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현숙-
dc.contributor.author박미경-
dc.creator박미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3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6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380-
dc.description.abstract장애학생들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 및 지원서비스의 강화로 일반중학교에 재학하는 장애학생들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들이 일반학급에 머무는 시간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의 교육환경은 초등학교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달라 통합교육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이 많으며, 특히 초등에 비해 심화된 내용 교과 중심의 교육과정과 강의식 수업 등으로 인하여 교수적 통합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들이 통합교육환경에서 적극적으로 학업에 참여하고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서는 강도 높은 지원과 개별 학생의 요구에 부합하는 지원이 요구되며, 이러한 서비스를 적절하게 전달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실행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장애학생들의 통합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특수교육보조원을 활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들은 현재 학교현장에 배치되어 다양한 역할을 함으로써 특수교육 팀의 중요한 일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장애학생들에 대한 많은 관심과 충분한 자질을 갖춘 특수교육보조원이라고 하더라도 이들을 대상으로 통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사의 지시와 감독 및 학교현장에 적합한 훈련이 요구되며, 통합지원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일반학급 교사와도 협력하여야 한다. 협력적 자문은 통합 환경에 있는 장애학생의 학습과 행동 문제를 예방하고, 문제 있는 학생에 대한 적절한 교수를 제공하기 위해 교수프로그램을 조정하는 것으로 다양한 전문가들이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찾아내는 상호작용과정이며, 중등학교에 배치된 장애학생들의 통합을 촉진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으로 제안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중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사, 일반교사, 특수교육보조원으로 구성된 팀을 기반으로 하는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수업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협력적 자문팀원 간의 협력관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에 위치한 일반 중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 3명과 통합교육을 지원하는 협력적 자문팀의 구성원 5인(일반교사 2명, 특수교사 1명, 특수교육보조원 2명)이며, 실험은 연구참여학생이 재학 중인 중학교 일반학급과 특수학급에서 총 16주에 걸쳐 진행되었다. 장애학생들의 일반학급 수업참여행동에 대한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예비관찰기간에 협력적 자문팀을 구성한 후 문제해결과정에 따라 통합지원전략을 논의하고 팀원 간의 역할을 정의하였으며, 연구참여학생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Tawney & Gast, 1984)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초선 기간에는 장애학생들의 수학시간 수업참여행동을 관찰하였으며,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직무훈련을 제공하였고, 연구참여학생 1의 기초선 자료점이 경향 및 수준에서 안정되었을 때, 특수교육보조원이 수학시간에 함께 입실하여 팀에서 고안한 방안에 따라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대한 통합지원을 실행하였다. 이후, 중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른 연구참여학생 2와 3에게도 순차적으로 중재를 진행하였으며, 중재 종료 직후, 국어시간에 일반화 관찰 3회를 실시하고, 중재 종료 3주 후에 기초선 조건과 동일한 상황에서 유지 관찰을 연속 3회 실시하였다. 또한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과정에서 협력적 자문팀원 간의 협력관계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문화기술지(ethnography)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통합지원과정에 대한 참여관찰과 팀원들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전사 한 후 Corbin과 Strauss(2008)가 제시한 연속적 비교분석법(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사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을 실시한 결과, 일반중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학생들의 일반학급 수업참여행동이 증가하였으며, 중재를 통해 증가된 수업참여행동은 일반화되고 유지되었다. 둘째,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과정에서 팀원들은 장애학생들의 수업참여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의 중요성과 걸림돌에 대한 인식을 함께하였고, 협력을 통해 이를 해결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이러한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팀원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12개의 부주제와 장애학생들의 일반학급 수업참여에 대한 시각, 수업참여의 저해요인, 일반학급 수업참여를 위한 노력: 협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반응 등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또한, 팀원들은 협력과정에서 서로 다른 교육체계에 대해 이해하고 배려하게 되었으며, 자신에 대한 역할 기대를 인식하고 수행하려했으나, 현실적인 제약조건들로 인하여 서로 간의 역할이양이 나타났다. 협력과정에서 팀원들이 인식한 역할에 대해 분석한 결과, 7개의 부주제가 도출되었으며, 이는 서로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수행 및 역할 만족 등 2개의 주제로 통합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일반 중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청소년들의 교수적 통합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등 장애청소년의 통합을 지원하기 위하여 학교차원의 협력적 자문팀 구성 및 통합지원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을 밝힌 점과 일반 중학교의 교육현장에서 특수교육보조원에 대한 직무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제공하고, 장애학생에 대한 통합지원을 실시하여 그 효과를 밝힌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수업참여행동에 대해서만 중재를 계획하고 실행하였으며, 단일 학교에서만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교육현장에 폭넓게 적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제한점들을 보충 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Due to the expansion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improvements in support services, the number of the students attending and the hours they stay in general middle school are increasing. However, juveniles with disabilities have many difficulties with academic tasks presented in the general curriculum, they are unable to meaningfully participate in all the work of a general class. At the beginning of this decade, our country began to use paraprofessional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now participate as important members of the special education team by taking various roles on-site in schools. Although paraprofessionals try to provide high quality care and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 encourage greater integration, there needs to be greater direction and supervision b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training tailor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specific school site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greater cooperation with general teachers to maximize inclusion. Collaborative consultation is the one adjusting instructional programs to prevent learning and behavior problem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nvironments and provide them with the adequate instruction, and the process of interaction various experts try to find out creative solutions. It is proposed as the effective strategy to promote inclus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middle school. So, for the disabled students integrated into the general middle school. Therefore,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tegrated