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임씨삼대록〉여성인물 연구

Title
〈임씨삼대록〉여성인물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Female Characters in ' Imssisamdaerok(A Chronicle of Three Generations of Im Family)'
Authors
최수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하영
Abstract
본 연구의 대상인 <임씨삼대록>은 <성현공숙렬기>의 후편으로 18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향유된 국문 장편소설이다. 본 연구는 <임씨삼대록>의 여성인물을 중심으로 이 작품의 세계관과 문학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임씨삼대록>이 서사 전반에서 여성인물의 활약이 돋보이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가 ‘연작형 국문 장편소설’과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의 유형을 보여주는데 치중되었다는 것에 문제의식을 갖고, 여성인물을 중심으로 <임씨삼대록>의 작품론을 본격화 한 것이다. Ⅱ장에서는 <임씨삼대록>의 서사 구성과 인물 설정 방식을 고찰하였다. <임씨삼대록>은 明代 永樂帝에서 宣德帝 시대를 배경으로 임씨 가문 인물들의 단위담을 병렬적으로 전개한다. 병렬적으로 전개되는 <임씨삼대록>의 단위담은 처첩 갈등의 차원에서 밀도 있게 그려진다. 이와 함께 <임씨삼대록>은 거시적인 차원에서는 <성현공숙렬기>의 인물들을 계승하면서도 미시적인 차원에서는 새로운 인물을 창조하는데 있어 <구운몽>과 중국 神魔小說인 <平妖傳>의 인물을 수용하고 그 형상화 기법을 원용한다. 이러한 인물 창작의 방식은 독자들에게 친숙한 인물을 확인하게 함으로써 작품의 흥미를 배가시킨다고 할 수 있다. 또 핵심 갈등인 처첩 갈등에서 사건을 유발하는 인물로 여성을 설정하여 서사에서 여성인물의 비중을 강화하고 있다. Ⅲ장에서는 Ⅱ장을 바탕으로 하여 <임씨삼대록>의 서사에서 부각되고 있는 여성인물들을 애정에 대한 욕망을 표출하는 정도와 그 행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임씨삼대록>의 여성인물들은 세 가지 모습으로 나누어지는데, 性的인 일탈 행동을 하며 욕망을 노출하는 여성과 智略을 발휘하며 욕망을 자제하는 여성 그리고 생존을 도모하며 욕망을 소거하는 여성이 그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먼저 애정에 대한 욕망을 노출하는 여성에 대하여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 인물들은 상층 가문의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남성을 연모하여 상사병을 앓으며, 애정에 집착하기 때문에 첩이라는 지위마저도 감수한다. 또한 이 인물들은 혼인 후에 남편의 애정을 독점하고 있는 처를 모해하는 방법으로 살인이나 납치와 같은 폭력 행위를 주로 사용한다. 이와 함께 이 인물들은 남편의 애정을 얻지 못했을 때에 媤家에서 도주하고, 남편과 시가에 대한 복수로 반란을 도모하며 시가를 告變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 다음으로 애정에 대한 욕망을 자제하는 여성에 대하여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 인물들은 禮法을 준수하며 가문의 주도 아래 혼인을 올려 유교 윤리를 실현한다. 또한 이 인물들은 혼인 후에 처첩 간의 위계를 분명히 하고 거리를 유지한다. 아울러 이 인물들은 수난을 겪은 후에 智略을 발휘하여 공적을 세우고 가문으로 복귀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애정에 대한 욕망을 소거하는 여성에 대하여 논의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 인물들은 상층 가문에서 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신분의 몰락으로 인하여 하층민에 가까운 삶을 살게 된다. 때문에 이 인물들은 혼인 후에 가부장제 위계질서에 순응하여 그 입지를 마련하고자 한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Ⅳ장은 Ⅲ장을 토대로 하여 <임씨삼대록> 여성인물의 성격과 의의를 살피는 장이다. 먼저 Ⅲ장을 토대로 여성인물들의 지향점을 살펴보았다. 여성인물들의 행위는 그 인물들이 지닌 지향점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애정에 대한 욕망을 노출하는 여성들은 가부장에게 종속된 삶을 거부하고 독자적인 삶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는 이 인물들이 혼인의 시작과 종결을 스스로 주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확인된다. 다음으로 애정에 대한 욕망을 자제하는 여성들은 가문의 위상을 제고하는 과정에서 自尊을 추구하고자 한다. 이는 이 인물들이 智略을 발휘하여 남편과 가문구성원의 생명을 구하고 남편을 돕는 것을 통해 가문의 안정을 유지하며 위상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에서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애정에 대한 욕망을 소거하는 여성들은 하층민의 생활과 생명의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신분을 회복하고자 한다. 이는 이 인물들이 상소를 올려 혼인을 하거나 신분을 위장한 이를 고발하여 생존을 도모하는 것에서 확인된다. 위의 논의를 바탕으로 <임씨삼대록>의 작가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 여성인물을 통해 본 <임씨삼대록>의 작가의식은 작가가 서사에서 여성인물을 규제하고 관리하는 방식을 통하여 추론 할 수 있다. <임씨삼대록>은 애정에 대한 욕망을 노출한 여성을 改過로 이끄는 것이 아니라 일괄적으로 처벌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또 욕망을 자제한 여성이 가문으로 복귀한 후에 다시 남편의 새로운 첩과 同列 관계를 형성하게 한다. 또한 가문에 편입되는 첩은 애정에 대한 욕망을 소거시킨 여성으로 한정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애정에 대한 욕망을 노출한 여성을 처벌하는 역할을 남편이 담당하도록 하고 있다. 이는 작가가 애정에 대한 욕망을 표출하는 것이 가부장제를 동요하게 하는 위험요소라고 파악하고, 이를 자제하는 여성만이 가문구성원이 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임씨삼대록>은 애정에 대한 욕망을 자제한 여성이 가문으로 복귀할 때에 공적을 세워 복귀의 명분을 만들어 주는 특징을 보여준다. 또 복귀 후에도 이 인물들이 가문의 분란을 방비하는 역할을 주도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이 작품의 남성을 처에게 일관된 애정과 존중을 보여주며 처가와 정서적인 유대 관계를 가지고 있는 인물로 그려내고 있다. 이는 작가가 처의 역할을 강화하고 처가와 긴밀한 유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가문의 안정을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임씨삼대록>의 작가는 여성인물들이 겪는 갈등을 선악의 대결 구도로 전환하고 여성인물들이 탈규범적인 행위를 하게하여 주제를 보다 선명하게 제시하면서도 작품의 흥미를 강화하고 있다. 먼저 선악구도의 강화부터 살펴보자면, <임씨삼대록>은 인물들의 신분을 상층 가문의 일원으로 제시하면서도 처첩 간의 갈등이 벌어지게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처를 선한 인물로, 첩을 악한 인물로 놓이게 한다. 작가는 이를 통해 처첩 간의 갈등을 선악의 대결로 전환하며, 팽팽한 대결 속에서 선이 승리하는 귀결을 제시하여 주제를 선명하게 전달하면서도 동시에 작품의 흥미를 강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임씨삼대록>은 여성들의 탈규범적인 모습을 통해 작품의 오락성을 진작하고 있다. <임씨삼대록>은 이 작품에 등장하는 여성들의 성애 장면이나 살인 행위에 대해 세밀하게 묘사하여 관능성과 선정성을 불러일으킨다. 