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향숙-
dc.contributor.author정우정-
dc.creator정우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15-
dc.description.abstract변화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사회에서 개인이나 사회가 공동으로 당면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지식은 어느 전문 분야만의 분절된 지식이 아니라 여러 분야의 것을 종합하여 응용할 수 있는 통합적 지식 즉 지식의 통합화가 요구된다. 다시 말해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모든 관련 분야가 공통적으로 협력하고 기여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올바른 인격을 형성하고, 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공공의 의식과 상호소통능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현대 사회의 문제해결을 위해서는 통합적 안목을 기르는 방법으로 분과중심의 교육방법 보다는 통합적인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통합교육은 일상생활의 구체적인 삶과 관련된 학습을 하기에 용이하며 과목의 연계를 통해 학생들이 개념을 오랫동안 기억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다. 제 7차 교육과정과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교과통합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지식과 태도를 습득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다. 도덕과는 바른 인성을 지닌 민주 시민으로서의 인격 형성에 목표를 두고 아동들이 사회적 관점에서 자신을 발견하며 사회에서 어떠한 시민으로서 살아가야 할지 학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미술과는 이러한 도덕적 개념을 미술활동에서 표현함으로써 미적체험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토대로 미술 수업에 도덕과를 통합함으로써 전인 교육이 필요한 아동에게 전인적 인격형성에 매우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적 접근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실생활에서 적용하여 공동체 의식 함양과 상호소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적 접근 프로그램을 만들기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통합교육의 유형에서 주제중심으로 포가티(Fogarty, 1998)의 모형 중 공유형을 통합방식으로 선택하여 <새롭게 변신한 우리 동네> 수업을 개발하였다. 이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실생활과 관련된 공공의 이익, 즉 도덕적 내용을 학습하고 개념을 형성한 후, 우리 동네의 공공시설물을 직접 관찰하고 새롭게 디자인한 후 제작해보며 미술과와 도덕과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고취하도록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총 56명으로 강동구 천호동에 소재한 C초등학교 5학년 남녀 혼반 두 개의 학급(1반, 4반)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기간은 2009년 6월 22일부터 7월 14일까지이며, 실험집단 1반 28명은 총 8차시로, 통제집단 4반 28명은 총 4차시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적 접근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해 각각 수업을 하여 두 집단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평가방법은 평가도구를 작성하여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나누어 학습동기를 검사지로 사전 사후 설문조사하고, 학업성취도는 미술과와 도덕과 각각 형성평가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형성평가 검사지는 에듀넷의 초등학교 5학년 문제풀기 사이트에서 추출한 문제와 본 연구자가 만든 문제를 교육 전문가 1인과 초등학교 11년, 8년, 5년 경력 교사 3인의 검토 후 사용하였다. 그리고 미술과와 도덕과의 사전 사후 성적에 근거하여 학업성취도 효과를 검증하였다. 자료처리 방법은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을 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고 모든 자료는 SPSS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적 접근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일반적인 만들기 수업을 한 통제집단보다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자가 개발한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도덕과 학습내용을 생활에서의 경험으로 확대하고 관찰력이 증진되며 함께 문제를 보다 깊게 이해하고 미술활동을 통해 시각화, 경험화 하게 되어 지적 호기심과 정서적 표출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미술과와 도덕과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가 일반적인 수업을 할 때보다 향상된 것이다. 통합교육에 관해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미술과와 도덕과 중심의 통합적 접근의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고 보며 후속연구로 다양한 주제와 교수법을 활용하여 필수적인 내용이 학습될 수 있는 연구가 절실히 필요하겠다. 결론적으로 미술교사들 뿐 아니라 미술계에 종사하는 연구자들과 타교과의 교사, 연구자들이 함께 다양한 통합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대하여 향후 미술과가 주변 교과가 아닌 하나의 보편 타당하고 필수적인 교과임을 굳건히 자리잡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현재 미술교육에 있어서 더욱 다양한 연구와 실천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미술교육이 되기를 바란다.;Modern society characterized by rapid change requires the integration of knowledge, which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faced both individual or society, knowledge needs to be not segmented knowledge of special area of expertise, but integrated knowledge which can be applied to many areas. That is, for solving the problem, all related areas need to be cooperated and contribute each other. Particularly, for solving the problem of modern society requires a good personality, community sense, and the capacity of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it needs the integrated approach, not just separated courses. In addition, integrated education is good for the learning related with daily life, and effective learning method for student's long term memory of concept through integrating the courses. In the seventh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amended education curriculum, it encourages the integrating education for adopting and understanding various knowledge. This research has linked the moral education and the fine art. In moral education, it aims that good character building of student as a democratic citizen who possesses the moral and good personality, discovering themselves in social perspective, and learning how they live well in society. In fine art, it expresses the concept of moral in fine art activities and artistic experiences. Hence, integrating art education with moral education based on daily life matters is very effective course for children who need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Thus,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grating