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李泓傳」 연구

Title
「李泓傳」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uthors
구송이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하영
Abstrac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ee Ok's(李鈺, 1760~1812) (<李泓傳>, the biography of Lee Hong). Lee Ok is already discussed in previous study because of his products which uses Sopumche(小品體) and which is about urban social condition(市井世態). The material of is, of course, the social condition of an urban, and hero in is the trickster Lee Hong. is important text which can investigate the thought of the author which is about the materialized social condition, between later part of the 18th century and earlier part of the 19th century.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is that is worth to study as an individual product, but there's no overall research yet. It is one of the reason, why this study is started and it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as well a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aise literature status of and to find the aware of the author and the way of novelistic acception of folk-tale based on research about structure of description. So the final goal of this study is to activate the individual research into the biography, written by Lee Ok, which is worthy of study. In chapter Ⅱ, the source of material and the writing backgrounds of are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character of Lee Ok and the social background in those days and the trickster folk-tale about the trickster. The external factors, which influences in form the writing style of Lee Ok, and the internal factors are found in the theory of Gonganpa’s(公安派) and Sopumche(小品體) are his observative identity and his own life. At that time, when the was written, commerce and trade is on the way of developing because of that the society which is based on feudalism was disorganized. The historical backgrounds of are the problems which is that status is determined by possession of physical value at that times. I observed the narrative capacity factor in the material source of . Of the representative stories that reflect various changes due to the economy development in the 18th century is the folk-tales about defrauder. Specially, in case of Bong-Yi Kim, Sun-dal story it is very similar to , which makes me think of the possible folk-tale accepted as novel. The defrauder’s story affected on the Lee Hong’s character visualized that plots against the power with wit and wisdom and harmonizes it. In the chapter Ⅲ with narrative structure and character visualization, it was inquir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structure, its conflict and Lee Hong and surroundings characters literature visualization. located the reality and fiction in and out of the album to attribute the factuality in the illustration. And it put the gradual weight of leadership and conversation among characters through the rational interactive system of short illustration. And it extended the field of problem awareness through the cyclical space configuration, and completed it in structure. The complications of is that first, revealed the gisaeng’s miserable aspect before the money that was arrogant because of the political power due to the complications of Anju gisaeng and Lee Hong. Second, it revealed a petty official of a provincial town with disability and corruption that used the tax for his personal gain. Third, it rebelled against the avarice of beggar monk