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7 Download: 0

가족상황과 고용상태에 따른 직업의식 연구

Title
가족상황과 고용상태에 따른 직업의식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Depending on Family Circumstance and Employment Status
Authors
임지선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우식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at describes how an individual understands and holds viewpoints regarding jobs. The reason why it is important to explore how professional consciousness changes depending on the circumstances an individual faces is that professions are tools to implement one’s dreams and self-achievement beyond just making a living. Occupational consciousness can be defined as values, customs, and attitudes toward jobs and this research explores the correlation between values toward professions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Existing studies focused on how occupational consciousness renders decision-making. For example, the subject of research was usually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or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asked to define their ideal profession, what kinds of factors they consider in this, and what their dream professions are. In addition to this example, certain occupational groups were chosen and they were asked how social awareness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 affect their satisfaction toward the professions. Previous studies regard occupational consciousness as a given factor. But this study focuses on factors that affect and determine occupational consciousness. Occupational consciousness is determined by individual circumstance and self-concept, and this study focuses on external factors most closely related to individuals affecting occupational consciousness: family circumstance and employment status. While previous studies had microscopic view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ircumstance and professions, employment status was considered together to widen the scope. Occupational consciousness was categorized according to three groups such as occupational aptitude, income level, and stability. Multinomial logit analysis was conducted given that there were more dependent variables than categorical variabl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rinsic values were comparatively more emphasized by males than females, younger than older, and more educated than less educated. When family relationships and family economy caused economic and psychological pressure on individuals, extrinsic values were preferred. Those who were married and have children valued extrinsic values higher than intrinsic values in comparison with singles and those without children. Also, intrinsic values were more respected as total family income increased. Second, as occupational consciousness was explored depending on employment status, the unemployed showed a tendency to value occupational aptitude more while the employed valued income level more. But employment status alone had less significance 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us their sex, age, and occupational grouping need to be considered together along with employment status. In conclusion, economic and psychological uncertainty through family relationships, family economy, and employment status drive individuals to prefer extrinsic values in their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is study had a new feature in that family circumstances and employment status were considered together. But it was found that follow-up studies need additional variables that can more thoroughly describe individual circumstances. Occupational consciousness is not only important for individuals but also for the social group. Therefore, follow-up studies need to further explore values toward professions and occupational consciousness.;본 연구는 현대인에게 중요한 직업의식을 살펴본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직업의식의 모습을 살펴보는 작업은 중요한데 직업이란 생계유지의 수단뿐 아니라 삶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개인은 직업을 통해 이상실현을 이루는 중요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직업에 대한 가치, 직업에 대한 태도, 직업에 대한 의견, 직업에 대한 관습을 모두 포함하여 직업의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현대사회에서 개인은 자신의 직업의식이 불분명한 채 사회로 나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중요한 직업의식형성을 둘러싸고 제반 여건환경은 급격하게 변화하는데 산업구조의 개편으로 인한 직업가치관의 변화, 고졸노동시장의 침체화, 고등교육 진학의 대중화, 부모에 대한 경제적·사회 심리적 의존기간의 연장, 개인의 가족상황,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직업정보의 범람에 따른 직업선택의 혼란, 물질 중심적 사고의 만연 등은 개인의 직업가치와 직업의식을 형성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개인이 자신에게 맞는 직업가치관을 가지고 직업의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개인이 직업을 선택하는 일과 더불어 꼭 필요한 작업이다. 기존의 직업의식 연구는 직업의식이 미치는 결과에 주목하고 있는데, 연구대상이 중·고등학교 학생이거나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로 바람직한 직업이 무엇이며 직업의 어떠한 측면을 중시하고, 장래 어떠한 직업을 희망하는가 등의 의견을 조사하여 정리한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특정 직업을 대상으로 사회적 인식이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련된 연구들이다. 이러한 연구들은 직업의식이 직무만족향상과 직업의식고취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에 주목하는 것으로 본 연구는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주목한다. 개인은 자신의 둘러싸인 환경에 의해서 현재 또는 미래의 직업의식이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가지는 환경 중 가장 밀접하다고 판단되는 가족 상황과 고용상태에 따른 직업의식의 차이를 본다. 이러한 가족상황과 고용상태가 개인이 느끼게 되는 경제적 불확실성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직업의식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따라서 가족상황을 가족관계와 가족경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직업의식은 크게 외재적 가치와 내재적 가치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외재적 가치는 직업의 안정성과 수입규모가 큰 일자리를 포함하고 내재적 가치는 적성에 맞는 일자리를 포함한다. 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가족경제와 가족관계, 고용상태를 포함한 14개의 독립변수들이 분석되었다. 직업의식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다항로짓분석(multinomial logi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다항로짓분석은 종속변수가 셋 이상의 범주형 변수(categorical variable)로 되어있는 경우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안정성이 높은 일자리, 수입규모가 많은 일자리, 적성에 맞는 일자리이다. 첫 번째 분석에서는 적성을 기준범주로 하여 안정성과 수입규모를 중시하는 경우를 비교해보고 두 번째 분석에서는 수입규모를 기준범주로 하여 안정성을 중시하는 경우를 알아본다. 또한 각 기준범주 안에서 변수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는 경우도 추가하였다. 분석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여성보다는 남성이, 교육년수가 많을수록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였고, 가족관계와 가족경제상황, 고용상태에 의해 자신이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끼게 될수록 외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결혼변수와 자녀부양변수가 경제적 부담으로 크게 작용하여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무직이면서 기혼이 아닌 경우 예상외로 내재적 가치를 중시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에서 무직인 경우 취업에 실패한 사람들도 있지만 미취업자들도 포함하기에 이상적인 판단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특징적으로 고용주인 경우 외재적 가치를 중시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업의식을 다룬 기존연구들과는 달리 연구대상을 특정대상으로 한정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직업의식이 미치는 요인을 개인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가족상황과 고용상태에 초점을 맞추어 이러한 경우 개인의 경제 불확실성이 증가할 때 나타나는 직업의식의 모습을 알아본다. 또한 가족과 직업의식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미시적인 관점에서 논의되었던 것에 반해 고용상태를 포함하여 좀 더 거시적인 시각에서 논의되었다는 점이 다른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직업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 개인의 경제 불확실성을 나타내기에 독립변수로 설정된 변수들이 완벽하게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따라서 결측치 문제로 사용되지 못한 변수가 많았는데 이점을 후속연구가 보완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