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미-
dc.contributor.author박광연-
dc.creator박광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7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73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736-
dc.description.abstract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process that Lotus Sutra thought of Shilla developed to consider the effect of Buddism on social changes in Shilla. Lotus Sutra is a representative Sutra of Mahayana Buddhism. It was introduced to Shilla around the sixth century, and the Lotus Sutra thought was formed in the early seventh century. Murim Kim(金武林) built th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wishing for a son, and it developed into a belief based on Lotus Sutra and Gwanseeumbosalbomunpum(觀世音菩薩普門品). Nang-ji(朗智), who was assumed to study abroad, practiced Bohyunhang(普賢行), which was the way that Samantabhadra Bodhisattva pursued awakening and salvation of life, reciting Lotus Sutra all the time. Also, Gwa-eui Kim(金果毅)'s son took pleasure in narrating it after he entered the priesthood. Lotus Sutra was circulated by the governing class and Buddhist monks. Teaching and learning Lotus Sutra started from the mid-Shilla. A number of literary works related to Lotus Sutra were produced from the mid-seventh to the eighth century. Now, there are two literatures: Beobhwajongyo(法華宗要), written by Won-hyo(元曉), and Beobhwagyeongsulgi(法華經論述記), written by Eui-jeok(義寂). Won-hyo and Eui-jeok focused on describing “One Vehicle(一乘)” in their literacy works, which basically assumed everyone could enter Nirvana, and were unique because they were not restricted by previous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other hand, Kyung-hung(憬興) demanded to give body to Pure Land portrayed on Lotus Sutra in this world. Likewise, Won-hyo, Eui-jeok, and Kyung-hung gave an answer about what Mahayana Buddhism could do in the society of Shilla by practically characterizing the idea of “One Vehicle”. In the mid-Shilla, new Buddhist thought was established; it broke out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 in the early and mid period. The predictive term “One Vehicle” was drawn, having a discussion based on Avatamsaka Sutra or Lotus Sutra. Won-hyo or Eui-jeok suggested diverse ways to guide all people to become Buddhas. Won-hyo seemed to emphasize Lotus Sutra belief as well as Amita belief for the edification of the masses. It was Eui-jeok who actively used Lotus Sutra belief as an educative method. He required the progress of Shamatha-Vipasyana(止觀修行) to monks but, at the same time, made a point that changes could happen by simply listening to the teachings of Lotus Sutra. Moreover, he accentuated the public virtue of Lotus Sutra belief with a narration to experience Buddhahood(靈驗談). This fact can be ascertained in Beobhwagyeongjibheomgi(法華經集驗記), recently introduced into the academic world. Beobhwagyeongjibheomgi of Eui-jeok is to collect examples related to Lotus Sutra among the narration to experience Buddhahood. Its contents consisted of narration (讀誦), skipping (轉讀), Sutra copying (書寫), and audition (聽聞), and was the leading attitude. In view of stating that the only thing to do was listen to the teachings of