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전자영-
dc.creator전자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7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704-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우리는 넘쳐나는 시각 매체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원하든 원치 않든 우리의 일상은 수없이 많은 시각이미지들과의 접촉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시각이미지 속에서 정보를 얻고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며 살아간다. 이와 같은 이유로 현대 사회는 비판적 사고능력을 갖춘 성숙한 시민을 요구하고 있다. 즉, 우리의 생활 환경이 대량 시각정보 매체들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이들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가치 판단 능력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시각 정보 매체에 대한 비판적 사고 능력은 시각예술을 다루는 미술교과에서 효과적으로 길러 질 수 있다. 이러한 비판적 사고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비평을 통한 시각문화교육은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 시각문화교육과 관련한 많은 연구 사례가 있었다. 그 중에 시각문화교육과 비평교육을 연계한 방법론적인 연구도 이루어졌다. 하지만, 비평을 통한 시각문화교육이 학습자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습자에게 적용 가능한 ‘시각문화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후, 이것을 교육 현장에 적용했을 때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각문화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와 비평모형을 바탕으로 ‘시각문화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시각문화교육의 3대 담론인 ‘대중문화중심담론’, ‘생활중심담론’, ‘미디어중심담론’을 그 전제로 하여 설계되었으며, 학습 전개 과정의 원리로 ‘다원적 해석을 위한 시각문화 비평모형’을 반영하였다. 현장 적용을 위해 본 연구자가 재직 중인 서울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Y초등학교 6학년 55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28명, 통제집단 27명으로 구성하여 총 12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시각문화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의 과정 중 대중문화중심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은 디즈니 애니메이션이라는 대중문화를 소재로 학습자가 그 안에 담겨진 시각적 특성과 이미지의 내용을 분석하고 비판하며 개인적인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으며, 나아가 표현과의 통합으로 새롭게 애니메이션의 결말을 구성해 봄으로 비판적 글쓰기를 경험하고 만화적인 대중매체로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했다. 생활중심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에서는 학습자가 자기 주변에서 보이는 본인들의 문화를 대변할 수 있는 물건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해 수업의 소재로 삼고, 나아가 ‘미디어가 말하는 10대 문화’와 ‘우리가 생각하는 10대 문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했다. 마지막으로 미디어중심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에서는 비평적 관점에서 바라볼 대상을 대중매체의 하나인 ‘광고’로 삼고 그 안에 담긴 시각이미지를 읽어 비판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수업에서 중점을 두고자 한 미디어 매체인 디지털 카메라와 ‘그림판’프로그램을 사용해 인쇄 광고로 표현해 볼 수 있도록 했다. 본 프로그램은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한 동질성 설문지를 실행하고, 검사지의 사전 검사를 바탕으로 두 집단의 동질성 검증 하였다. 측정 도구로 한국교육개발원의 비판적 사고기능 검사지(1989)와 비판적 사고 성향 검사지(1989)를 토대로 고희연(2003)이 제작한 검사지를 활용 하였으며, 자기 평가 도구는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2006)을 참고로 본 연구자가 제작하여 측정하였다. 수업 만족도는 채민정(2008)의 논문을 참고하여 설문 문항을 구성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양적 연구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상위 집단 2명과 하위 집단 2명의 작품 및 학습지를 분석하고, 학습자 인터뷰를 통해 시각문화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을 변화 과정을 살피고자 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문화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비판적 사고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시각문화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비판적 사고 성향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시각문화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자기평가, 수업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학습자 인터뷰와 학습 결과물 등 질적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 시각문화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태도와 분위기는 통제집단에 비해 적극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형태를 띠었으며, 학생들의 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나 태도,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지고 왔음이 입증되었다. 결론적으로 ‘시각문화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으나, 본 연구는 연구대상이 특정지역 초등학교 6학년 55명의 학생들로 국한되어 이루어졌으므로 이 시기의 초등학교 6학년 전체에게 비판적 사고 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 프로그램으로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시각문화교육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교육 현장의 적용으로 오늘날 삶 속에서 마주치는 많은 시각이미지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선별하여 받아들이는 교육적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발판으로 미술교육 현장에서 비판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각문화교육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Today, we are living in a society where there are overflowing number of visual media. Whether we want or not, our daily life faces too many contacts of visual images, and we gain informations from them which create brand-new images. For these reasons, modern society requests the matured citizens who have an ability to criticize the society. This means that, from the situation of our diverse which is exposed to visual information which is exposed to visual information media, it requires people to be able to judge the value of the society appropriately and with proper perception. Especially,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in regards to visual media can be developed effectively by visual art in art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the ciritical thinking ability, visual culture education through criticism can be one of the ways. There has been a lot of case studies associated with visual culture education until present. From the case studies, the methodological studies connected to visual culture education and criticism education were achieved as well. However, the researches about visual culture education through criticism and how it affects on learner's critical thinking ability is incompleted yet. Therefor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visual culture teaching & learning program' can be affected when applying it into the actual classroom environment. The program can be applied to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ability to think critically after developing i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visual culture teaching &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criticism model related to visual culture education. The program was designed on the premises of culture-based discourse, life-based discourse, media-based discourse which are the top three discourses of visual culture education. It 'visual culture criticism model