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창원-
dc.contributor.author황미경-
dc.creator황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2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3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392-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feature of Korean stops VOT of Korean-English bilinguals. Through the experiment of VOT(Voice Onset Time) measurement, Korean stops pronunciation of them as a function of age of acquisition(AOA) of English and length of residence(LOR) in the U.S.A.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stops pronunciation of Korean-English bilinguals and Korean monolinguals was also investigated. Two experiments was performed in this study. On first experiment, VOT of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has lived in U.S.A for about 5 years was measured. Then, It was took the means of VOT of each four group classified as age of acquisiton : simultaneous bilinguals(SB), early bilinguals under school age(EB-가), early bilinguals over school age(EB-나), late bilinguals(LB). After that, the difference of VOT of each group and the difference of VOT between each bilingual group and Korean monolingual group was analyzed. On second experiment, VOT of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has lived in U.S.A for about 10 years was supplementary measured. Additional subjects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like the first experiment. And then, VOT means of each group was measured and that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first experiment's result, and VOT means of each group was compared also with VOT of Korean monolingual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Korean stops VOT experiment of Korean-English bilinguals for the Korean bilabial, alveolar, and velum stops, simultaneous bilinguals(SB) who has started to acquire English at from 0 to 2 years old and two early bilinguals group(EB-가, EB-나) who has started to acquire English at from 3 to 13 years old has longer VOT for bilabial, alveolar, and velum stops than Korean monolinguals. Then, especially simultaneous bilinguals has remarkably longer VOT for the alveolar stops than Korean monolinguals and result of statistics, the difference of VOT for alveolar stops between simultaneous bilinguals and early bilinguals was only significant. So It seemed that English that was used for Korean-English bilinguals by L2 significantly influence to thier Korean alveolar stops pronunci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Korean stops VOT experiment of Korean-English bilingual four groups that was classified as age of acquisiton for the Korean plain, aspirated, and tense stops, generally AOA is earlier, VOT of plain and aspirated stops is longer. On the other hand, for tens stops, AOA is earlier, VOT is shorter. But tense stops VOT of late bilinguals was shorter than Korean monolinguals VOT.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ng Korean-English bilinguals as afunction of length of residence, in the case of simultaneous bilingual group shows similar aspect regardless of length of residenc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early bilingual group, group that has longer length of residence shows longer VOT for Korean plain stops. And group ghat has loner length of residence shows longer VOT for alveolar and aspirated stops in the case of late bilingual group. According as these results, even if Korean-English bilinguals who started to acquire English at similar age, if the length of residence is longer, L2 has effect on L1 lager. In conclusion, this study is for investigating Korean stops pronunciation of Korean-English bilinguals in the concrete through the experiment, especially it shows up the interrelation of the Korean stops pronunciation and two function of the age of acquisition(AOA) of English and length of residence(LOR).;본 연구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들이 발화한 한국어 파열음의 VOT를 측정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VOT 측정 실험을 통해 ‘영어 습득 시작 시기’와 ‘거주 기간’이라는 두 변수에 따라 이들의 한국어 파열음 발음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또한 이들의 발음이 한국어 단일언어화자의 발음과는 어떻게 다른지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실험을 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영어권 국가인 미국에서 거주한 기간이 5년 내외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발화한 한국어 어두 파열음을 녹음하여 각 파열음의 VOT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영어 습득 시작 시기’의 차이에 따라 나눈 네 그룹(동시적 이중언어화자(SB), 학령기 이전 초기 이중언어화자(EB-가), 학령기 이후 초기 이중언어화자(EB-나), 후기 이중언어화자(LB) 각각의 VOT 평균값을 구하였다. 