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1 Download: 0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itle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The Factors to Affect the Burnout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 With a focus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s, and social support
Authors
김나연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영순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burnout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that provided public assistance services in Korea and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s and social support on their burnout. It also aimed at suggesting institutional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reduce and prevent their burnout. For those purpose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50 randomly sampled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that worked at eup, myeon or dong offices of cities, guns, and gus in Gyeonggi Province for a year or longer as of June, 2009. They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rough personal e-mail, electronic settlement system mail, and postal service for 17 days from June 24(Wednesday) to July 10(Friday), 2009. The return rate was high at 72.8% as 182 of 250 were collected. After excluding 15 of them whose answers lacked sincerity, total 167 were used in analysis. The gathered data were put to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major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in three step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s, and social support on the subjects' burnout and its subareas. As a result,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s had major impacts on their burnout and its subareas, however, social support turned out to have considerably weak impacts on it. In Model I whe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were entered to examine their influences on burnout and its subareas, self-efficacy affected the overall burnout and its subareas and accordingly required critical attention to prevent and reduce burnout. In addition, gender, years of career, number of colleagues in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backgrounds(high school diploma, college diploma, and a master's degree or higher degree than dropping out of high school) affected burnout. In Model II where work environments were entered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controlled, challenge had significant impacts on the overall burnout and its subareas. While the clarity of rules and guidelines did not affect the overall burnout, it had significant effects on all of its subareas. In addition, workload, role conflicts, and autonomy turned out to have impacts on it. And in Model III where social support was entered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s controlled, the results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of Model II, which means that social support has little influence on burnout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It is thus necessary to look for other factors with which to explain the burnout of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and analyze social support in other research methods. Based on those finding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suggestions were made: First, they should offer the ways to help increase self-efficacy among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for the sake of efficient and effective provision of public welfare service. Specifically, they need to establish a reeducation system to help them manage stress and increase self-efficacy in addition to regular job training for position changes or every couple of years. Second, challenge, clarity of rules and guidelines, and autonomy of work environments turned out to have considerable impacts on burnout and its subareas, which suggests that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should be offered chances at challenge and autonomy so that they can work according to their convictions. It is also required to make guidelines and rules different in each business clear and make the criteria consistent. Third, reinforcing the social welfare personnel is essential to the improvement of their work environments. Support is in desperate need to strengthen the social welfare functions of residents' centers. In the long term, there should be a delivery system of public welfare services capable of professional guidance and supervision according to the hierarchy among positions at eup, myeon or dong offices. And finally, although the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were weak, support from colleagues and supervisors had significant impacts on burnout and its subareas. Thus an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in which public servant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can work in the support of their colleagues and supervisors at eup, myeon or dong office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uture study needs to include more diverse and broader variables in addition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s and social support covered in the study. Second, the study only us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or research. In future, there should be in-depth studies based on quantification of variables, interviews, or case studies to generate objective results. And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hard to generalize since the research area was confined to Gyeonggi Province. There should be additional researches in future.;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적부조 서비스 제공을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 실태를 파악하고 개인적요인, 업무환경요인,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전담공무원의 소진을 감소시키고 예방할 수 있는 제도적,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2009년 6월 현재 경기도 시·군·구의 읍·면·동사무소에서 1년 이상 근무경험이 있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 250명을 무작위추출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2009년 6월 24일(수)부터 7월10일(금)까지 17일 동안 개인메일 및 전자결재시스템 메일, 우편을 통해 배포되고 회수하였다. 배포된 250부 가운데 182부가 회수되어 72.8%의 높은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 가운데 응답의 성실도가 떨어지는 설문지 15부를 제외한 167부의 설문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으로 기술적통계,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ANOVA), Pearson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인적특성, 업무환경, 사회적지지요인이 소진과 각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3단계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개인적 특성과 업무환경은 소진과 각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사회적지지는 그 영향력이 상당히 약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소진과 각 하위영역에 대한 영향변인들을 보면 개인적 특성요인을 투입한 모델Ⅰ에서 자기효능감은 전체 소진과 그 하위영역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나 소진을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 성별, 근무기간, 사회복지직 동료수와 고등학교에 비해 고졸, 대졸학력변인, 석사이상변인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요인을 통제하고 업무환경요인을 투입한 모델 Ⅱ에서는 전체 소진과 모든 하위영역에 도전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규칙과 지침의 명확성은 전체소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모든 하위영역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외에 업무량, 역할갈등, 자율성이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개인적특성, 업무환경요인을 통제하고 사회적지지요인을 투입한 모델Ⅲ은 모델Ⅱ와 거의 차이가 나지 않아 사회적지지는 다른 변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소진을 설명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찾아볼 필요가 있으며 사회적 지지변인을 다른 연구방법으로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와 제안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공복지서비스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제공을 위해서는 전담공무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직급이 변하거나 2~3년과 같은 일정한 간격으로 업무교육 뿐 아니라 스트레스관리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재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업무환경요인 가운데 도전, 규칙과 지침의 명확성, 자율성은 소진과 각 하위영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전담공무원이 소신있게 일할 수 있는 도전기회와 자율성을 제공하고 각 사업마다 다르게 적용되는 지침과 규칙들을 명확히 하고 그 기준이 일관성있게 정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셋째, 전담공무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사회복지전문 인력보강이 필수적이며 점차적으로 주민센터의 사회복지 기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이 절실하다. 장기적으로는 읍·면·동사무소에서 직급에 따라 위계를 갖고 전문적 지도와 감독이 가능한 공공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적지지의 영향력이 미비하였으나 소진과 그 하위영역에 동료의 지지와 상사의 지지가 유의미한 변수로 검증됨에 따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읍·면·동사무소에서 동료와 상사의 지지를 받으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진의 요인을 개인적 특성, 업무환경, 사회적지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좀 더 다양하고 폭넓은 변수들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사방법이 자기기입식 설문에만 한정되어 있어 객관적 결과를 얻기 위해 변수측정의 계량화 및 면접법이나 사례연구를 통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조사지역이 경기도로 한정되어 있어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어려우며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