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2 Download: 0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헌신의 관계

Title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가 지각하는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헌신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Job Stress in Teaching which is perceived by the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Teacher Commitment
Authors
이서윤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왕식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job stress in teaching which is perceived by the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teacher commitment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If the job stress in teaching had effect on the teacher commitment, the study investigated which low factor in the job stress in teaching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teacher commitment.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was accomplished, the study investigated not only difference of the teacher commitment depending upon teachers'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but also the effects of the job stress in teaching which is perceived by the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and the teacher commitment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Also the study investigated which low factor in the job stress in teaching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teacher commitment. The subjects were 590 teachers who attended general high schools at Seoul. The study finally investigated 537 copies. SPSS 15.0K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echnical statistics was done by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teacher commitment depending upon teachers'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the teacher commitment which is perceived by the general high school teachers was high in teaching commitment and student commitment, but relatively low in school commitment. And when other variables were uncontrolled, variables such as course of getting a teacher´s license, subject, position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ut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variables such as course of getting a teacher´s license, red tape, power loss, human relations, administrative support in the job stress in teaching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Like this, the t-test, ANOVA results of the teacher commitment depending upon teachers' social and demographic variables when other variables were uncontrolled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teacher commitment when other variables were controlled wer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t showed the limit of the precedent studies which were accomplished only when other variables were uncontrolled. Second,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know which low factor in the job stress in teaching had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teacher commitment were as follows. Human relations, red tape in the job stress in teaching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the job stress in teaching in the order named were important effect on the teacher commitment.;교직은 특성 상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는 직업으로 알려져 있다. 과도한 수업 부담 및 행정적 업무 부담, 학교 경영자 또는 교육행정 관리자들의 권위주의적이고 비민주적인 자세, 교권침해 및 교사의 사회적 지위 하락 등은 중요한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이러한 직무 스트레스는 교사 개인의 문제로 끝나지 않는다. 교사가 느끼는 직무 스트레스는 학교에서 행하는 교사의 모든 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결국 학생의 교육활동 및 지적·정서적 발달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처럼 학교에서 교사가 느끼는 직무 스트레스와 교사의 직무 행위 사이에는 상당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사헌신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이러한 교사 직무 스트레스 변인을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사교육비 절감을 위해 방과후학교 강화, 야간 자율학습 강화, 0교시 부활 등 교사들의 직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이 교사들의 교직 헌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되는 바,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 변인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교사헌신 관련 선행연구들은 상당한 추정 오차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교사가 느끼는 직무 스트레스가 교사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본 논문의 주요 연구문제는 교사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과연 교사들의 직무 스트레스가 교사헌신에 영향을 미치는지, 만일 영향을 미친다면 어떠한 스트레스 요인들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교사헌신 수준이 교사들의 배경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교사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헌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헌신에 대한 직무 스트레스 하위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크기를 추정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하고 있는 공·사립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지역을 4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각 지역에서 대상 학교를 임의표집 하였으며, 학교 수 및 학교 설립 유형 등을 고려하여 비례 유층 표집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12개 학교, 590명의 교사에게 배포하였다. 이 중 544개의 설문지(92.2%)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537개의 설문지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K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와 ANOVA, 중다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히고자 했던 연구문제들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자신의 수업헌신 및 학생헌신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으나, 학교헌신 수준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개인 배경 변인에 따른 헌신 수준 차이를 분석한 t-test 및 ANOVA 분석 결과와,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교사헌신에 대한 각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중다회귀분석 결과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차이는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 배경 변인별 단순 차이 비교만으로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있는 기존 연구들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인들의 영향력을 통제한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헌신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은 교원의 자격 취득 경로와 교직경력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영역 중에서는 관료적 운영 측면과 인간관계 측면, 행정적 지원 측면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헌신 수준의 경우, 개인 배경 변인 중 교원 자격 취득 경로와 담임여부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영역 중 관료적 운영 측면과 인간관계 측면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헌신 수준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개인 배경 변인 중 성별과 자격 취득 경로, 설립유형, 직위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영역 중 교사의 권위 상실에 따른 스트레스와 인간관계 측면과 인사 영역 측면, 행정적 지원의 부족에 따른 스트레스 등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교사의 헌신 영역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 스스로가 각 헌신의 하위 영역을 동일한 것으로 인식하지 않고, 서로를 별개의 대상으로 생각하고 행동하는 특성이 있음을 지적한 여러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또한 교사헌신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헌신의 대상에 따라 다른 정책적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해주고 있다. 셋째, 교사헌신 영역에 따라 각 변인의 상대적인 영향력 크기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헌신 수준에 대한 각 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상급자 및 동료교사들과의 인간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교육 정책 및 학교운영의 관료적 속성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와 행정적 지원 스트레스 변인 순으로 나타났다. 학생헌신에 대한 각 변인의 설명력을 비교하면, 인간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관료적 운영 스트레스, 행정적 지원 스트레스 변인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헌신 수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인간관계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변인이고, 관료적 운영에 대한 스트레스가 두 번째로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권위상실로 인한 스트레스와 업무 관련, 보상에 대한 스트레스가 동일한 설명력으로 그 뒤를 이었다. 그리고 학교헌신 수준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변인은 인간관계 스트레스 변인이었으며, 인사 관련 스트레스, 행정적 지원 관련 스트레스 등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주목할 것은 인간관계 스트레스 변인은 교사헌신을 비롯한 하위의 모든 헌신 영역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교사헌신을 제고하기 위한 정책 방안 마련 과정에서 가장 먼저 관심을 가져야 할 부분이 교원들 간의 인간관계임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제한점들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연구 문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헌신 및 하위 헌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대해 보다 면밀한 탐색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네 번의 회귀분석은 설명력이 20%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헌신의 나머지 변량을 설명할 수 있는 새로운 변인의 탐색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이유라 할 것이다. 둘째, 연구자의 시간적·재정적 한계로 인하여 충분한 학교 수를 확보하지 못한 부분은 본 연구의 중요한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경우에는 설문 대상 교사 수도 중요하지만, 충분한 학교 수를 확보하는 것 또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교원 자격 취득 경로에 따라 교사헌신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이유를 정확하게 설명할 만한 선행연구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설문지를 통해 확보한 분석 자료 내에서는 그 이유를 찾는 것이 불가능했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통해 교원 자격 취득 경로에 따라 교사헌신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를 분명하게 밝힐 필요가 있으며, 그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교사양성체제를 개편을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