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4 Download: 0

콜론 낸캐로우(Conlon Nancarrow)의 자동 피아노를 위한 《스터디 제 3A번》(Study No. 3A, 1948) 분석·연구

Title
콜론 낸캐로우(Conlon Nancarrow)의 자동 피아노를 위한 《스터디 제 3A번》(Study No. 3A, 1948) 분석·연구
Other Titles
An Analytical Study of Conlon Nancarrow's Study No. 3A
Authors
유덕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홍인
Abstract
300여 년간 지속되어 온 조성 음악이 역사 속으로 사라지면서 20세기에는 전통적인 것과 구분되는 다양하고 새로운 특징들이 실험되는데,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리듬에 대한 관심이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의 "불협화음의 해방"에서 동반된 "전통적 리듬 구조로부터의 해방"은 음고와 리듬을 동일하게 다루거나 리듬이 더 중요하게 사용되는 계기가 된다. 특히 규칙적인 박절감을 없앰으로써 수평·수직적으로 복잡한 리듬을 추구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러한 경향은 1930년대의 미국 실험주의 작곡가들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전개되는데, 아이브스(Charles Ives, 1874-1954), 코웰(Henry Cowell,1897-1965)을 필두로 낸캐로우(Conlon Nancarrow, 1912-1997)에 의해서 혁신적으로 발전하여 카터(Elliott Carter, 1908-)와 리게티(Grogy Ligeti, 1923-2006), 그리고 후대의 작곡가들에게로 이어진다. 결과적으로 아이브스와 코웰이 제시한 다양한 리듬 기법의 가능성을 실험하여 동시대와 후대의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준 낸캐로우는 리듬 어법의 확장에 관심을 둔 많은 작곡가들 중 가장 중심적인 인물로 평가된다. 낸캐로우는 자동 피아노(player piano)를 사용하여 50여개에 이르는≪스터디≫(Studies)를 작곡하였는데, 주요 특징은 리듬, 박자, 템포, 즉 음악의 시간 요소들을 이용하여 혁신적인 많은 실험을 하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자동 피아노를 위한 최초의 작품인 ≪스터디 제 3A번≫(Study No.3, 1948)을 분석한 것이다. 연구의 목적은 ≪스터디 제 3A번≫에 나타난 낸캐로우의 네 가지 리듬 기법인 오스티나토(ostinato), 아이소리듬(isorhythm), 템포캐논(tempo canon), 가속화(acceleration)의 작품 내에서의 기능과, 네 가지 리듬 기법에서 동반된 폴리미터(polymeter)와 청각적 폴리템포(polytempo)의 형성 과정을 고찰하여 다양한 리듬의 사용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스터디>의 이론적 배경과 ≪스터디 제 3A번≫의 분석 부분으로 나누어 전개된다. 이론적 배경인 제 III장에서는 ≪스터디≫를 구성하는 음고, 리듬과 템포로 나누어, ≪스터디≫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여섯 가지 음고 유형은 통일성을 주는 요소로, 다층 구조(multi-layered structure)와 템포 불협화(temporal dissonance)를 만드는 리듬과 템포는 복잡성을 주는 요소로 언급한다. 특히 리듬과 템포 부분에 비중을 두어, 낸캐로우가 복잡한 리듬을 사용하게 된 배경으로는 인도와 아프리카 음악, 재즈, 그리고 코웰의 “신 음악 자원”(New Musical Resources, 1930)을, 복잡한 리듬을 발생시키는 기법으로는 오스티나토, 아이소리듬, 템포 캐논, 가속화를 제시한다. 분석 부분인 제 IV장에서는 ≪스터디 제 3A번≫을 전체 구조, 음고 구조, 리듬 구조, 다층 구조로 나누어 고찰한다. 전체 구조는 최하성부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오스티나토 위로 성부가 첨가되는 방식에 따라 "변주(variations)"와 "축적(accumulation)"양식으로 구분한다. 음고 구조는 변주부와 축적부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음고 유형을 중심으로, 성부 간 상이한 음고 구조를 형성하는 음고 유형과 배치, 음역을 살펴본다. 리듬 구조는 변주부와 축적부의 박자 구조에 나타난 유기성을 언급한 후, 각 부분에 제시된 폴리미터와 폴리미터에서 청각적으로 발생한 가속화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다층 구조는 앞서 언급한 음고 구조와 리듬 구조의 종합으로 제시된다. ≪스터디 제 3A번≫에 대한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낸캐로우의 네 가지 리듬 기법이 초기적인 형태로 집약되어 나타난다. 오스티나토는 전체 구조·음고·리듬의 근원으로, 아이소리듬은 복잡한 리듬을 만드는 수평 요소 중 하나로 사용된다. 템포 캐논은 축적부의 오스티나토와 오스티나토의 모방으로 구성된 성부에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가속화는 오스티나토와 폴리미터를 이루는 성부들에 제시된다. 둘째, ≪스터디 제 3A번≫의 리듬 구조가 외형적으로는 복잡하게 구성되어 무질서하게 보이지만, 내재적으로는 규칙성을 가지고 있다. 즉 변주부와 축적부의 박자는 원형 리듬을 다양하게 조합한 리듬에서 16분 음표 한 개를 변화시켜 파생되고, 이들이 수직적으로 동시에 제시되어 폴리미터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마디 시작점의 주기가 상이한 폴리미터로부터 청각적인 폴리 템포가 형성되어 리듬 구조가 복잡해진다. 그러나 변주부와 축적부의 박자 원형은 원형 리듬을 8분 음표 2개에서 8개까지 8분 음표 2개 단위로 조합하여 구성되는데, 이를 16분 음표의 합으로 환산하면 4에서 16까지 4의 배수 관계로 나타난다. 따라서 ≪스터디 제 3A번≫의 박자 구조는 내재적으로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한다. 셋째, ≪스터디 제 3A번≫은 선율과 리듬에 있어서 단순한 토대인 원형 선율과 원형 리듬에서 시작하여, 선율은 원형 선율을 구성하는 여섯 가지 음고 유형 중 두 번째 음고 유형을 근원으로 단순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리듬은 변주부에서 축적부로 진행함에 따라 성부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폴리미터의 수도 증가하여 점진적으로 복잡화된다. 