Lotus Sutra, deleting the expression related to social standing by intent, and stressing the experience of Buddhahood, Eui-jeok used Lotus Sutra belief as a way to illuminate the illiterate common people. Avalokitesvara belief(觀音信仰) of Shilla, which was blessing good fortune, shows an actual aspect of Lotus Sutra belief. Governing classes and monks led to make the statue of Avalokitesvara Bodhisattava(觀音菩薩像). After this, it extended to a popular belief and became a belief of all the people of Shilla in the mid-eighth century. In addition to Avalokitesvara belief, various forms of Lotus Sutra belief were developed gradually. There are examples relating to narration of Lotus Sutra, making a stone Sutra(石經) and putting it inside the pagoda. Some people became the head priest of a temple or even the most reverend priest only because they could narrate Lotus Sutra. Also, there are examples to pray for euthanasia or to practice Bohyunhang(普賢行) for the narration of Lotus Sutra. It is possible to guess that there were regular lecture meetings of Lotus Sutra in the example of the Beobhwa temple in Jeoksan(赤山法花院). Furthermore, monks illuminated the people by narrating Lotus Sutra, going around to the local population. In the late era of Shilla, monks used Lotus Sutra regardless of religious sects. It seems natural that buddhist monks of Yogacara(唯識) and Cheontae(天台) used it, but it seems distinct that even Huayan(華嚴) monks did Lotus Sutra for enlightenment. As Lotus Sutra was widespread, people of Shilla gradually understood the implicit meaning, decided to enter a priesthood, and experienced religion. In regard to drawing on active participation of all classes by the educative activity with the Sutra, Lotus Sutra belief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naturalization of Buddhism in Shilla. It is meaningful to cultivate narration culture and ascetic practices culture with Lotus Sutra belief. In educative terms, as well as in religious ones, Lotus Sutra belief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hilla people’s understanding of Buddhism. Above all, because Lotus Sutra belief had characteristics of folk belief that were easy and practiced big charity, the social effect would be far-reaching. The study of Shilla Buddhism has been focused on Avatamsaka Sutra idea. Therefore, this study will expand the appreciation of Shilla Buddhism.;본 연구는 신라 사회의 변화에 불교가 미친 영향을 규명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신라 법화사상의 전개 과정을 살펴보았다. <법화경>은 대승불교를 대표하는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신라에는 6세기 경 <법화경>이 전해졌고, 7세기 전반에 법화신앙 형태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김무림이 아들 낳기를 바라며 관음보살상을 만들었는데, 이는 <법화경> 「관세음보살보문품」에 의거한 신앙이었다. 그리고 낭지는 늘 <법화경>을 독송하며 보현행을 실천하였다. 또한 김과의의 아들이 출가하여 <법화경>을 즐겨 독송하였다. 신라 중고기에 이미 <법화경>이 지배층 및 출가자를 중심으로 유포되었음을 알 수 있다. <법화경>에 대한 교학적 이해가 시작된 것은 중대에 들어서이다. 많은 <법화경> 관련 저술들이 쏟아졌는데, 모두 7세기 중반~8세기 중반 무렵의 것이다. 원효의 <법화종요>와 의적의 <법화경론술기>가 현재 남아 있다. 원효와 의적은 저술에서 一乘이 무엇인가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들의 일승에 대한 논의에는 기본적으로 누구나 성불할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고, 선행 법화교학에 얽매이지 않는 독자성이 있다. 한편 경흥은 정토행의 실천으로 <법화경>에 묘사된 세계를 현재에 구현할 것을 요구하였다. 이와 같이 원효, 의적, 경흥 등은 <법화경>을 통해 일승 개념을 실천적으로 정의함으로써 대승불교가 신라 사회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답변을 던져주었다. 