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회피애착과 전문적 도움추구의도의 관계

Title
회피애착과 전문적 도움추구의도의 관계
Other Titles
The Mediating Roles of Anticipated Risks, Anticipated Benefits, and Self-Disclosure on the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 An Attachment Avoidance Perspective
Authors
박선주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안현의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anticipated risks, benefits, and self-disclosure on the link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help-seeking intentions. Since previous empirical studies have been proven that attachment avoidance is negatively related to intentions on the decision to seek professional help, this research only focused on the attachment avoidance. To confirm and extend previous finding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test the developed model in which anticipated risks, benefits, and self-disclosure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attachment avoidance and help-seeking intentions. 493 undergraduates completed a 73-item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Expectation in Close Relationships Scale(ECRS), the Distress Disclosure Index(DDI), the Disclosure Expectation Scale(DES), and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Inventory(ISCI).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v. 14.0 was used for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with variables. In addition, AMOS v. 7.0 was used f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EM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attachment avoidance consistently less disclosed themselves and anticipated greater risks from seeking counseling. However, greater intentions regarding seeking professional help were not mediated by anticipated risks but by benefits, and self-disclosure was associated positively with benefits and negatively with risks. These patterns for attachment avoidance not only support the study model but also fit well with attachment theory. The findings of the present research confirm that the link between higher attachment avoidance and less intent to seek help was mediated by less positive attitudes toward self-disclosure and higher anticipated risks. Thus, the present research tried to find a way to intervene in individual with higher attachment avoidance on a counseling setting.;본 연구는 회피 애착이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의 관계에서 위험/이득예측을 매개로 구조 모형을 검증한 기존 연구(Shaffer, Vogel, & Wei, 2006)를 바탕으로, 자기 개방을 추가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구조 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위험/이득예측, 자기 개방을 매개 변인으로 회피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간에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보이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총 50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SPSS 15.0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에 대한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하였고, AMOS 7.0을 사용하여 회피애착이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 개방과 위험/이득 예측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설명하기 위해 구조 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 적합성 검증 결과 좋은 적합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 모형의 표준화 된 추정치를 통해 전문적 도움추구 의도와 이득 예측이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기 개방과 상담에 대한 위험 예측은 부적 상관, 이득 예측은 정적 상관으로 나타나 자기 개방이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회피 애착은 이러한 자기 개방과 부적인 상관을 보이고 상담의 위험에 대한 예측을 함으로써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역시 부정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기 개방은 상담에 대한 위험보다는 이득에 대해서 더 많이 예측하도록 하며 이러한 예측은 상담의 의도를 높일 수 있지만 회피 애착은 이러한 자기 개방을 꺼려함으로써 전문적 도움추구에 대한 의도가 낮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회피 애착의 특성 중 자기 개방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가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이러한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은 상담에 대한 위험예측이 아닌 이득예측인데 자기 개방이 이러한 이득 예측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자기 개방에 대해 긍정적일수록 상담에 대한 이득을 더 많이 예측하고 이러한 이득 예측이 상담을 받고자 하는 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회피 애착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이 상담을 요청하는데 있어서 겪는 어려움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회피애착의 심리적 안녕감을 위해 상담 전문가로서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상담적 함의를 가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