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동열-
dc.contributor.author권혜진-
dc.creator권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1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6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136-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news reporters and to build a behavioral model based on the empirical data. For that purpose, a study on news reporters working at domestic media companies, including daily newspapers, magazines, and online newspapers was conducted. A mixed-methods approach that use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such as survey questionnaires, transaction log analysis(TLA), and in-depth interviews was used. There are four specific objectives. The first purpose was to examine the overall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news reporters and analyze its correlation with parameters that characterize information needs, preferred sources of information,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use. For this purpose, a survey research by sending questionnaires via email to news reporters at 24 media companies mainly including Dong-a Daily Newspaper and its affiliates. A total of 205 out of 377 news reporters (54.4 %)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from survey questionnaires are as follows: News reporters' primary purposes of seeking web information were to simply check facts, collect overall background information, find a news item, and collect work idea. Their most preferred search strategy at this initial stage are informal searching where they determine subjects and conduct a simple keyword searching. They preferred searching to browsing. Comparing the dependency on online information sources across various reporting areas, dependency was very high for Internet news, international items and entertainment while low for society /nation, education/welfare, politics and editorial/column. 71.7 % of the total searches counted for urgent searching that requires information necessity for the same day or the following day. This result explains the reason why news reporters preferred searching, particularly informal searching to browsing. At the stage of news ideas collection, the most preferred sources of information was informal information from newsbeat news source/human network. In writing stage, most preferred sources of information were informal information from newsbeat news sources /human network, news reports from news agencies such as Yonhap News, and interview with external experts. The most important evaluation criteria of websites was accuracy, followed by recency, and authority of information sources. As the biggest problem in seeking web information, 40 %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 credibility of promotional materials. This finding indicates information reliability as the biggest issue in seeking web information. Report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information seeking strategies while they were not with emails. This study established five hypotheses to examine correlations between preferred information sources and factors that characterize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use.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s are as follows: First, news reporters' information needs were closely related to their position, media type, and familiarity with the Internet while they had little association with gender, age, reporting area, and career. Second, news reporters' preferred sources of information were closely related to reporting area but not to gender, age, media type and career. Third, news reporters'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u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ge and career while they had little relationship with gender, media type and reporting area. Fourth, news reporters' information need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formation sources at the stage of news ideas gathering and with information sources and individual web sites at the stage of news writing. Finally, the more the news reporters recognized the use of these sources, the higher the impact was on the satisfaction in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Internet use.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atterns in the news report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by observing their web search activities. For this purpose, transaction logs collected from 23 news reporters from survey participants, using such criteria as their affiliated media type, reporting area, and experience were analyzed. Web tracking software was installed to collect the data from their PCs, and web logs were saved in a separate server. A total of 39,860 web logs were collected in two weeks, and 27,810 logs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rowsing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search behavior (47.5 %), followed by extracting (23.5 %), monitoring (20.4 %) and chaining (8.6 %). When a lapse of 30 minutes or greater indicated the end of session, 873 sessions were extracted. It was found that the news reporters start the session by monitoring (58.4 %), followed by extracting (18.9 %), browsing (11.8 %) and chaining (10.9 %), which was different by hour and work. According to start and end patterns of sessions, the pattern starting with monitoring (M) and ending with browsing (B) took the biggest portion of 873 