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황규호-
dc.contributor.author강진아-
dc.creator강진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64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5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64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required eligibility and competency standard of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This study may provide the basic resource to develop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rainer's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First, the criteria of competency and contents of trainer's education was firstly set up by reviewing the Korean and foreig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educational status and the vocational teacher's competency. This study is conducted by surveying of 96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ofessionals about educational experience, required eligibility, and the competency of trainers. And the validity of the criteria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urvey shows that more than 20% of the professionals didn't meet 60-hour criterias, and most of them recognized that they needed more education for the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actice. Secon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rainers mainly depend on the lectures or one way teaching method. This shows various teaching methods are needed. Third, respondents reported the necessity of setting higher standards as a requirement of the trainers. Most of them agreed to establishing 5-year experience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in clinical experience as a required career and master's degree as a required eligibility for physician, nurse, social worker, and clergy trainers. Fourth, the result shows the 7 competencies for the trainers; understanding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knowledge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ractice, practical abilit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assion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pplying various teaching methods, research ability, and self care ability have met the validity of competency criteria. Fifth, the respondents identified the need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rainer's education. And they also highly agreed with the importance of criteria of 9 contents areas for trainer's educatio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opics review, small group case based method, small group discussing method, role play, interactive lecture, instructional principal, material developing method, multi-media based method, and evaluation method. In conclusion, the criteria for hospice and palliative trainers competency and education contents which this study suggests showed high validity, and it will contribute to provide the resources for developing the trainer's education.;본 연구의 목적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을 담당할 교육자들에게 요구되는 자격기준, 역량기준을 도출하고 교육자 교육의 내용을 제안하고자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에 대한 요구조사를 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과 국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분석, 국내 임상간호사 교육자 교육관련 연구 검토를 통해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기준 및 교육내용 기준을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총 98명을 대상으로 교육현황, 교육자가 갖출 역량, 지식, 교육자 교육의 필요성, 교육 내용에 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역량 및 지식과 교육내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들은 60시간 이상의 교육을 받지 못한 자가 20%이상으로 나타났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실무에 필요한 충분한 지식과 기술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많았다. 둘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자들은 대부분 강의법과 같은 일방향적인 교수방법을 주로 활용하고 있어서 교육방법의 개선을 위한 교육이 요구됨을 보여주었다. 셋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 설정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인 자격기준으로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성직자 모두 임상경력이 최소 5년 이상, 학력기준으로는 석사이상이 요구됨을 나타내주었다. 넷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에게 요구되는 역량 준거로서 설정한 8가지 역량, 즉 교육대상자에 대한 이해, 호스피스 전문지식, 호스피스 실무수행 능력,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강한 사명감과 열정, 다양한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 교육자료 개발 능력, 호스피스 연구 능력, 자기관리능력 모두 그 중요도 평가결과를 준거로 볼 때 교육방법 및 매체활용능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자교육의 내용으로 제안된 총 9가지 영역, 즉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주제별 핵심정리, 사례중심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소그룹토론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역할극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쌍방향식 강의법을 활용한 교육방법의 원리 및 실습, 교육대상자 이해를 위한 교육학적 원리이해, 교육자료개발방법, 교육매체 활용방법, 교육평가법 모두 그 중요도를 볼 때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높은 요구도는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를 위한 자격기준을 설정과 역량 및 교육내용기준 설정이 매우 필요함을 밝혀주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도를 기반으로 향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의학교육 교육자 교육 = 6 B. 국내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 = 9 C.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 20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개발의 준거설정 = 34 Ⅲ. 연구 방법 = 38 A. 연구대상 = 38 B. 조사도구 = 39 C. 자료분석 = 40 Ⅳ. 연구결과 = 41 A.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교육현황 = 41 B.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자격기준 = 51 C. 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의 역량 및 지식 = 64 D.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요구도 = 66 Ⅴ. 요약 및 결론 = 68 A. 논의 = 68 B. 결론 = 75 C. 제언 = 76 참고문헌 = 78 부록 = 82 부록1:호스피스완화의료 교육자 교육 요구도조사 설문지 = 82 부록2: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역량 분석표 = 89 부록3:교육자가 갖추어야 할 지식 분석표 = 91 부록4:교육자 교육내용 요구도 분석표 = 93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93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인력 교육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Basic Study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rainer'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dc.creator.othernameKang, Jin A-
dc.format.pageⅸ,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