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은경-
dc.contributor.author남궁정아-
dc.creator남궁정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1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125-
dc.description.abstract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에서 사용하는 온라인 튜토리얼은 일반적인 정보활용능력교육에서의 온라인 튜토리얼과 달리 연계한 수업의 내용과 교수의 요구사항을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는 특정 과목의 수업과 연계하여 실시하는 정보활용능력교육에서 활용 가능한 온라인 튜토리얼의 모형안과 운영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 사례연구, 설문조사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정보활용능력과 정보활용능력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 정보활용능력 표준지침 및 정보문제해결모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정보활용능력교육을 위한 온라인 튜토리얼의 개념 및 설계기준을 살펴본 뒤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국내외 사례연구에서는 국내의 경우 실제 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에서 활용하고 있는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인하대학교의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을, 국외의 경우 교육내용 구성이 미국, 영국, 호주 및 뉴질랜드의 정보활용능력 표준지침, Big 6 정보문제해결모형, 파파스-테프모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5가지 핵심영역 중 4가지 이상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는 드렉셀대학교(Drexcel University), 인디애나-퍼듀대학교(Indiana University - Purdue University Fort Wayne), 덴버대학교(Denver University)의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선정하여 교육내용 측면, 교육방법 측면, 인터페이스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교육내용은 정보요구 및 정보원 파악 영역, 정보검색 영역, 정보평가 및 정보통합 영역, 정보이용 및 정보표현 영역, 정보윤리 영역과 그 외 영역으로 나누었다. 교육방법은 학습안내, 학습정리, 평가, 과제 영역으로 인터페이스는 탐색보조도구, 멀티미디어 자료, 링크, 의사소통 메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온라인 튜토리얼을 활용한 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의 효과와 개선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인하대학교에서 현재 정보활용능력교육과 연계된 글쓰기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 421명을 대상으로 2009년 10월 26일부터 11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회수는 총 421부 중 답변이 미흡한 13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408부가 회수되어 97%의 응답률을 나타냈다. 설문조사 결과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현재 수강하고 있는 글쓰기 수업에서의 정보활용능력교육이 온라인 튜토리얼로 진행되어 개인 일정과 수준에 따른 개인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긍정적 교육효과를 얻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응답자들의 요구사항으로는 수업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 온라인 튜토리얼 구성, 학습한 내용을 실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사서나 교수와의 쌍방향적인 의사소통 장치의 필요 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의 구성요소와 운영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도서관 홈페이지에 온라인 튜토리얼을 제공하고 있는 68개 대학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교육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2009년 10월 26일부터 11월 17일까지 직접 방문조사와 이메일을 통해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51부가 회수되어 75%의 응답률을 보이고 있다. 면담 대상은 국내 사례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인하대학교 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교육 담당 사서와 3개 대학에서 온라인 튜토리얼을 활용한 정보활용능력교육을 연계하여 실시하고 있는 글쓰기 수업 담당 교수 7명으로 직접 방문하여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및 면담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을 대학원 전공 수업, 학부 전공 수업, 대학원 논문세미나 수업, 학부 논문작성법 수업 순서로 요청하고 있으며, 교육의 주목적은 교수가 부과하고 있는 과제해결에 필요한 내용이나 특정 학술데이터베이스 이용방법, 논문작성방법에 관한 내용 교육 등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을 위한 구성요소의 중요도를 교육내용 측면의 6개영역 13개 구성요소, 교육방법 측면의 4개영역 7개 구성요소, 인터페이스 측면의 4개영역 6개 구성요소를 5점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도서관 전반에 관한 소개’, ‘학습내용을 반영한 과제 실시’는 3.00 이하의 평균값을 나타내고 있어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구성요소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셋째, 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을 위한 온라인 튜토리얼 개발에 대부분의 사서와 교수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계된 수업의 내용과 교수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의 구성을 가장 필요로 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을 위한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안을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측면, 인터페이스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운영방안도 함께 제안하였다.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 측면의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은 모듈별로 분리가능한 분리형으로 수업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과 교수가 부과하고 있는 과제 등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춰 ‘들어가기, 문제해결 실행, 문제해결 검토’ 모듈로 구성하였다. 또한 각 모듈학습의 본론 전 후에 학습안내와 학습정리 내용을 제공하며, 학생들이 학습내용을 최대한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워크시트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인터페이스 측면의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정보의 효과적 표현과 흥미유발,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으로는 도서관 소개와 같이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별도의 모듈 개발 및 활용, 사서와 교수의 긴밀한 협력, 온라인 튜토리얼 학습으로 산출한 결과물을 평가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튜토리얼 학습에 대한 평가방법, 오프라인의 면대면 정보활용능력교육과 온라인 튜토리얼의 공동 활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은 각 대학도서관에서 수업의 내용과 수업 담당 교수의 요구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을 설계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참고할 수 있다. 