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9 Download: 0

지역 인적자본 특성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Title
지역 인적자본 특성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act of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Productivity : Focused on Level, Diversity, and Spatial Segregation of the Aggregate Human Capital
Authors
박지윤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행정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헌민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uman capital externalities at the aggregate regional level in Korea by figuring out the impact of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on individual productivity. As a knowledge-based society emerges recently wher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considered important, the importance of human capital has been emphasized becaus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human knowledge is a key factor for enhancing a regional economic competitiveness. In this sense, a geographic concentration of highly educated workers leads to promoting the creation, diffusion, and accumulation of a new knowledge through exchanging their productive ideas and information. Many scholars have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human capital and regional growth or productivity. In those studies, many researchers suggest that human capital externalities in the form of knowledge spillovers as grounds of improved productivity. However, they do not analyze how human capital externalities such as knowledge spillovers contribute to productivity. Only recently have some authors attempted to identify human capital externalities by comparing the wages of similar individuals who work in same cities or states but have different average levels of education. However, the empirical literatures for the existence and the magnitude of human capital externalities have shown opposite results due to the limitations of statistics models, spatial range set, data collection, etc. Moreover, only the aggregate level of human capital on a local economy is considered as the source of human capital externalities, and the externalities brought on by the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are often ignored. Especially, domestic studies on human capital externalities have been conducted by the extremely small number of scholars, and the regional labor market and the choice range of labor policy have been disregarded because the geographical scope was usually limited to "Si" areas. The efforts to identify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are needed in terms of academic aspects as well as policy aspects. That is, it is through analyzing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nd reviewing human capital externalities that regional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mployment policy should be examined. Taking all these into account,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human capital externalities by clarifying how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in the aggregate form affect individual productivity. For human capital externalities' being, the regional aggregat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must be able to create the social benefits beyond the private ones sinc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occur from regional aggregat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This means that the workers with the same individual characteristics might have different productivity depending on the average level of human capital in the regions where they work. Reflecting this logic, this study is intended to verify the assumption that regional aggregat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affect individual productivity whe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controlled. In this paper, human capital was measured by education and the aggregate level of human capital for the region was measured by educational attainments, such as average aggregate educational level and the share of college educated workers as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The diversity of human capital was measured b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nd the fractional index. The spatial segregation of human capital was measured by the neighborhood index. Also, individual productivity as a dependent variable was measured by average monthly wage of workers over 15 years. These are measured for the 15 metropolitan "Si" and "Do" (excluding Jeju) in Korea for the year of 2000 and 2005 considering labor market and policy range. Data for analysis were KLIPS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5th and 8th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and 2000 and 2005 Censuses from the Statistics Korea. The multilevel models (Hierarchical Linear model) were used for solving the problem using the nested data along with regression analysis by least square metho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in this study are as the follows: First of all, the individual productivity is influenced negatively by the level of human capital, that is, the educational level, among the regional aggregate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It is shown that the higher the regional average educational level (more people with university degrees) is, the lower an individual's wage is; however, the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se two has been shown only in some models. These study results showed opposite directions from domestic and previous overseas studies. It is assumed that in the labor market at cities and provinces level in Korea, the law of scarcity depending on the demand and supply of the labor market exerts more power than the aggregat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does.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regional educational level is, the more highly the individual worker's educational level is valued; therefore, the worker would receive the higher wag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level does not play a role as public goods properly by showing that at least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is not verified at the productivity level, even setting aside its impacts on the productivity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diversity in the educational level turns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dividual productivity in a meaningful way throughout the most models. This indicates that the diversity in the educational level can play a role as public goods at the level of metropolitan "Si" and "Do" in Korea. People with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can interact among one another and generate synergy effect which brings forth the positive impacts on the regional productivity.