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종윤-
dc.contributor.author반미연-
dc.creator반미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5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52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과학과 교육실습생들의 경험, 성찰 및 자기평가를 분석하여 교육실습에 대한 과학과 교육실습생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서울 소재 한 사범대학 화학교육전공 교육실습생 24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일지를 수집하여 그 기록 내용을 수업 참관, 수업 실습, 학급경영 실습, 생활지도 실습, 실무 실습, 지도교사 조언의 6가지 범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한 자기평가 설문지를 개발하여 교육실습 종료 1주일 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 내용은 교과학습지도, 생활지도, 학교 및 학급경영 활동, 교육실습 경험 성찰의 4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과학과 교육실습생들은 수업 참관에서는 교사의 수업을 모범 수업으로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 실습에서는 교수전략과 교과지식 모두 부족하다고 인식하였다. 학급경영 실습에서는 조례, 종례, 청소지도 등 학급경영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고, 생활지도 실습에서는 지도 및 상담 기법의 부족으로 인해 지도를 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무 실습에서는 학교행사 참여나 성적처리 등을 경험한 실습생이 많았으나 실습 기회를 갖지 못한 실습생도 있었다. 지도교사 조언은 수업과 관련된 내용에 치중해 있었고, 지도교사마다 조언의 양과 질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로서의 자질에 대한 자기평가에서 과학과 교육실습생들은 ‘약간 그렇다’ 수준 정도로 자기 평가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 성찰 내용과 다르게 다소 긍정적으로 자기평가를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의 내실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대학기관에서는 실습생이 어려움을 느끼는 교과지식과 교수전략을 파악하여 이를 강조해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실습생 또한 교과지식뿐만 아니라 교수전략 등 실천적 지식도 함께 쌓도록 해야 한다. 실습학교에서는 교육실습생에게 적극적 관심과 지원을 해 줄 필요가 있으며, 교육실습생은 교생으로서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교육실습 후에는 실습과정을 반성하고 평가하여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추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erience, self-reflection, self-evaluation and thereby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science department student teachers on student teaching practice. For this study, student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24 students majoring in chemistry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6 categories consisting of class inspection, class teaching practice, class management practice, life guidance practice, administrative experience and advice of the guidance teacher. Also,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for measuring qualification of a teacher was developed and its survey was conducted a week after the student teaching practice wa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s consisted of 4 sections including subject teaching, life guidance, class management activities and self-reflection on student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cience department student teachers recognize and accept the teaching of a teacher as an exemplary one during class inspection. For class teaching practice, they all agreed that they have insufficient teaching strategy and curriculum knowledge. During class management practice, the student teachers found difficulties especially in giving cleaning directions, starting and ending class assembly, etc. They also felt lack of guiding and consulting technique when doing life guidance practice. Although there were many student teachers who experienced administrative practices such as school events participating and report card processing, some were not even given the opportunity. The advice of the guidance teacher was mostly concentrated on class teaching and its quantity and quality of the advice varied. In the self-evaluation questionnaire for qualification as a teacher, the science department student teachers answered as ‘slightly yes’. In contrast to the self-reflection of the student teaching practice, they have moderately evaluated themselves posi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make the student teaching practice substantial, universities should primarily verify and emphasize the curriculum knowledge and teaching strategy which student teachers have difficulties. Also, the student teachers should build curriculum knowledge as well as practical knowledge including teaching strategy. The target school of the teaching practice should provide active support and interest to the student teachers and the student teachers should fully perform their roles. After finishing the teaching practice, the student teachers are needed to examine their qualification as a teacher by evaluating their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육실습의 목적과 의의 = 4 B. 교육실습의 주요 내용 = 5 C. 교사교육에서 자아성찰 = 6 D. 교육실습생의 자기평가 = 7 E. 교육실습에 관한 선행연구 사례 = 8 Ⅲ. 연구 방법 = 12 A. 연구 절차 = 12 B. 연구 대상 = 13 C. 연구 도구 및 방법 = 13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18 A. 교육실습일지 분석 = 18 1. 수업 참관 분석 = 18 2. 수업 실습 분석 = 24 3. 학급경영 실습 분석 = 31 4. 생활지도 실습 분석 = 34 5. 실무 실습 분석 = 38 6. 지도교사 조언 분석 = 39 B. 설문조사 결과 분석 = 44 1. 리커트 척도 문항 결과 분석 = 44 2. 서술형 문항 결과 분석 = 53 Ⅴ. 결론 및 제언 = 58 참고문헌 = 62 부록 = 64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103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과학과 교육실습생의 교육실습에 대한 경험, 성찰 및 자기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cience Department Student Teachers’ Experience, Self-reflection and Self-evaluation on Student Teaching Practice-
dc.creator.othernameBan, Mi-Yeon-
dc.format.pageⅴ,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화학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화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