an children spends with parents? 2. What is self-esteem of parents with children ages 4 to 5 like? 2-1.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esteem of fathers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such as fat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average of monthly income? 2-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self-esteem of mothers according to individual factors such as mot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and average of monthly income?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of children and parents like? The subjects of study are 133 children ages 4 to 5, going to kindergarten in Seoul, and their parents. "Index for Self-Esteem of children" developed by Sung-Ae Ji, Young-Ok Kim, and Hee-Sook Park(2003) has been revised and used to measure children' self-esteem and "Index of Self-Esteem" developed by Hudson(1997) has been adapted to observe parents' self-esteem.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ronbach's α have been obtained from collected data.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executed. The following ar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First, among entire groups of children,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self-esteem depending on young children's age. And there is static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elf-esteem and the amount of time children spend with their parents during weekends and holidays. In other words, the younger an children is and the more time an children spends with parents during weekends and holidays, the greater the children' self-esteem. On the contrary, among entire groups of children, there are not statistical differences in self-esteem according to children' nd hol. Also there is not distinct statistical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elf-esteem and the amount of time children spend with their parents during weekdays. Second, among entire groups of parents, there are statistical differences in self-esteem depending on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average of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of mothers. In other words, self-esteem of parents who hav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average of monthly income appears to be greater. Mothers engaged in administrative position have greater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among entire groups of parents, there are not differences in self-esteem depending on parents' age and occupation of fathers. Third, there is static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self-esteem, cognitive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family-acceptance self-esteem of children and parents' self-esteem. Also, there is passiv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emotional self-esteem and mothers' self-esteem. In other words, the greater the parents' self-esteem, the greater the children' general self-esteem, cognitive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family-acceptance self-esteem. In addition the greater the mothers' self-esteem, the greater the children' emotional self-esteem.;본 연구는 만 4, 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전반적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만 4, 5세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개인변인(성별, 연령,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에 따라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가? 2. 만 4,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자아존중감은 어떠한가? 2-1. 아버지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직업,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라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가? 2-2. 어머니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직업,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5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4, 5세 유아 133명과 그들의 아버지, 어머니 각각 133명이었다.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지성애, 김영옥, 박희숙(2003)이 개발한 ‘유아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부모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Hudson(1997)이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Index of Self-Esteem: ISE)’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α를 구하고 t 검증, 일원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 4, 5세 유아의 개인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유아의 연령 따른 유아의 자아존중감 전체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말·공휴일에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전체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연령이 어릴수록, 주말·공휴일에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이 많을수록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반면, 유아의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아존중감 전체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평일에 부모와 함께 지내는 시간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전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만 4, 5세 자녀를 둔 부모의 개인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학력, 가정 내 평균 월수입에 따른 아버지,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직업에 따른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은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가정 내 평균 월수입이 많을수록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관리직에 종사하는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았다. 반면, 부모의 연령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아버지의 직업에 따른 아버지의 자아존중감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 전체, 인지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족수용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자아존중감 간에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유아의 정서적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간에도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즉 부모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아존중감 전체, 인지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족수용 자아존중감이 높으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적 자아존중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