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민식-
dc.contributor.author백수현-
dc.creator백수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9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16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164-
dc.description.abstractAs these days value much of knowledge & economic analytic ability on the basic economic concepts & principles, the impotance of the economic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So, Korea Development Institute(KDI) held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 in 2004 to prepare an opportunity of activating school economic education through inducing high school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economy with social concern in the school economic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has the meaning not only in that it offers an opportunity to grasp the economic ability personally but in that it 's way to activate economic education and pick out · foster talents in the social dimension. Recently,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arouses criticism that it evaluates how much prior learning is done. In addition, the host of the Competition once expressed worry that it has produced side effects of students' relying on private education to prepare the Competition.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seems to have a limit of causing excessive prior learning while concentrating on the external purpose of awarding rather than considering students' growth process & curriculum. Such criticism is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Competition. Because,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 evaluates not simple memorization of the economic logic but students' effort to solve questions. Therefore, it's required to examine whether items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the Competition are given through item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Based on these critical mind, through dividing question-giving principles of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 into the general & detail principles, this study analyzed items according to these two principles. And, the general principle means the balance among micro · macro · international economies, balance among sub-themes, balance among intensive level, principles of Economics level, issues of the day level with the degree of difficulty balance. The detail principle means problems to demand logical thinking power & discrimination & arouse interest in economy · economics. It classified items of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according to the question-giving principles, and compared them with the economy item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Based on the general question-giving principle, the results of item analysis are like followings below. First, as the result of item classifying into micro · macro · international economies, items of each area didn't show distribution in scale. Also, the ratio of question-giving didn't show even distribution by large area(set 7 large area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urriculum). Rather than having the principle of 'balanced' question-giving abstractly, it's required to set a ratio of area concretely like that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NAEP) Economic Assessment. Second, as the result of item classifying into sub themes & contents elements, it showed difference from the contents elements of economy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Though economical issues · scarcity & measuring inequality are contents elements presented in almost every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never did it happen in the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On the contrary, uncertainty, asymmetric property, monetary supply, financial markets(stocks · bonds) are frequent contents elements in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but never did it happen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Judging from these above, unlik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having the limit of curriculum, in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it can present contents elements of Principles of Economics valued much but not contained in the curriculum. So diversity of the contents elements may exist. Third, as the result of item classifying into Intensive level, Principles of Economics level, issues of the day level, their ratio varied by each competition. So, concrete question-giving principle is required hereafter. As the result of item classifying into large areas, understanding of the economic life & issues, market & economic activities, understanding of national economy, prospects on world market & Korean economy gave weight on the intensive level, however, role of economic subject & decision making area, market failure and government intervention area gave weight on Principles of Economics level. Fourth, when examined balance in the degree of difficulty, ratio according to item difficulty section didn't show certain distribution by each competition. Ratio of item difficulty also has to be stated clearly in the question-giving principle. And, as for item factors influencing on the degree of difficulty, it showed contents area, item level, behavior area, item material & contents of material, item type in order. Based on the detail principle, the results of item analysis are like followings below. First, behavior areas, measured in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ar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ual principles, grasping & recognizing problems, analyzing & interpreting data, drawing of a conclusion & its evaluating. So, it's thought that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emphasizes cognitive elements. And, ratio of behavior area doesn't show certain distribution. So, question-giving principles have to be set to develop items of certain ratio in the behavior area.