sessions (19.7 %). When it came to a transitional pattern by step, a pattern from monitoring (M) to monitoring (M) was 16.2 %, the highest among the 1st to 2nd step transitional patterns. The study used a sequence model to analyze overall transitional patterns in their web search. When the maximum sequence size was limited to five and minimum support and confidence was set to 20 % or higher, a total of 915 links were derived. Among them, 757 links had 20 % or higher support and 70% or higher confidence. Out of these, the pattern with the highest confidence was chaining (C), monitoring (M), browsing (B), browsing (B) and browsing (B), and the probability of having this sequence (C-M-B-B-B) was 93.6 %. When the pattern of Internet use was compared with the general public, the average number of sites visited, the average days of using the Internet and the average duration time were higher among news reporters than the general public. In comparison, the general public showed a little higher average page views than news reporters. And news reporters showed the average number of search words was three times higher than the general public. When it comes to sections at portal sites, news reporters spent their time on search service three times more than the general public. The thir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overall web information seeking process, such as news reporters' work environment, situations that initiate information seeking, preferred information sources, and use of other information channels. For that purpose,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10 news reporters who were selected based on media type and reporting area among those analyzed for transaction logs. According to in-depth interview results, news reporters' work process was emerged as 4 stages, starting from agenda/issue identification, idea gathering, news writing, and review; their information needs were different at each stage. In terms of source preference, they favored web searching greatly at the stage of news idea gathering regardless of reporting area and media type. However, this preference to web searching changed considerably at the news writing stage by reporting area and media type. They employed browsing heavily at the ideas gathering stage, but searching at the news writing stage. Furthermore, monitoring behavior was also different at different stages: monitoring at the idea gathering stage was focused on something new, whereas it was focused on comparison with news in other newspapers at the review stage. The fourth purpose of the study was to build a behavioral model of web information seeking among news report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pecifically, the model integrates the results of (1) a pattern analysis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and (2) a model building of information needs. First, the analysis of pattern derived a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odel that consists of four types of behaviors: fact-checking browsing, fact-checking search, investigative browising and investigative search based on keword search and seeking behavior per session. Second, a model derived from information needs is composed of nine components: work roles, work stages, information needs, information sources, barriers,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personal factors, reporting and evaluation. As a result, an integrated model of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f news reporters was establish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information seeking research to a professional group by taking a close examination of reporters'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n the 21st century when the Internet has become a critical tool to many professional groups. Furthermroe, it attempted to provide a theoretical explanation of report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n the web by building an integrated model derived from rich empricial data, through various data triangulation efforts collected from a hard-to-reach professional work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at investigated reporters' web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re expected to be used in the following areas. First, the integrated model proposed in the study could be used not only for journalists in general but also for news contents producers as a whole, including program directors, drama writers and bloggers. Second, news reporters' information needs disclosed in the present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curriculums for training news reporters in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s. Finally, the results about preferred information sources could be used to build knowledge-information systems or news source sites for news reporters.;본 연구는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웹 정보탐색행위의 모형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간지, 주간지, 월간지, 인터넷 신문 등 국내 언론사에 소속되어 있는 기자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와 트랜잭션로그 분석, 심층면담 등 양적 연구방법과 질적 연구방법을 혼용하여 접근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목적은 첫째,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현황을 조사하고, 정보요구, 선호 정보원, 정보기술과 인터넷 활용의 특성을 형성하는 변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지는 동아일보 및 계열사를 중심으로 24개 매체의 취재기자에게 e-메일로 배포하였다. 배포한 377부 중에 205부가 응답하여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응답률은 54.4%이다. 설문 분석 결과의 주요한 발견은 다음과 같다.