that enriches himself with the belief and resurrection sold, and revealed the ugly reality. revealed the social problems through the complications between people that used the negative method as a result of respecting too much of natural passion, and Lee Hong. For the character visualization of , I analyzed in two of the fair defrauder Lee Hong that castigates the evil cause and the evil cause victims that represented the materialized social condition. Lee Hong is contradictory character that displays the castigator role that accuses the social of its problems in the work, criticizing it, while is converted to the criticized and castigated in the external criticism of work. Analyzing the visualization of gisaeng and a petty official of a provincial town in , they are people abnormal with avarice, who exerted an evil influence on people then in the social-economical utilitarian side. Besides, they took the excessive profit without healthy labor, being the criticized. Lee Hong revealed the people whose greed for misfortune by the trick. In the chapter Ⅳ, I inquired into the writer consciousness and literary meaning of . For observing the writer consciousness appeared in first, I analyzed the critical attitude against the social structure appeared in the comment. criticized the social conditions that the defrauder is beyond the law with the contradiction and confusion of social structure, and the money conquers the people. treated as social problems of people that disturb the social order and put practical burden on the people’s life, catered to the establishment in the work. However, revealed that the social establishment, the king and government official are also the defrauders like Lee Hong through the comment of conclusion, extended the critical mind to the top of dominating class, and criticized the society of which the materialized value is dominated. The literary phase of first, is accepted the fraudulent story as novel. The fraudulent story was very famous in it, but was unconventional to make the literature with literary material, and it is hard to find the work like with literature type. Comparing with its posterior work of I observed the novelist receptive aspect and characteristics of fraudulent story appeared in . Second, it visualized literality the critical mind of the society. Lee Ok was nothing but a writer, but criticized the social condition materialized in , and included the critical field even the king in the top from the bottom of the system. It was the imprudent criticism hard to find then. spoke of the defrauder Lee Hong, and criticized the social condition with fraud, but in fact it is highly social work that criticized the whole social structure and lost personality. is the work that opened the possibility as a novel that reflected the society with the writer’s consciousness based on the fraudulent story. is the product of the writer consciousness that groped for the value in the new epoch by being more mature in the existing Confucian value, with a value of work that showed the result of the defrauder story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dynasty. is the work that reflected the Yeo Hang’s social condition of Lee Ok’s biographies, which shows the narrative literature development through the novelist receptive aspect of story. And, it is highly social work that visualized literarily the social consciousness through the novelist character visualization and mixed narrative structure. The discussion of is thought to contribute to Lee Ok’s literary world research and the literature research of social condition in the latter of Chosun dynasty.;본 논문은 李鈺(1760~1812)의 <李泓傳>을 대상으로 한다. 