for plural interpretation' as a principle of learning development process. In order to apply art lesson to actual classroom, this study was preceeded 55 sixth grade students in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ong Dae Moon-Gu, Seoul targeting 28 test group of students and 27 restricted group of students 12 times in total. In the process of visual culture teaching & learning program of the cultural based teaching & learning program in this study was intended for learners to analyze and critize visual features. Also the contents of images, and constructing a personal meaning in popular animated movies, Disney were aimed at this particular research. Ti was also to guide them pengage in critical writing and represent the movies to comic media by bringing animated movies to a new ending in combining with expressions. The life-based teaching & learning program was intended for learners to take photos of objects around them which stands for their own culture use the photos for class materials. This led them to the opportunity to think critically about 'the teenage culture in the media' and 'the teenage culture in our mind'. Lastly, the media-based teaching & learning program chooses to be one of mass-media, 'commercial' for objects which will be view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lso it helps to read the visual image in commercial, and helps learners think critically. The 'paint' program and digital camera was purposely selected as media goals in this lesson as part of media-base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Prior to prov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homogeneity 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homogeneity of two different groups and verified the homogeneity of two different groups based upon pre questionnaire test. Go Hee-yeon(2003)'s revised a version of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s Critical Thinking Skill Inventory(1989)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1989) to utilized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and a self-evaluation inventory was made by this researcher based on a study conducted by The Association of Korea Art Education(2006).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lessons were gauged after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based on the studies by Chae Min-jung(2008). For data handling of quantitative analysis, SPSS Version 12.0K program was employed to conduct independent-samples t-test, paired-samples t-test, and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5 percent. Also for complementary measure of quantitative analysis material, this study analyzed the tests of high level groups of 2 students and low level groups of 2 based on the students results.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learners, it looked at the processes of change on critical thinking ability from visual cultural teaching & lear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the tes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visual culture teaching & learning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imorovements in critical thinking skills than the restriction group that didn't. The intergroup between two groups showed a significant. Secondly, the test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visual culture teaching & learning program made more positive thinking disposition than the restriction group and the gap was significant between two inter-groups. Thirdly, the test group that was involved in the visual culture teaching & learning program made affirmative effects in self-evaluation and satisfaction level with the lessons. Forthly, the analysis of activity results which was done by groups of students and records of students interview proved that the test group showed more positive and self-directed attitudes than proved the restriction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d positive effects of the 'visual culture teaching & learning program' on students' general understanding, attitude toward an art, and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conclusion, 'the visual culture teaching & learning program can be said to have a favorable impact on the critical thinking of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 but because only 55 elementary school student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it's not yet advisable to generalize the program as one of critical thinking education program geared toward every 6th grade students. There are some suggestions regarding the given conclusion of studies : Systematic and long-term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look at various visual images in daily routine life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is is to boost their critical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Consequently, this study is expected to ignite more energetically and various research efforts on visual culture education for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in the sector of art educ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내용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시각문화 교육과 주요 담론 = 4 1. 시각문화교육의 개념과 특성 = 4 2. 시각문화교육의 주요 담론 = 10 B. 미술비평 교육 = 16 1.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 16 2. 미술비평교육의 방법 탐구 = 19 C. 시각문화 미술교육과 비판적 사고력의 관계성 = 26 1. 미술교육의 시각문화교육적 접근 = 26 2. 초등학교에서 비판적 사고력 = 29 3. 시각문화 미술교육과 비판적 사고력 = 35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대상 및 절차 = 37 B. 연구 도구 = 44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75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76 A. 연구결과 = 76 B. 논의 = 96 Ⅴ. 결론 및 제언 = 98 참고문헌 = 101 부록 = 106 ABSTRACT = 14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58236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비평 중심의 시각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비판적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초등학교 6학년 미술교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Teaching & Learning Program of Visual Culture through Criticism and The Effects on Learner's Critical Thinking Ability : Based on An Art Subject for 6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Level-
dc.creator.othernameJeon, Ja Young-
dc.format.pageⅹ, 14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