그 후 각 그룹 간의 VOT 차이 및 각 그룹과 한국어 단일언어화자 간의 VOT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거주 기간이 10년 내외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를 대상으로 이들이 발화한 한국어 파열음 VOT를 추가로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와 같이 ‘영어 습득 시작 시기’의 차이에 따라 추가 피험자를 네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의 VOT 평균값을 측정한 후, 첫 번째 실험에서 측정한 네 그룹의 VOT와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네 그룹의 VOT 평균값을 한국어 단일언어화자의 VOT와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한국어 파열음 VOT를 한국어 파열음의 양순음, 치조음, 연구개음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0-2세 사이에 영어를 습득하기 시작한 동시적 이중언어화자(SB)와 영어 습득 시작 시기가 3-13세 사이인 초기 이중언어화자 두 그룹(EB-가, EB-나)은 양순음과 치조음, 연구개음의 모든 파열음에서 한국어 단일언어화자의 VOT에 비해 VOT 평균값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동시적 이중언어화자의 VOT는 특히 치조 파열음에서 한국어 단일언어화자의 VOT에 비해 길게 나타났으며, 동시적 이중언어화자와 초기 이중언어화자(EB-가) 그룹의 VOT 차이 또한 치조음에서만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들이 제2언어로 사용하는 영어가 이들의 한국어 치조 파열음 발음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어 파열음을 평음, 경음, 격음으로 나누어 영어 습득 시작 시기에 따라 나눈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 네 그룹의 VOT를 측정한 결과, 평파열음과 유기파열음에서는 대체적으로 영어 습득 시기가 이를수록 VOT가 길게 나타난 반면, 경파열음에서는 영어 습득 시기가 이를수록 VOT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초기 이중언어화자(EB-나)에 비해 영어 습득 시작 시기가 늦은 후기 이중언어화자(LB) 그룹의 경파열음 VOT는 한국어 단일언어화자의 VOT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주 기간’의 차이를 주요 변수로 하여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한국어 파열음 발음을 살펴보았을 때, 먼저 동시적 이중언어화자(SB) 그룹의 경우 거주 기간의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이들의 파열음 발음이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초기 이중언어화자(EB-가) 그룹에서는 상대적으로 거주 기간이 긴 화자 그룹의 치조 파열음 VOT가 더 긴 것으로 나타났고, 초기 이중언어화자(EB-나) 그룹에서는 거주 기간이 긴 화자 그룹의 평파열음 VOT가 더 길게 나타났다. 또한 후기 이중언어화자(LB) 그룹의 경우 거주 기간이 긴 화자 그룹의 치조 파열음과 유기파열음의 VOT가 상대적으로 길게 나타났다. 따라서 영어 습득 시작 시기가 비슷한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라 할지라도, 이들이 발화한 일부 한국어 파열음 발음에 대해서는 거주 기간이 길수록 제2언어가 제1언어의 발음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들의 한국어 파열음 발음 양상을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살펴본 실증적인 연구이며, 특히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들의 ‘영어 습득 시작 시기’와 ‘거주 기간’의 차이라는 두 변수가 이들의 한국어 파열음 발음과 어떤 연관성을 보이는지 구체적으로 밝힌 연구라 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 3 C. 선행 연구의 검토 = 5 1. 이중언어화자의 제1언어 발음에 관한 연구 = 5 2. 이중언어화자의 발음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 6 가. 언어적 변인에 관한 연구 = 6 나. 비언어적 변인에 관한 연구 = 9 3. 한국어 파열음 VOT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 10 Ⅱ.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한국어 파열음 VOT 측정 실험(1) - 영어 습득 시작 시기의 차이를 중심으로 = 13 A. 실험 방법 = 14 1. 피험자 = 14 2. 실험 절차 = 14 가. 읽기 목록 = 15 나. 녹음 및 분석 도구 = 16 3. VOT 측정 방법 = 16 4. 분석 방법 = 17 B. 실험 결과 = 18 1.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 그룹 간 비교 = 18 가. 조음 위치의 차이에 따른 파열음 VOT 비교 = 19 나. 발성 유형의 차이에 따른 파열음 VOT 비교 = 22 2.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와 한국어 단일언어화자의 비교 = 30 가. 조음 위치의 차이에 따른 파열음 VOT 비교 = 30 나. 발성 유형의 차이에 따른 파열음 VOT 비교 = 32 Ⅲ.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한국어 파열음 VOT 측정 실험(2) - 영어 습득 시작 시기에 따른 거주 기간 차이를 중심으로 = 38 A. 실험 방법 = 38 1. 피험자 = 38 2. 실험 절차 = 39 3. 분석 방법 = 39 B. 실험 결과 = 39 1.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 그룹 내 비교 = 39 가. 동시적 이중언어화자 그룹 내 비교 = 39 나. 초기 이중언어화자 그룹 내 비교 = 43 다. 후기 이중언어화자 그룹 내 비교 = 50 2. 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와 한국어 단일언어화자의 비교 = 56 가. 조음 위치의 차이에 따른 파열음 VOT 비교 = 56 나. 발성 유형의 차이에 따른 파열음 VOT 비교 = 57 Ⅳ. 결과의 원인 해석과 활용 방안 = 62 A. 원인 해석 = 62 1. 음향음성학적 해석 = 62 2. 사회심리학적 해석 = 65 B. 활용 방안 = 67 1. 순수언어학적 차원에서 음운론과 음성학의 가교 역할 = 67 2. 오류의 양상 파악 = 68 3. 제1언어와 제2언어의 상호작용 = 69 Ⅴ. 결론 및 논의점 = 70 참고문헌 = 75 부록 = 79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4058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어-영어 이중언어화자의 한국어 파열음 VOT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Study of Korean stops VOT of Korean-English bilinguals-
dc.creator.othernameHwang, Mi Kyeong-
dc.format.pagex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