신라 중대에 접어들면서 불교계는 중고기의 이데올로기적 성격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불교사상 체계를 확립하였다. 이 과정에서 <화엄경>이나 <법화경>에 의거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그것이 일승이라는 술어로 표출되었다. 원효나 의적은 모든 사람들을 성불의 길로 이끌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원효는 대중교화를 위해 아미타신앙과 더불어 법화신앙을 강조하였을 것 같다. 법화신앙을 교화의 방편으로 적극 활용한 인물은 의적이다. 의적은 출가자들에게는 止觀 수행을 요구하였겠지만, 다른 한편으로 <법화경> 설법을 듣는 것만으로도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법화영험담을 통해 더욱 실감나게 법화신앙의 공덕을 설명하였다. 이는 근래에 우리 역사학계에 소개된 <法華經集驗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의적의 <법화경집험기>는 기존의 법화영험담 가운데 <법화경>과 관련된 사례만을 모은 것으로, 讀誦, 轉讀, 書寫, 聽聞의 목차 설정은 선구적인 태도이다. <법화경> 설법을 듣기만 해도 된다는 ‘聽聞’을 말한 점, 신분과 관계된 표현은 의도적으로 삭제한 점, 영험을 강조한 점 등에서 의적이 법화신앙을 글자를 읽을 줄 모르는 일반 민들을 교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신라 법화신앙의 구체적 면모를 보여주는 것은 현세 구복적 성격의 관음신앙이다. 지배층 및 승려 주도로 관음보살상 및 관음보살도의 조성이 이루어졌고, 이는 곧 일반 민의 신앙으로 이어져 관음신앙은 늦어도 8세기 중엽이 되면 신라 사회 전 계층의 신앙으로 자리잡게 된다. 관음신앙 외에도 점차 다양한 형태의 법화신앙이 나타났다. 많은 <법화경> 독송 사례를 확인할 수 있고, 石經을 만들기도 하고. 법신사리로 봉안하기도 하였다. <법화경>을 독송한다는 이유로 절의 주지가 되기도 하고, 國師가 되기도 하였다. <법화경> 독송을 통해 극락 왕생을 기원하기도 하고, 보현행을 실천하기도 하였다. 적산 법화원의 예에서, 절에서 정기적인 <법화경> 강경 법회를 개최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승려들은 民家를 돌아다니면서 <법화경>을 독송하며 교화 활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신라 하대가 되면 승려들은 전공에 상관 없이 <법화경>을 활용하게 된다. 유식 승려나 천태 승려는 당연하지만, 화엄 승려까지 <법화경>을 교화에 이용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신라인들은 점차 <법화경>이 지닌 함의를 이해하고 되고, 출가를 결심하게도 되고, 믿음이 생기기도 하였다. 경전을 통한 교화 활동으로 전 계층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는 점에서 법화신앙은 신라 사회 불교의 토착화에 기여한 바가 컸다. 법화신앙을 통해 경전 독송 문화나 수행 문화가 장려된 점도 의미가 크다. 신라 법화사상은 교학의 측면에서나 신앙의 측면에서나 신라인의 불교 이해에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무엇보다 법화신앙은 쉽고, 공덕이 크다는 서민신앙의 요소를 충분히 갖추고 있었기 때문에 그 사회적 파급력도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신라불교는 화엄사상 위주로 설명되어 왔는데, 본 연구를 통해 신라 불교에 대한 이해의 폭을 조금이나마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序論 = 1 1. 연구 목적과 연구 현황 = 1 2. 연구 방법과 연구 내용 = 7 Ⅱ. 『法華經』의 受容 = 10 1. 『法華經』의 成立과 傳播 = 10 1) 인도의 『법화경』 성립과 연구 = 10 2) 중국의 『법화경』 수용 태도 = 13 2. 三國時期 『法華經』의 受容 = 20 1) 고구려 및 백제의 법화신앙 = 20 2) 신라 중고기의 법화신앙 = 23 Ⅲ. 『法華經』 理解의 深化 = 39 1. 元曉의 『法華宗要』와 一乘觀 = 39 1) 『법화경』 인용 태도 = 40 2) 원효의 일승관 = 46 3) 사상사적 의미 = 52 2. 義寂의 『法華經論述記』와 一乘觀 = 58 1) 『법화경론술기』의 구성과 화자 = 59 2) 의적의 법화경관 = 69 3) 사상사적 의미 = 75 3. 憬興의 法華經觀과 淨土觀 = 80 1) 『법화경』 인용 태도 = 81 2) 정토관과 『법화경』 = 87 3) 사상사적 의미 = 94 Ⅳ. 『法華經』의 普及과 信仰 = 101 1. 義寂의 『法華經集驗記』와 大衆敎化 = 101 1) 『법화경집험기』 편찬 배경 = 101 2) 『법화경집험기』 수록 내용의 특징 = 106 3) 편찬의 사회적 의미 = 113 2. 『法華經』의 流布와 信仰의 고취 = 115 1) 승려들의 법화신앙 보급 = 115 2) 천태 승려의 귀국과 법화신앙 = 123 3. 法華信仰의 유형과 성격 = 131 1) 법화신앙의 유형 = 131 2) 법화신앙의 성격 = 150 Ⅴ. 新羅 法華思想의 역사적 의미 = 164 1. 新羅 法華敎學의 展開와 그 意味 = 164 1) 신라 법화교학의 특징 = 164 2) 會三歸一의 해석 = 171 2. 新羅 社會의 變動과 法華信仰 = 177 1) 신라 법화신앙의 전개 양상 = 177 2) 법화신앙의 사회적 의미 = 180 Ⅵ. 結論 = 187 參考文獻 = 190 ABSTRACT = 2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058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新羅 法華思想史 硏究-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History of Lotus Sutra Thought in Silla-
dc.creator.othernamePark, Kwang Youn-
dc.format.pageⅶ, 207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