결국 축적부의 마지막 부분인 주기 22에서는 여덟 개의 서로 다른 박자가 나타나서 리듬의 복잡함이 극대화되어 다층 구조와 템포 불협화가 발생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낸캐로우는 자동 피아노를 통해서 극도로 복잡한 리듬의 다양한 가능성을 실험할 수 있었고, 이로부터 그만의 독특한 음악 어법인 다층 구조와 템포 불협화를 이룩한다. 이는 20세기의 혁신적인 변화 중 하나로써, 그 어떤 작곡가도 낸캐로우 만큼 다양한 리듬 기법을 사용하여 복잡한 리듬을 실험한 작곡가는 없다. 또한 낸캐로우의 음악은 카터, 케이지, 그리고 리게티와 같은 동시대 작곡가들뿐만 아니라 후대의 작곡가들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그의 음악을 분석하는 것은 그 자체뿐만 아니라, 20세기 전체의 다양한 리듬 사용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 할 수 있다.;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onal music has gradually collapsed and diverse experiments with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has created new innovative musical style. Along with the emergence of atonal and serialism, one of the most prominent changes had been in rhythm. "The emancipation of the concept of traditional rhythm" has accompanied by "the emancipation of dissonance" and rhythm had been treated as important as pitch, if not more significant and daring. Rhythmic complexities created by its vertical as well as horizontal juxtaposition has blurred the sense of predictable regular beat. Colon Nancarrow, as one of the most radical American composers, has developed this rhythmic innovations and has led the complex rhythmic structures in its epitome. Nancarrow composed about fifty pieces called, Studies for player piano. Using rhythm and tempo as the main elements, he has carried out revolutionary experiments. This dissertation analyze Study No. 3(1948) composed before his temporal experiment in order to see the process from polymeter to perceptual polytempo.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theoretical foundation and analysis of Study No.3. Theoretical foundation is divided into pitch and rhythm/tempo. While pitch is a unifying factor through the piece, rhythm and tempo are the factors that create multi-layered structure and temporal dissonance for this work. The question of why and how Nancarrow used rhythmic complexity is studied focusing on the rhythm and tempo aspects. Nancarrow may have drawn inspiration and idea of using rhythmic complexities from music of India, Africa, Jazz, including Henry Cowell's treatise, New Musical Resources. He used techniques of ostinato, isorhythm, tempo canon and acceleration to create rhythmic complexities. Through the analysis, Study No.3 is summarized in two parts. First, four techniques are integrated as basic sources. Ostinato is the basis for structural, pitch, and rhythmic foundation. Isorhythm is used as a horizontal factor to create rhythmic complexity. Tempo canon appears in voices of the ostinato and the imitative ostinato accumulation. Acceleration occurs in the voices forming polymeter with ostinato. Secondly, Study No.3 starts with prime melody, prime rhythm. Melody is organized concisely, while rhythm becomes more complicated. At the end of accumulation, eight different tempos appear rhythmically maximizing its complexity. Therefore, multi-layered structure and temporal dissonance are created. The player piano, replacing traditional keyboard instruments, provides the composer various possibilities to experiment in rhythmic complexities, and the techniques that he obtained through those process led to his unique way of achieving multi-layered structure, and temporal dissonances. Nancarrow has been no doubt one of the most revolutionary composers in 20th century music, influencing other significant contemporary composers such as Carter, Cage, and Ligeti. What Nancarrow has accomplished in musical structure through embodiment of rhythmic complexities is unequal to any other musical innovations of the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