또 여성들을 도술을 사용하게 하거나 연극에 참여하게 하여 오락적이면서 유희적인 즐거움을 만들어 낸다. Ⅴ장에서는 위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임씨삼대록>의 소설사적 의의를 살폈다. <임씨삼대록>은 국문 장편소설 가운데서도 여성인물의 독자성과 개성이 강조된 작품이다. <임씨삼대록>에서 애정에 대한 욕망을 노출하는 여성이 상사병에 걸리며 애정에 집착하는 모습은 전기 소설이나 국문 장편소설 속 남성인물들의 형상과 유사한 면모를 보여준다. 이와 함께 이 작품의 여성들은 모해를 직접 실행하거나 위기에 처한 가문구성원의 생명을 구하는데 적극적인 활약을 보여주고 있어 다른 국문 장편소설에서 남성인물들이 담당하던 역할까지 흡수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 작품은 여성인물에 의해 서사가 추동될 정도로 여성인물의 비중이 다른 작품보다 강화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임씨삼대록>은 국문 장편소설 가운데 여성인물을 개성 있게 그려내며 그 비중을 높이고 있는 작품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 항에서는 국문 장편소설의 흐름 속에서 <임씨삼대록>의 위상을 살펴보았다. 유교적 윤리의식과 가문의식이 강조되던 17세기에 출현한 형성기 국문 장편소설은 상층 사대부 가문을 중심으로 향유되었다. 18세기 국문 장편소설은 이념을 전달하는 방식에서 선악의 구도를 두고 구심력과 원심력을 보이는 작품들로 나뉘어 가는 모습을 보인다. 이 가운데 선악의 구도를 강화하고 흥미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는 작품들은 이러한 기법들을 통해 주자학적 윤리의식과 가부장제를 보다 선명하게 전달하고자 한다. <임씨삼대록>은 이러한 흐름 가운데 있는 한 작품으로 여성인물을 통해 오락성을 진작함으로써 대중적 호응을 유도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러한 모습은 이 작품의 향유층이 상층 사대부 가문의 일원들로부터 그 아래로 내려가고 있음을 짐작하게 해준다. <임씨삼대록>의 작가가 대중적 호응을 유도하고 흡인력 있는 독서가 가능하도록 고안해 낸 기법들은 19세기 국문 장편소설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면모는 국문 장편소설이 외연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려준다는 점과 19세기 국문 장편소설의 창작 기법의 하나의 기반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Imssisamdaerok' through the female characters in this full-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Hangeul) which was very popular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Imssisamdaerok' was written in the 18th century as a sequel to the novel 'Seonghyungongsookryeolgi' and was widely read till 19th century. 'Imssisamdaerok' shows the concerns about how to maintain a successful family. This novel describes how the family members of Im Family keep the stability of their family. They try to solve the problems between wives and concubines as well as the problems between husbands and wives. 'Imssisamdaerok' based on the characters of the first novel 'Seonghyungongsookryeolgi', lively describes the characters shown in 'Guwoonmong', the full-length novel written in Korean(Hangeul) in previous century, and 'Pyeongyojeon', the fantasy novel of China. The characters of each generation in 'Imssisamdeerok' show typicality. The characters of parents' generation play the role of advisors to their sons and daughters. The male characters of this novel rarely reveal their desires for love. On the other hand, female characters express their desires for love very actively and take the leading part of the events. The female characters in 'Imssisamdaerok'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expressions of their desires for love. Characters that express their desires for love become lovesick and obsessed with love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the upper classes. These characters play the most active role in getting rid of concubines after becoming members of the family. As they feel that they do not get enough love, they commit adultery, leave the family and rise in revolt against the country. Females who conceal their desires for love enter into matrimony that was set by the family. These characters observe the decorums and tighten up the rank and hold concubines in check by keeping certain distance with them. These females get out of family because of the concubines but learn Taoist magic and become heroines. They distinguish themselves by suppressing the rebel army and also save the lives of their partners Female characters who eliminate their desires for love live the lives of the people of the lowest classes although they are born in the upper classes. They try to survive through beating 'Deungmungo(a large drum that was hung at the public places for the purpose of allowing the citizenry to make their complaints known directly to the governor or King)' or reporting ones disguising their identities. They enter the family as concubines and internalize the rank system. Female characters leading the marriage in 'Imssisamdaerok' try to find a way for lives independent from the family. Women who use their resourcefulness and return to the family try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the family and enhance the self-regard within the family. Females trying to find a way for survival have desire to recover their original status. 