into the general middle school, this study intends to inspect the effects of the supporting inclusion of the paraprofessionals based on the team composed of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general teachers, and paraprofessionals on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and examine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ve relations among collaborative consultation team member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in the special class of the general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and five members of collaborative consultation team (two general teachers, one special education teacher, two paraprofessional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16 weeks in the general and special classes which student participants are attending. In order to inspect the effects of team-based paraprofessionals' support for inclusion on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the strategies to be implemented for supporting inclusion were discussed by the team according to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the roles of the team members were defined in preliminary observations.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in the order of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using the multiple prob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During the baseline period, paraprofessionals were provided with duty training and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observed in math class. When baseline data points of participant 1 were stabilized at the tendency and level, paraprofessionals performed the support for inclusion based on team approach.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intervention, it was repeated with student participants 2 and 3. After the completion of these interventions, three observations for generalization were performed in Korean class, and observations for maintenance were performed 3 times in a raw, 3 week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at the same condition with baseline. An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was used in order to inspect the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ve relations amongst team members in the team-based paraprofessionals' support for inclusion process. The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y were transferred and analyzed utiliz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team-based paraprofessionals' support for inclusion in general classes,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general middle school increased, and the increased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through the intervention were generalized and maintained. Second, team members cooperated with each other during problem-solving process to improve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y shared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and its obstacles of the academic engagement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and also endeavored to solve them through collaboration. Furthermore, team members came to understand and consider different educational systems during collaboration, and recognized and performed role expectation of themselves, but showed mutual role transfer owing to the practical restrictions. I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at team-based paraprofessionals' support for inclusion ma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structional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tending general middle school. It can be said that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details of a collaborative consultation team composition at school level and integrated support for the increased integration of juveniles with disabilities, and that it investigated its effects through school's providing duty training program for paraprofessionals and implementing the supporting inclusion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However, this study planned and performed intervention only for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general classes and in a single school; so, it has difficulty in wide apply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educational setting.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implement further studies to complement these limitatio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7 C. 용어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10 A. 중등특수교육과 통합교육 = 10 1. 중등특수교육 = 10 2. 통합교육 = 13 3. 장애학생의 일반학급 수업참여행동 = 18 B. 특수교육보조원의 활용 및 관리 = 21 1.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도입 배경 = 21 2. 특수교육보조원 제도의 운영 실태 = 22 3. 특수교육보조원의 역할 = 27 4. 특수교육보조원의 관리 = 29 C. 팀을 기반으로 한 통합지원 = 33 1. 협력팀의 필요성 및 장점 = 33 2. 협력적 자문 = 35 3. 교사와 보조원 간의 협력 = 39 4. 팀 기반 통합지원 관련 선행연구 고찰 = 45 Ⅲ. 연구 방법 = 48 A. 연구참여자 = 48 1. 장애학생 = 48 2. 협력적 자문팀 = 53 B. 실험기간 = 54 C. 실험장소 = 55 D. 실험도구 = 55 1.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관찰기록표 = 55 2. 현장노트 = 56 E. 실험설계 및 실험절차 = 59 1. 실험설계 = 59 2. 실험절차 = 60 F. 자료수집 및 분석 = 75 1.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 75 2. 팀원 간 협력관계에 대한 인식 = 75 G. 관찰자 간 신뢰도 = 78 I. 중재 충실도 = 79 1. 특수교육보조원의 중재 충실도 = 80 2. 협력적 자문팀원들의 중재 충실도 = 80 I. 사회적 타당도 = 81 Ⅳ. 연구 결과 = 83 A. 장애학생 수업참여행동의 변화 = 83 1. 수업참여행동의 변화 = 83 2. 수업참여행동 변화의 일반화 = 89 3. 수업참여행동 변화의 유지 = 91 B. 팀원 간 협력관계에 대한 인식 = 93 1. 팀원 간 문제해결과정에 대한 인식 = 93 2. 팀원 간 역할에 대한 인식 = 117 Ⅴ. 논의 및 제언 = 132 A. 논의 = 133 1.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중학교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에 미친 영향 = 133 2.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팀원 간 인식에 미친 영향 = 142 3. 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에 대한 통합적 논의 = 148 B. 제한점 = 152 C. 제언 = 153 참고문헌 = 156 부록 = 173 Abstract = 20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8012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팀 기반 특수교육보조원의 통합지원이 중학교 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 및 팀원 간 인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eam-Based Paraprofessionals' Support for Inclusion on the Academic Engagement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ve Relations among Team Members in General Middle School-
dc.creator.othernamePark, Mi Kyung-
dc.format.pagexi, 205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