art education with moral education on motivation of stud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year 5 primary school students for improving the motivation of study and academic achievement, increasing the community sense, and the capacity of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This research tried to measure the pupils's motivation of study and academic achievement by integrating program of mor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n craft class. Among the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choosing the joint model of Fogaty model (Fogarty, 1998) by subject, I created ‘newly changed my hometown' class. Through the class, pupils can learn public interest related with daily life, which means learning the public moral and formulating the concept of moral. Furthermore, it aims improving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 of the pupils on fine art and moral education by observing the public facilities of hometown, redesigning and making the craft. The research sample was 56 students of the elementary grade 5 students in Chunho-dong, Gangdong-gu, coeducational classes (class 1 and class 4). The period of research was from the 22nd of June in 2009 to the 14th of July in 2009, and class 1 did 8 classes and class 4 did 4 class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applied integrating approach of art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program created by this research conductor. On the other hand, in control group, it was applied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method program for the comparison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on motivation of stud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method of evaluation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integrating the art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on motivation of study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that first, before and after survey by evaluation sheet of motivation of study divided by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second, for the measuring the academic achievement, it was measured by formative evaluation of each fine art and moral courses, and formative evaluation sheet was drawn out from the questionnaire of the elementary grade 5 level at Edunet internet site with unique questionnaire formulated by research conductor, which used after examining by four professionals, one educational professional, and other three 5 years, 8 years, and 11 years experienced teachers. It also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before and after scores of each fine art and moral education courses. The sampling method was independent sample of t-test for inspecting the former homogeneity of each sample, and every sample was analyzed by SPSS v. 12.0, statistics packag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stated below: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did integrating class of fine art and moral education was higher than control group who did ordinary craft class in terms of the average score of the motivation of study and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his research, it revealed that the newly created program designed by research conductor was helped the pupils to experience moral education in life, to increase the capacity of observation, to understand better and deeper the matters, to be fulfilled the expression of feeling and academic curiosity through visualized and experienced art activities. In other words, integrating art education with moral education was more elevating the motivation of study and academic achievement than traditional class. There are many researches on integrating education, however, there is nearly none research on integrated approach of art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hence there is a strong need of further research on developing the essential learning contents by using various subjects and teaching methods. In conclusion, not only fine art teachers but also art researchers and other subjects teachers and researchers develop together for creating integrating program, moreover, fine art education needs to be not a peripheral subject but essential and important subject. Thus, current fine art education is hoped to be an art education which positively affect to the learners through various researches and practi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초등학교 미술에서의 교과통합 = 4 B. 미술과와 도덕과의 교과통합 = 6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8 A. 연구대상 및 절차 = 18 B. 연구도구 = 21 C. 자료처리 및 방법 = 50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51 A. 연구결과 = 51 B. 논의 = 60 Ⅴ. 결론 = 62 참고문헌 = 65 부록 = 67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7895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미술과와 도덕과의 통합적 접근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5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Combinative Approach of Fine Art and Moral Education on Academ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 Focused on Elementary Grade 5 Students-
dc.creator.othernameChung, Woo Jung-
dc.format.pageⅷ,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