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that is, the effects of the knowledge spillovers, would be brought forth when there are people with different educational backgrounds cluster regardless of the aggregate educational level in the region, rather than when the peopl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s cluster. Moreover, in most models, the spatial segregation does not show any significant impact on the individual productivity, and overall, these two do not seem to have any meaningful relation with since the relational directions vary depending on the timing and models. Furthermore, the research shows that the ratio of the knowledge-based industri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agglomeration economy has a strong positive effect on the individual productivity.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knowledge spillovers can be brought on by the industry aggregation rather than by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which suggests that th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can be overmeasured when the agglomeration is not controlled.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the positive effects of the human capital has been shown in the educational diversity rather than in the educational level, which indicates that practically, the former rather than the latter has played a role as the educational public good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level of metropolitan "Si" and "Do". It also needs to be noted carefully that this study has analyzed cities and province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esearch results differ depending on whether the geographical scope is a metropolitan or a state as shown in the United States case. This study has academic implications as the follows: First, few domestic study has been dealt with human capital extermalities. In particular, it is the first study targeting "Si" and "Do" area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the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such as diversity and geographical unevenness which have been often disregarded from the previous studies, as well as the level of human capital as regional human capital characteristics generating the externalities. Even for the areas where average human capital levels are similar, the knowledge spillovers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deviation of human capital level and gap of average human capital level between blocks within the region. So, the distribution of human capital can be a key driver for human capital externalities. Second, it is through verifying the relation between human capital externalities and industrial agglomeration that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concepts could be established and identified. In fact, the relevant previous studies have over-evaluated the effect of knowledge spillovers on growth of productivity without considering industrial agglomeration in human capital externalities models. Thus,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human capital externalities with considering an industrial agglomeration in conceptional and empirical ways. Third, in terms of methodolog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it employs the multilevel models analysis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analyzing two different levels-individual and region-in one research model, which has not been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to solve the regression analysis assumptions problem. Finally, the opposite results from existing studies were drawn from empirical analysis results; thus, the new interpretation about it was suggested.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alternatives for prospective human capital externalities models and outcomes.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olicy alternatives are needed to be searched to the direction to draw human capital externalities caused from education level positively. Therefore, policy to facilitate interaction among human capital is needed to create more benefits.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y is required to share knowledge and spill it over creating synergy effect in the level of groups promoting interaction as well as in the level of individuals. To this end, system to facilitate direct and indirect human capital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is required. Second, policy to promote diversity is needed for human capital diversity to affect significantly productivity in positive way. Regional employees' various educational backgrounds facilitate diverse thinking ways to contribute to knowledge creation and expansion rather to be barriers against communication. Therefore, environment for many people who have various educational backgrounds and experiences to work together is needed by adopting different standards. Finall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share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affects productivity positively from empirical analysis, industrial policy to develop knowledge-based industries is required. Industrial structure highlighting strategy to regional-specific industries is needed as well.;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집합적 인적자본 특성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한국의 지역 차원에서 인적자본 외부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최근 지식과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지식기반 사회의 도래와 함께 사람이 보유한 지식의 양과 질이 경쟁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에 따라 인적자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높은 수준의 인적자본 집중은 생산적인 아이디어와 정보의 교환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창출, 확산시키며 혁신을 불러일으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측면이 존재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지역경제 분야에서 많은 학자들이 인적자본과 지역성장 또는 생산성과의 관계에 대해 연구해왔으며, 이러한 연구들에서 관련 학자들은 인적자본의 집중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의 근거로서 지식확산이라는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에서는 인적자본의 집중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포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식확산과 같은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생산성에 기여하는 바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해내고 있지 않다. 최근 소수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의 존재에 대해 입증하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나 통계모형의 설정, 공간적 범위의 설정, 자료수집의 한계 등으로 인적자본 외부효과의 존재 여부 및 강도에 대해 상반된 연구 결과가 도출되고 있다. 또한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의 수준만을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의 영향요인으로 고려하고 있으며, 인적자본의 분포가 가져다주는 외부효과에 대해서는 고려하고 있지 않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특히 국내에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에 대한 연구는 극히 소수의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져 왔으며, 공간적 범위에 있어서도 주로 시군구로 한정되어 있음으로써 지역노동시장 및 노동정책 결정 범위를 고려하지 않은 측면이 있다.