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data, in order to grasp whether they're items to arouse interest in economy · economics, texts were used most frequently and many economic cases were presented. To arouse interest in economy · economics, it's required to present contents related to issues of the day or real life. Third, as the result of inspecting discrimination, items showed higher discrimination in the areas of data analysis & interpretation, conclusion drawing & evaluation, application & inference. Furthermore, investigative items had higher discrimination than the general, and especially when data was presented as the mixed type, it showed higher discrimination. Items having lower discrimination showed high ratio so it's required to manage such things hereafter.;기본적인 경제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지식과 경제적 분석 능력이 중시됨에 따라 경제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고등학생들에게 경제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학교 경제교육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킴으로써 학교 경제교육 활성화의 계기를 마련하고자 ‘전국 고교생 경제 경시대회’를 2004년에 개최하였다.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는 개인적으로 경제적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하지만, 사회적 차원에서 경제교육의 활성화 및 인재의 발굴 · 육성의 수단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지닌다. 최근 들어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가 얼마나 선행학습을 했느냐를 평가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대회의 주최 측에서도 이 대회를 준비하기 위해 또다시 사교육에 의존하는 부작용이 생기고 있다는 우려를 표한 바 있다.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가 학생의 성장 과정 및 교육과정을 고려하기 보다는 수상이라는 외재적 목적에 치중되어 지나친 선행학습을 부추긴다는 한계를 보인다. 이러한 비판은 대회의 취지와 상반된다.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는 경제논리를 단순히 암기하고 있는 것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풀어가는 학생들의 노력을 평가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의 문항분석을 통해 대회의 취지에 부합한 문항이 출제되고 있는가를 파악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의 출제원칙을 총괄적 원칙과 세부적 원칙으로 구분하여, 이 두 가지 출제 원칙에 따라 문항을 분석하였다. 이 때, 총괄적 원칙은 미시 · 거시 · 국제경제 영역의 균형, 소주제들 사이의 균형, 심화 · 원론 · 시사의 균형, 난이도에의 균형이다. 세부적 원칙은 논리적인 사고력을 요하는 문제, 경제 · 경제학에 대한 관심을 환기할 수 있는 문제, 변별력을 요하는 문제이다.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의 문항을 출제원칙에 따라 문항을 분류하고, 이를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경제과목 문항과 비교하였다. 총괄적 출제원칙을 기준으로 하여 문항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시경제, 거시경제, 국제경제로 문항을 분류한 결과, 미시 · 거시 · 국제경제 영역의 문항은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지 못하였다. 또한 대영역(교육과정상의 분류를 토대로 하여 7개의 대영역을 설정)별 출제 비율도 고르지 않게 나타났다. 추상적으로 “균형 있는” 출제를 원칙으로 하기보다는 미국의 경제 학업성취도 평가와 같이 출제 시 지켜야 할 영역별 비율을 구체적으로 정해야 한다. 둘째, 문항을 소주제 및 내용요소별로 분류한 결과, 수능 경제과목의 내용요소와 차이를 보였다. 경제 문제 · 희소성과 불평등 측정은 거의 매 수능마다 출제되는 내용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에서는 한 번도 출제되지 않았다. 이와는 반대로, 불확실성과 비대칭성, 화폐공급, 금융시장(주식 · 채권) 등은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에서 빈번하게 출제되는 내용요소이지만 수능에서는 출제되지 않았다. 이를 바탕으로 판단컨대, 교육과정에 제약을 받는 수능과는 달리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의 경우 교육과정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경제원론의 내용요소를 출제할 수 있기 때문에 내용요소의 다양성이 존재한다. 셋째, 심화, 경제원론, 시사의 기준으로 문항을 분류한 결과, 각 대회별로 그 비율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 또한 향후에 구체적인 출제원칙이 필요하다. 대영역별로 문항의 수준을 분류한 결과,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의 이해, 시장과 경제활동, 국민 경제의 이해, 세계시장과 한국경제미래전망은 심화수준의 문제 비중이 높으며, 경제주체의 역할과 의사결정영역, 시장 기능의 한계와 정부개입 영역은 경제 원론 수준의 문제 비중이 높았다. 넷째, 난이도에의 균형을 살펴보면, 각 대회별로 정답률 구간에 따른 비율이 일정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난이도 비율도 구체적으로 출제원칙에 명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난이도에 영향을 끼치는 문항 요인들은 내용영역, 문항의 수준, 행동영역, 문항 소재 및 자료 내용, 문항 유형으로 나타났다. 세부적 원칙을 기준으로 한 문항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가 측정하는 행동영역은 개념원리의 이해, 문제 파악 및 인식, 자료 분석 및 해석, 결론 도출 및 평가이다. 이는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가 인지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행동영역별 비율이 각 대회마다 일정치 않게 나타난다. 행동 영역에서 일정 비율의 문항이 개발되는 출제원칙을 세울 필요가 있다. 둘째, 경제 · 경제학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킬 수 있는 문항인가를 파악하기 위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텍스트가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경제사례가 많이 제시되었다. 경제 · 경제학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시사적이거나 실생활과 관련된 내용을 자료로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변별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자료 분석 및 해석 영역과 결론 도출 및 평가 영역의 문항, 적용 영역과 추론 영역의 문항이 변별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탐구형 문항이 일반형보다 변별력이 높았으며, 그 중 혼합형으로 자료가 제시되었을 때 변별력이 높았다. 변별력이 낮은 문항도 높은 비율로 나타나 향후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1. 문제의식 = 1 2. 연구의 목적 = 2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 = 6 1. 전국 고교생 경제경시대회의 개요 = 6 2.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의 문항 출제 = 7 3.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 관련 선행연구 = 7 4.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고찰 = 9 B. 경제교육에서의 평가 = 11 1. 경제교육의 목표 및 평가목표 = 11 2. 경제교육에서의 평가 영역 = 12 3. 경제교육에서의 평가문항의 형태 및 형식 = 18 C. 난이도 및 변별도 = 21 1. 난이도 = 21 2. 변별도 = 22 Ⅲ. 연구방법 = 23 A. 분석대상 = 23 B. 분석 준거 및 분석의 틀 = 24 1. 분석 준거 = 24 2. 분석의 틀 = 24 C. 분석내용 = 25 Ⅳ. 연구결과 = 26 A. 평가문항의 내용영역 분석 = 26 1. 문항의 3분류 및 대영역분류 = 26 2. 소주제별 분류 = 28 B. 심화 ·경제원론 ·시사의 분류 = 30 1. 각 대회별 심화,경제원론,시사 문항 분류 = 30 2. 대영역별 심화,경제원론,시사 문항 분류 = 31 C. 평가문항의 행동영역 분석 = 33 1.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행동영역 기준에 따른 분류 = 33 2. 미국 경제 학업성취도 평가의 행동영역 기준에 따른 분류 = 34 D. 문항의 형태 및 유형별 분류 = 36 1. 문항의 형태에 따른 분류 = 36 2. 문항에서 제시된 자료에 따른 분류 = 36 3. 문항 유형에 따른 분류 = 38 E. 문항 난이도 및 변별도 분포 = 39 1. 각 대회별 문항 난이도 및 변별도 분포 = 39 2. 문항 난이도 및 변별도 영향 요인 분석 = 41 Ⅴ.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59 부록 1. 내용 요소별 입문서, NCEE 경제교육표준안, 경제교육과정 반영 결과 = 63 부록 2. 경제학 원론 내용 체계분류에 근거한 제1회~제6회 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 문항 내용영역 분석 = 66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0812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전국 고교생 경제 한마당 대회 선다형 문항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n Multiple Choice Items of High School Students National Economic Competition-
dc.creator.othernameBaek Su Hyun-
dc.format.pagexii, 7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