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3 Download: 0

종교적 몰입과 타인용서의 관계에서 용서성향의 매개효과

Title
종교적 몰입과 타인용서의 관계에서 용서성향의 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Commitment and Forgiveness Mediated by Trait Forgivingness
Authors
이지영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how religious commitment influences one in forgiving a transgressor who has injured the person, based on prior studies of major religions that regard forgiveness as a virtue and how an individual’s religious upbringing influences the act of forgiveness. Further, this study established a hypothesis that the individual’s trait forgivingness will influence one to forgive regardless of the situation and subject of the transg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commitment and forgiveness (reduction of revenge and avoidance motivation). To verify this, this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that involved 617 adults who have religion, regarding their Religious Commitment Inventory-10 (RCI-10), Forgiveness Trait Scale (FTS), and Transgression-Related Interpersonal Motivation Inventory (TRIM). The Transgression-Related Interpersonal Motivation Inventory (TRIM) is a scale that measures the motivation (revenge and avoidance motivations), in which the lower the score, the higher the forgiveness level. In order to identify a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volving 617 samples, and ANOVA was performed to find the differences between groups based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the study participants. Further,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the trait forgiving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commitment and forgiveness,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7) was perform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religious commitment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venge and avoidance motivations an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forgiveness trait. Second, people who have children have a higher level of trait forgivingness and lower motivation for revenge, compared with that of people without children. Furth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it forgivingness according to the religious affiliation. The group with severe injuries had a higher revenge and avoidance motivation compared with that of the other group with less serious injuries. In addition, male subjects showed a higher revenge motivation than female subjects. Third,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trait forgivingness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commitment and forgiveness (reduction of revenge and avoidance motiv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an individual’s religious commitment influences the motivation regarding the urge to take revenge or avoid the transgressor, and the trait forgivingn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However, if the trait forgivingness was not high despite the high sense of religious commitment, it means the standards to forgive others was not so high. The result showed that as good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trait and improving the trait forgivingness of the client, who was in agony with an injury caused by the unfair treatment of transgressor, made it possible to intervene in promoting forgiveness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he external situation.;본 연구는 주요종교가 공통적으로 용서를 미덕으로 가르치고, 개인의 종교성이 용서하는데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개인이 종교에 몰입하는 정도(religious commitment)가 상처를 준 침해자(transgressor)를 용서하는데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종교적 몰입과 타인용서(보복, 회피동기의 감소)의 관계에서 침해의 상황과 대상에 상관없이 상대방을 너그럽게 용서하고자 하는 개인의 용서성향(forgiveness trait)이 타인용서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세웠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종교를 가지고 있는 성인 617명을 대상으로 종교적 몰입(Religious Commitment Inventory-10 : RCI-10), 용서성향(Forgiveness Trait Scale: FTS), 침해관련 대인관계 동기척도(Transgression Related Interpersonal Motivation Inventory : TRIM)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침해관련 대인관계 동기척도(TRIM)는 침해자에 대한 동기(보복 및 회피동기)를 측정하는 척도로써, 점수가 낮을수록 침해자에 대한 용서수준이 높다고 해석한다. 617명의 표본을 바탕으로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의한 집단차이를 보기 위해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종교적 몰입과 타인용서의 관계에서 용서성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것에 의거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적 몰입은 보복 및 회피동기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 용서성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그리고 용서성향과 보복 및 회피 동기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녀가 있는 사람이 자녀가 없는 사람보다 용서성향이 높고, 보복동기가 낮았다. 또한 종교유형에 따라 용서성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매우 많이, 혹은 많이 상처받았다고 응답한 집단이 보통, 혹은 약간 상처받았다고 응답한 집단보다 보복동기와 회피동기가 높았고, 남자가 여자보다 보복 동기가 높았다. 셋째, 종교적 몰입과 타인용서(보복 및 회피동기의 감소)의 관계에서 용서성향의 완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이 종교적으로 몰입하는 것이 침해자에게 보복하거나 그를 멀리하고 싶은 마음에 영향을 미치며 두 변인 사이를 용서성향이 매개함을 볼 수 있었다. 이는 종교적 몰입이 용서성향을 통해 타인을 용서하는 정도를 예측함을 의미한다. 그러나 동시에 종교적으로 몰입하는 정도가 높아도 용서성향이 높지 않을 경우 실제 타인을 용서하는 수준은 높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는 상담 장면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고 그 상처로 괴로워하는 내담자의 종교적 성향을 잘 이해하고, 용서성향을 향상시킴으로써 외부상황의 변화와 상관없이 용서를 촉진하는 개입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