또한 정보활용능력교육을 요청한 교수나 다른 일반 교수들에게도 수업 맞춤형으로 구성된 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내용과 진행과정에 대해 소개함으로써 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 활성화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key aspects of an online tutorial for information literacy and to propose an online tutorial model for information literacy which is related to some subjec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approaches wer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case studies,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s. First, through literatures review, definitions, concepts and theories of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online tutorial for information literacy were analyzed. Second, as case studies, online tutorials for course related information literacy were selected from universities; online tutorials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oongsil University, Inha University, Drexel University, Indiana University - Purdue University Fort Wayne, Denver University were analyzed. These six tutorial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ree aspects such a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and interface aspects. Third,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or the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taking courses containing online tutorials for information literacy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oongsil University, Inha University. The results of those surveys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aspects and elements of online tutorials for information literacy.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n affirmative educational effect when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was provided in terms of online tutorial for course related information literacy. The main reason for this positive effect can be understood as the capability of individually customized schedules and levels. The core aspects for online tutorial for information literacy were considered as actual us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two-way communication tools between users and instructors/librarians. Forth, questionnaire and interview for course instructors and librarian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crucial components of online tutorial model and operation plan for information literacy.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for the librarians in charge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s at 68 university libraries. These 68 university libraries provided online tutorials for information literacy on their library homepages. The librarians at Sookmyung, Soongsil and Inha University library and seven course instructors were interviewed. The findings pointed out that course instructors intended to provide knowledge and skills of academic databases and thesis writing. In addition, the findings showed that librarians and course instructors had a positive perception on online tutorial for course related information literacy. The findings recognized that the most important aspect for online tutorial was considered a required task which is relevant to the course cont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s review, case studies,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finally, an online tutorial model for course related information literacy was proposed. The proposed model is divided into three aspects such a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and interface aspects. In most cases, online tutorials for course related information literacy do not convey uniqu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compared to general online tutorials for information literacy.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should be helpful and used as guidelines when an online tutorial for course related information literacy needs to be design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과 범위 = 3 C. 선행연구 = 6 Ⅱ. 정보활용능력교육과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 16 A. 정보활용능력교육의 정의 = 16 B.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 34 Ⅲ.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사례 및 현황 분석 = 49 A. 국내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사례 = 50 B. 국외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사례 = 63 C. 국내외 사례 종합 분석 = 77 D. 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 현황 및 요소 분석 = 82 Ⅳ.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 설계 = 101 A.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 설계방향 = 101 B. 수업연계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안 제시 = 105 Ⅴ. 결론 = 113 참고문헌 = 119 부록 1: 정보활용능력교육 온라인 튜토리얼 제공 대학도서관 = 125 부록 2: 온라인 튜토리얼 기반 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 수강자 대상 설문지 = 126 부록 3: 온라인 튜토리얼 제공 대학도서관 정보활용능력교육 담당자 대상 설문지 = 130 ABSTRACT =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950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수업연계 정보활용능력교육을 위한 온라인 튜토리얼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Online Tutorial Model for Course Related Information Literacy-
dc.creator.othernameNam Koong, Jeong Ah-
dc.format.pageⅹ, 13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문헌정보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