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검증하는 노력은 학문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정책적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지식경제사회에서 지식이 단지 개인 차원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확산됨으로써 보다 생산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인적자본 외부효과의 존재 및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향후 지역 경제의 발전을 위해서 중요한 정책적 의미가 존재한다. 그러므로 생산성의 향상과 혁신을 창출할 수 있는 지역 인적자원 관리전략과 고용정책을 창출하기 위해 지역별 인적자본 특성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인적자본 외부효과에 대한 검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본 연구에서는 집합적인 차원에서 지역의 인적자본 특성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인적자본 외부효과는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으로부터 발생되므로, 인적자본의 외부효과가 존재하려면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이 사적인 이익을 넘어서 사회적 이익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동일한 개인 특성을 지닌 근로자가 지역의 평균 인적자본 수준이 높은 A지역에 근무할 경우와 인적자본 수준이 낮은 B지역에 근무할 때 생산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논리를 반영하여 본 논문에서는 개인의 인적자본 특성을 통제한 후에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이 개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인적자본 외부효과로 간주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때 외부효과를 발생시키는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으로써 인적자본의 수준뿐만 아니라 선행연구에서 간과하였던 다양성, 지리적 불균등성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인적자본의 집중으로 인한 외부효과 즉 지식확산 효과를 엄밀히 측정해내기 위해 지식확산의 또 다른 요인인 집적이익을 고려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 인적자본은 교육으로 측정하였으며,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으로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수준은 평균교육수준과 대졸비율로, 다양성은 변이계수와 분할 지수, 지리적 불균등성은 neighborhood index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종속변수인 개인 생산성은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으로 측정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지역노동시장과 정책결정 범위를 고려하여 15개의 광역시, 도(제주 제외)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시점의 특수성을 배제하기 위해 2000년, 2005년 두 개 년도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분석과 함께 개인과 지역이라는 2차원의 자료를 이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층모형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노동패널 5차, 8차 자료와 인구총조사 2000년, 2005년 자료를 병행하였다. 본 논문의 실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지역의 총합적 인적자본 특성 중 인적자본 수준, 즉 교육 수준이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지역 평균 교육수준이 높거나 대졸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개인 임금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생산성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 모형에서만 유의미하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외 선행연구의 결과와 반대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한국의 광역시?도 차원의 노동시장에서는 집합적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보다는 노동시장의 수요공급에 따른 교육수준의 상대적 희소성 원리가 더 크게 작동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지역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근로자 개인의 교육수준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상승하여 높은 임금을 받게 되는 현상이 반영된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결과는 인적자본 외부효과가 생산성 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별도로 하더라도 최소한 생산성 수준에는 인적자본 외부효과가 검증되지 않음으로써 교육수준이 공공재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해내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교육수준 다양성의 경우 다수의 모형에서 개인 생산성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미하지 않은 경우에도 모든 모형에서 개인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광역시?도 차원에서 교육수준의 다양성이 공공재로서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양한 교육수준을 가진 사람들이 지역에 집중함으로써 그들간 상호작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생시켜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인적자본 외부효과 즉 지식확산 효과는 고교육자가 모여있을 때보다는 지역의 전체적인 교육수준과 상관없이 다양한 학력수준을 가진 사람이 모여 있을 때 긍정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그리고 지리적 불균등성의 경우 대부분의 모형에서 개인 생산성에 유의미하지 않게 나왔으며, 시점과 모형에 따라 관계의 방향이 바뀌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개인 생산성과 전반적으로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지역의 집적경제 특성 중 지식기반산업 비율은 개인 생산성에 강력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지식 확산이 인적자본의 외부효과보다는 산업의 집적을 통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집적 이익을 통제하지 않았을 경우 인적자본 외부효과가 과대 측정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인적자본의 긍정적인 외부효과가 교육수준보다 다양성에서 나타남으로써 교육의 공공재로서의 역할은 교육수준이 아니라 오히려 다양성이 담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미국의 경우 공간적 범위가 메트로폴리탄인지, 주인지에 따라 연구결과가 달라짐을 주목할 때 본 연구결과가 광역시 및 도를 대상으로 한 결과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갖는다. 첫째, 인적자본 외부효과에 관한 국내 연구는 극히 드물며, 광역시, 도 차원에서의 연구는 최초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둘째, 인적자본 외부효과의 발생 원인인 지역의 집합적 인적자본 특성으로써 인적자본 수준뿐만 아니라 다양성 및 지리적 불균등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평균 인적자본 수준이 비슷한 지역이라 하더라도 지역 내의 인적자본 수준의 편차와 지역 내의 구역간 인적자본의 격차의 크기에 따라 지식 확산의 정도가 다를 것이므로 인적자본의 분포는 외부효과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셋째, 지식확산은 인적자본의 외부효과일 뿐만 아니라 산업의 집적으로 인해 나타나는 효과일 수도 있음을 고려하여 인적자본 외부효과와 집적경제간 개념적, 실증적 관계를 밝히고자 노력함으로써 미약하나마 이들 간의 개념적 차이를 정립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해냈다. 넷째, 방법론적으로는 선행연구에서 활용하지 않은 다층모형 분석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지역, 개인이라는 두 차원의 변수를 하나의 모형에서 함께 분석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회귀분석 가정의 위배라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 결과 기존의 연구와는 상반된 방향의 결과가 제시되었으며, 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인적자본 외부효과에 관한 연구 모형 및 결과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수준으로부터 발생하는 인적자본 외부효과를 긍정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정책적 대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광역시?도 지역에 있어서 인작자본 수준에 의한 외부효과는 교육 수준의 상대적 가치 상승에 따른 희소성의 원리에 의해 상쇄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므로 인적자본이 사적 수익을 넘어서 사회적 수익 차원에서 이익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인적자본간의 교류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방향의 정책적 방안이 요구된다. 인적자본 관련 정책이 개인을 단위로 추진될 뿐만 아니라 집합적 차원에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지식의 공유 및 확산을 이끌어낼 수 있는 인적자원관리(HRD) 전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직접적, 간접적으로 인적자본간 교류 증진과 커뮤니케이션을 촉진할 수 있는 체계가 요구된다. 둘째, 인적자본의 다양성이 보다 유의미한 방향으로 생산성에 긍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산업 현장에서 다양성을 촉진할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지역 취업자들의 다양한 학력 수준은 커뮤니케이션의 장벽으로 작용하기보다는 다양한 사고를 촉진하여 지식의 창출과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학력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한 기준의 채용방식을 채택함으로써 다양한 학력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실증분석 결과 동종 산업의 집적, 특히 지식기반산업 비율이 생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음을 고려할 때 향후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지식을 창출하는 지식기반 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산업 정책이 요구된다. 지식기반산업의 종류도 다양하므로 각 지역의 특화 산업을 고려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지식을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고도화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행정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