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 목적은 간단한 사실 확인과 전반적인 배경 정보 수집, 아이템 발굴 및 업무 아이디어 수집이 매우 중요한 목적으로 분석되었다. 웹 정보탐색전략은 주제를 정해서 탐색하며, 간단하게 키워드 검색을 해서 보는 방법, 즉 비공식 검색 방법을 가장 선호하였고, 브라우징보다는 검색 위주의 탐색전략을 훨씬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재분야별 웹 정보원에 대한 의존도는 인터넷뉴스, 국제, 엔터테인먼트 분야는 매우 높은 반면, 사회/전국, 교육/복지, 정치, 논설/칼럼 등의 분야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웹 정보탐색의 경우 당일 또는 익일에 필요한 정보를 찾는 긴급한 검색이 71.7%를 차지하였다. 기사 아이디어 수집 단계의 정보원 선호도는 출입처 취재원/인맥을 통해 얻는 비공식 정보가 가장 높았으며, 기사 작성 단계에서의 선호 정보원은 출입처 취재원/인맥을 통해 얻는 비공식 정보, 연합뉴스 등 통신사 기사, 외부 전문가 인터뷰가 공동 1위를 차지하였다. 정보탐색 시 웹 사이트의 평가 기준으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정보의 정확성, 정보의 최신성, 정보제공자의 권위 순으로 나타났다. 웹 정보탐색 시 부딪히는 문제 중 1순위는 홍보성 자료가 많아 신뢰하기 어렵거나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웹 정보탐색행위에 대한 만족도의 경우 탐색전략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반면, e-메일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호 정보원, 정보기술과 인터넷 활용의 특성과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5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 검증 결과, 첫째, 기자직의 정보요구에 대한 특성은 직책과 매체종류, 인터넷친밀도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나 성별, 연령, 취재분야, 경력은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자직의 선호 정보원에 대한 특성은 취재분야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반면에 성별, 연령, 매체종류, 경력은 관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자직의 정보기술 및 인터넷 활용에 대한 특성은 연령, 경력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반면, 성별, 매체종류, 취재분야는 관련성이 낮았다. 넷째, 기자직의 정보요구는 기사 아이디어 수집단계에서의 정보원, 기사 작성단계에서의 정보원, 개별 웹 사이트/정보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섯째, 기사 아이디어 수집단계에서의 정보원, 기사 작성단계에서의 정보원, 개별 웹 사이트/정보원 모두 정보원 활용을 높게 인식할수록 정보탐색행위 및 인터넷 이용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목적은 기자직의 정보탐색행위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해 웹 정보탐색과정에서 웹 이용 활동이 실제 어떻게 나타나는지 관찰하고 그 패턴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트랜잭션로그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대상은 설문조사 대상자 중에서 매체종류, 취재분야, 경력을 기준으로 23명을 선정하였다. 데이터의 수집 방법은 대상자의 컴퓨터에 웹 트래킹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별도의 서버에 웹 로그를 저장하였으며, 2주에 걸쳐 총 39,860건의 웹 로그를 수집하였다. 트랜잭션로그 분석 결과, 후처리를 거친 27,810건의 로그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탐색행위는 브라우징(47.5%), 추출(23.5%), 모니터링(20.4%), 연결(8.6%) 순으로 나타났다. 30분을 기준으로 세션을 구분할 때 873개의 세션이 도출되었으며, 세션의 시작 패턴은 모니터링(58.4%), 추출(18.9%), 브라우징(11.8%), 연결(10.9%) 순으로 나타났고, 시작 패턴은 시간대, 업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세션의 시작과 종료 패턴을 살펴보면, 모니터링(M)에서 시작하여 브라우징(B)로 끝난 것이 전체 873건(19.7%)으로 가장 많았다. 단계별 이행 패턴을 살펴보면, 1-2단계 이행 패턴 중 모니터링(M)에서 모니터링(M)으로 이행한 패턴이 16.2%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전체적인 탐색행위 이행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순차규칙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최대 순차규칙 크기를 5개로 제한했을 때 지지도 20%이상, 신뢰도 70% 이상인 연관성은 915개였다. 이 중에서 신뢰도가 가장 높은 패턴은 C-M-B-B-B 패턴으로, 연결(C), 모니터링(M), 브라우징(B), 브라우징(B), 브라우징(B)이 순서대로 나올 확률이 93.6%였다. 기자직과 일반인의 웹 이용 패턴을 비교해 보면, 평균 방문 사이트 수, 평균 인터넷 이용일수, 평균 체류시간(분)은 기자직이 일반인보다 높았으며, 평균 페이지뷰(PV)는 일반인이 기자직보다 다소 높았다. 검색 평균 질의어 수를 비교해 보면, 기자직이 일반인에 비해 평균 질의어 수가 3배 이상 많았다. 포털사이트 내 섹션을 기준으로 할 때 총 이용시간 중 검색 서비스의 점유율은 기자직이 일반인에 비해 3배 이상 검색 이용 비중이 높았다. 세 번째 연구 목적은 정보요구가 발생하는 상황, 기자직의 업무와 정보요구, 선호 정보원과 다른 정보 채널의 활용과 같은 전체적인 정보탐색과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면담의 대상은 트랜잭션로그 분석 대상자 중 매체종류와 취재분야를 기준으로 10명을 선정하였다. 심층면담 분석 결과, 기자직의 업무 단계는 의제/이슈 파악 단계, 아이디어 수집 단계, 기사 작성 단계, 리뷰 단계의 4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업무 단계에 따라 정보요구가 다르게 나타났다. 네 번째 연구 목적은 설문조사, 트랜잭션로그 분석, 심층면담 등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탐색행위에 기초한 패턴분석에서는 탐색과 검색, 한 세션 당 탐색 행위의 건수를 기준으로 사실확인형 탐색, 사실확인형 검색, 조사형 탐색, 조사형 검색 등 4가지로 유형을 분류하는 모형을 도출하였다. 모형 구축에서는 업무 역할, 업무 단계, 정보요구, 정보원, 장애물, 웹 정보탐색, 평가, 보도, 개인적 요인 등 9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기자직 웹 정보탐색행위 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직 이용자연구의 외연을 확대하고, 인터넷이 전문직의 업무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업무 수단이 된 환경 변화 속에서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자직 웹 정보탐색행위에 관한 현장감 있는 풍부한 데이터를 제공하였으며, 모형 구축을 통해 이론적 접근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기자직 웹 정보탐색행위에 대한 분석은 다음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웹 정보탐색행위 통합 모형은 기자직뿐만 아니라 PD, 드라마 구성 작가, 블로거 등 뉴스콘텐츠 생산자 전반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기자직의 정보요구는 언론 관련학과의 기자 양성 교육 커리큘럼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에서 밝혀진 선호 정보원에 대한 연구는 기자직을 위한 지식정보시스템이나 취재정보원 사이트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와 방법 = 2 C. 선행연구 = 5 Ⅱ. 웹 정보탐색행위의 개념과 모형 = 15 A. 웹 정보탐색행위의 개념 = 15 B. 정보탐색행위의 모형 = 20 C. 전문직의 정보탐색행위 모형 = 38 Ⅲ. 연구의 설계 = 43 A. 연구의 모형과 가설 = 43 B. 데이터 수집 방법과 대상 = 45 C. 분석방법 = 51 Ⅳ.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 56 A. 웹 정보탐색행위 현황 = 56 B. 연구가설 검증 = 86 C. 트랜잭션로그 분석 = 97 D. 심층면담 분석 = 116 Ⅴ.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모형 = 139 A.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패턴 분석 = 139 B. 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모형 구축 = 144 Ⅵ. 결론 = 153 참고문헌 = 162 부록. 기자들의 정보탐색행위에 관한 설문지 = 168 ABSTRACT = 1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038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기자직의 웹 정보탐색행위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model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on the web of news reporters-
dc.creator.othernameKwon, Hye-Jin-
dc.format.pagexii, 18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