이옥은 이미 기존연구에서 小品體를 사용해 당대 市井世態를 소재로 한 작품을 남긴 작가로 논의된 바 있다. <이홍전> 역시 시정세태를 소재로 한 작품으로 사기꾼 이홍을 立傳했다. <이홍전>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 사이 물질화된 세태를 바라보았던 이옥의 작가의식을 탐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임에도 지금까지 분산적 연구만이 시도되었을 뿐이다. 본고는 <이홍전>이 하나의 개별 작품으로서 연구될 가치가 충분함에도 아직 종합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문제의식을 찾고 연구의 시발점으로 삼았다. 본고는 <이홍전>의 인물형상화와 서사구조연구를 바탕으로 설화의 소설적 수용양상과 작가의식을 찾고, 작품의 문학적 위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이옥의 傳 중 가치 있는 작품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는 것이 이 논문의 최종목표이다. Ⅱ장 <이홍전> 창작배경과 소재원천에서는 이옥의 문학적 성향과 당대의 사회적 배경 및 사기꾼 설화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이옥의 문학성향 성립에 영향을 미친 외적 요인은 公安派의 사상과 소품체에서 찾을 수 있으며, 내적 요인으로는 이옥의 자전적 삶과 관찰자적 정체성을 들 수 있다. <이홍전>이 집필된 당시는 무역과 상업의 활성화로 시장경제가 발전하면서 봉건 사회의 기반이 흔들리게 되었다. <이홍전>은 물질적 가치의 소유여부가 사회적 위신을 결정하게 된 당대 사회의 문제점을 시대적 배경으로 삼았다. <이홍전>의 소재원천에서는 설화 수용요소를 살펴보았다. 18세기 후반, 경제발전으로 인한 다양한 변화를 반영하는 대표적인 설화로 사기꾼 설화를 들 수 있다. 특히 봉이 김선달 설화의 경우 <이홍전>과 흡사한 면이 많아 민간설화가 소설로 수용됐을 가능성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사기꾼 설화는 재치와 지혜로써 힘의 전복을 꾀하고 균형을 이루는 주인공 이홍의 성격형상화에 영향을 미쳤다. Ⅲ장 서사구조와 인물형상화 방식에서는 <이홍전>의 서사구조의 특징과 갈등양상 및 이홍과 주변 인물들의 문학적 형상화 면모를 고찰하였다. <이홍전>은 액자 안과 밖에 현실과 허구를 배치시킴으로써 삽화에 사실성을 부여했다. 그리고 단편삽화의 논리적 연계구성을 통해 인물들 사이의 주도권과 대화 비중을 점층적으로 배치했다. 그리고 순환적 공간구성을 통해 문제의식의 범위를 확대하고 짜임새 있는 구조로 완성시켰다. <이홍전>의 갈등양상으로는 첫째, 안주 기생과 이홍의 갈등으로 세도를 믿고 오만하게 굴었던 기생이 물질 앞에서는 비굴해지는 모습을 폭로했다. 둘째, 개인의 이익을 위해 세금을 사적으로 사용하는 아전의 무능과 부패를 폭로했다. 셋째, 믿음과 구원을 팔아 배를 채우는 걸승의 탐욕에 반발하고 추악한 실체를 폭로했다. <이홍전>은 機를 지나치게 숭상한 결과 부정적 방법을 사용한 인물들과 이홍의 갈등을 통해 사회의 문제점을 드러냈다. <이홍전>의 인물형상화 양상에 대해 악인을 징치하는 의로운 사기꾼 이홍과 물질화 된 세태를 대표하는 악인 피해자들로 나누어 분석했다. 이홍은 작품 내부에서 사회의 문제점을 고발하고 비판하는 징치자 역할을 하지만 작품 외부 評語에서는 비판 대상이자 징벌 대상으로 위치가 역전되는 모순적 인물이다. <이홍전>의 주변 인물인 기생, 아전 승려가 작품 속에서 형상화된 양상을 분석해보면, 이들은 정상에서 벗어난 탐욕을 지닌 인물들로 사회·경제의 공리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당대 생활인들에게 해악을 끼쳤다. 뿐 아니라 건강한 노동 없이 폭리를 취했기 때문에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홍은 속임수를 통해 도를 넘어 재화를 탐하는 이들의 욕심을 폭로했다. Ⅳ장 <이홍전>의 작가의식과 문학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홍전>에 나타난 작가의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평어에 나타난 사회구조에 대한 비판의식을 분석하였다. <이홍전>은 사회구조의 모순과 혼란을 이용해 사기꾼이 법을 대신하고, 물질이 사람을 지배하는 세태를 비판하였다. <이홍전>은 작품 내부에서 기득권층에 영합하여 사회 질서를 어지럽히고 서민의 생활에 실질적 부담을 주는 인물들을 사회문제로 다뤘다. 그러나 결말의 평어를 통해 당시 사회의 기득권층인 임금과 벼슬아치 역시 이홍과 같은 사기꾼들이라고 밝히며 문제의식을 지배계층의 정점까지 확대하고 물질 중심적 가치가 지배하는 사회전반을 비판하였다. <이홍전>의 문학적 위상으로는 첫째, 사기소재 설화를 소설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사기 소재 설화 자체는 큰 인기를 누렸지만 문학의 소재로 삼아 작품화하기에는 파격적이었기 때문에 <이홍전>만큼 문학형식을 갖춘 작품으로 형성된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홍전>과 후대에 나온<김봉본전>의 비교를 통해 <이홍전>에 나타난 사기 소재 설화의 소설적 수용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둘째, 당대 사회에 대한 문제의식을 문학적으로 형상화시켰다는 것을 들 수 있다. 이옥은 일개 文士였지만 <이홍전>에서 물질화된 세태를 비판하고 체제의 밑바닥부터 정점에 이르기까지 비판 범위에 포함시켰다. 당시로서는 찾기 힘든 과감한 비판이다. <이홍전>은 겉으로는 사기꾼 이홍을 입전하고, 속임수를 쓰는 시정세태를 비판했지만 실제로는 당대 사회구조 전체와 인간성 상실을 비판한 사회성이 강한 작품이다. <이홍전>은 사기꾼 설화를 소재원천으로 작자의식을 담아 당대 사회를 반영한 소설로서의 가능성을 열어 보인 작품이다. <이홍전>은 기존의 유교적 가치관에서 한 단계 성숙해 새로운 시대에 맞는 가치관을 모색한 작가의식의 산물이며, 조선 후기 사기꾼 傳 가운데 문학적 성과를 보인 작품으로 가치를 지닌다. <이홍전>은 이옥이 남긴 傳 가운데 여항의 세태를 가장 잘 반영한 작품이며, 설화의 소설적 수용양상을 통해 서사문학의 발전을 보여준다. 그리고 소설적 인물형상화와 복합적 서술 구조를 통해 사회의식을 문학적으로 형상화 한 사회성이 강한 작품이다. <이홍전>에 대한 논의는 이옥 문학세계 연구 및 조선후기 세태 문학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