'Imssisamdaerok' suggests restraining desire for love, respecting one's wife and intimately banding the whole family together to the readers as the ways of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family. Such suggestion might be the answer for the universal worries that upper classes of the Joseon dynasty in 18th and 19th century might have had. Restraining women's desire was necessary for the stability of life in the society where concubinage was allowe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universal to choose partners who would help keep the stability of the family through marriage in political ups and downs of politics. 'Imssisamdaerok' reveals the thought of the author that one can become a member of a family only when one eliminates one's desire for love. This work disciplines females who does not do that. The family admits only those women who eliminate their love and internalize the rank with the wives. Male characters in this work appear when they punish the women who favor sexual love. This feature of males punishing females is a strategy of the author trying to confirm their authority in patriarchy. 'Imssisamdaerok' suggests reinforcing the status of wives and having close links with in-laws as another ways of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family. The author views clarifying the rank between wives and concubines as an important strategy of stabilizing the family. Also, he emphasizes the role of wives in keeping the stability of the family. At one time, he suggests having close likes with in-laws as a way of stabilizing the family in external crisis. Sensational factors are widely scattered in 'Imssisamdaerok'. The author takes the strategy of doubling the interest by intensifying good vs. evil structure through female characters. At the same time he highlights popularity of this work by setting the female characters to act against the norms. Instead of adding more interest, the clear opposition between good and evil blocks out the reflective thinking about the contradictions of concubinage embedded in the conflict between the wives and concubines. Making sexual love or murder of females into scenes arouses sensuality and lasciviousness. Also, women's use of Taoist magic and drama creates amusing and entertaining pleasure. The significance of 'Imssisamdaerok' in the history of novel is that it is the work which not only individualizes female characters but also intensifies importance of them in Korean full-length novel. Also, women becoming lovesick after seeking for love shows similar aspect and feature of male characters in Korean full-length novel or fictions. Individualization of female figures shows that this work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individual lives of women and also continuously describes such lives, unlike other works. Besides, this work signifies the role of female figures that they actually lead the events. Although this work is called 'Imssisamdaerok', real actors who lead the events are female characters surrounding males of Im family. Female figures in this work not only lead the events but also absorb typical roles of male figures. Another significance of 'Imssisamdaerok' in the history of novel is that this work boosts popularity through female characters. This is rarely seen in early Korean full-length novels. Korean full-length novel enjoyed its popularity from the late 17th century to 19th century, for about 250 years. In later periods, more and more works of various features and characteristics appeared. Korean full-length novels in the early period can be seen as the readings which did not abandon elegant esthetic sense and showed trivial laughter at the same time. These novels are succeeded by branches of works with various esthetic senses in later periods, and one of the branches sought for sensational amusement, just like 'Imssisamdaerok'. This research has focused on female characters in 'Imssisamdaerok'. This study deduced the meaning of this work by analyzing the intention of the author by exploring different aspects of female figures with diverse desires in terms of how he deals with such desires. Besides,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the work attempted to widen the range of popularity by inducing amusement through the female figures. This research revealed that 'Imssisamdaerok' shapes female characters as individual characters, signifies their importance and yields popular aesthetic sense through such mechanism. Consequently, 'Imssisamdaerok' is expected to specify the contour map of the history of the 18th century Korean full-length nove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