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방희정-
dc.contributor.author안소정-
dc.creator안소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2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0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40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071-
dc.description.abstract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change in the ratio of gesture utilization by categorizing children by age regarding 24 to 27 months old children through accurate detailed categorization of gestures. To analyze the ratio change of detailed gestures such as instrumental gestures, pointing, conventional gestures and iconic gestures as the age ofchildren increased, Ihaveused the MANOVA method,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tilization oficonic gestures according to language developmen to feach child, Ihaveused the ANOVA method. Also, tofind out the existence of increase of iconic gestures according to language development, I have carried ou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 As a result, among deictic gestures, instrumental gestures and among representational gestures, conventional gestures respectively decreased as the age of children increased, and such gestures were used the most frequently among group 1, which was the youngestgroup. On the other hand, among deictic gestures, pointing did not show any sign if i cant changes regarding age, but it was the most frequent gestures used among detailed categorization ofgestures. Among representational gestures, the utilization oficonic gestures increas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they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group4, which was the oldest group. When looking attherel at ionship between language development and iconic gestures, the change of the frequency of utiliz at ion of iconic gestures according to languag edevelopment was significant, and even in situations where age was controlled, language development in dependently influenced the utilization frequency of iconic gestures by 14%, which is significant. Also, language development explains the frequency of iconic gestures better than the sole factor of age This research significantly explains the change in gesture utilization of children older than 24 months by accurate detailed categorization of gestures and strongly supports there lationship between iconic gestures and language development.;언어발달이 미숙한 아동은 몸짓과 단어를 함께 조합하여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지만,더 이상 발화를 보충하지 않아도 될 만큼 언어가 발달해도 몸짓은 사라지지 않고 계속 사용되는 중요한 의사소통 수단이다.그러나 24개월 이후 아동의 몸짓과 언어발달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연구결과 역시 일관되지않다.이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발달 양상이 다른 몸짓을 하나로 통합하는 등 몸짓의 세부 분류가 정확하지 못하여 몸짓의 유의미한 변화를 찾지 못한 것이다.예를 들면,선행연구에서는 관습적 몸짓과 참조적 몸짓을 주로 ‘표상적 몸짓’으로 단일하게 보았으나 관습적 몸짓은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 비율이 줄어들지만 참조적 몸짓은 늘어나는 경향이 있기에 이들을 하나로 본다면 의미 있는 결과를 얻기 힘들다.그렇기에 본 연구에서는 몸짓 발달의 유형을 정확히 세분화하여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몸짓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고, 세부 몸짓 중 참조적 몸짓 사용이 아동의 언어발달과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24~47개월 아동과 엄마 40쌍을 모집하여 가정집에 방문해 놀이도구를 사용하여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25분간 녹화하였다.녹화한 자료를 통해, 몸짓은 지시적 몸짓-도구적 몸짓,가리키기-과 표상적 몸짓-관습적 몸짓,참조적 몸짓-으로 나누었으며,빈도를 이용한 선행 연구에서 아동의 개인차에 영향을 받아 결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고려하여,아동 개인차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비율로 분석하였다.발화는 총 발화의 형태소의 수를 총 발화의 수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는 MLU-M(Mean Length of Utterance in Morphemes)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월령이 증가함에 따라,세부 몸짓(가리키기,도구적 몸짓,관습적 몸짓,참조적 몸짓)사용 비율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MANOVA를 사용하였으며,아동의 언어발달에 따라 참조적 몸짓 사용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또한,월령을 통제하고도 언어발달정도에 따라 참조적 몸짓 사용이 증가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월령 집단에 따른 몸짓 사용 비율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지시적 몸짓(deictic gestures)의 하위 몸짓인 도구적 몸짓(instrumental gestures)은 월령에 따라 사용 비율이 유의미하게 줄어들었으나,가리키기(pointing)는 월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나지 않았지만,세부 몸짓 중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는 몸짓이었다.표상적 몸짓(representationalgestures)의 하위몸짓인 관습적 몸짓(conventionalgestures)은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사용비율이 점차적으로 감소하였으나,참조적 몸짓(iconicgestures)은 유의미하게 많아졌다. 이는 선행 연구에서 표상적 몸짓을 참조적 몸짓과 관습적 몸짓으로 분류하지 않고 하나의 범주로 분석하였을 때에는 발견하기 힘든 부분이었다. 또한,아동의 언어발달에 따른 참조적 몸짓 사용 비율의 차이가 유의미하여 언어가 발달할수록 참조적 몸짓 사용 비율이 많았으며 ,월령을 통제한 후 언어발달이 단독적으로 참조적 몸짓 사용 비율에 영향을 주는 정도는 14%로 유의미하였다. 즉,월령과는 독립적으로 언어발달이 유능할수록 참조적 몸짓 사용비율이 증가한다고 볼 수 있으며,회귀계수의 유의미성에 있어 마지막 모델에서 월령은 유의미하지 않고,언어발달만 의미 있는 것으로 보아 월령보다 언어발달이 더 많은 설명량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몸짓의 정확한 세부 분류를 통해 문법형성 단계인 24개월 이후 아동의 몸짓 사용 변화에 대한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며,참조적 몸짓은 다른 몸짓과 다르게 월령에 따라 유의미하게 증가함을 알아내었다.또한 월령을 통제하고도 언어발달정도가 참조적 몸짓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월령보다 언어발달정도가 참조적 몸짓 사용 비율에 더 많은 설명량을 가진다는 결과를 통해 참조적 몸짓과 언어발달의 강력한 관계를 입증해주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Reference와 상징 = 6 B. 몸짓 발달 = 8 1. 몸짓의 정의와 종류 = 8 2. 나이에 따른 몸짓 변화 = 10 C. 문법 발달 = 11 D. 언어 발달과 몸짓의 관계 = 14 1. 두 단어 골격형성 후 몸짓의 역할 = 14 2. 언어숙달에 따라 다른 몸짓의 역할 = 16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8 A. 연구 대상 = 18 B. 연구 도구 = 20 1. 덴버 발달 선별검사 = 20 2. MCDI-K 유아용 = 20 3. 놀이 도구 = 21 4. 발화 및 몸짓 분석 기준 = 22 가. 몸짓 분석 기준 = 22 나. 발화 분석 기준 = 24 C. 연구 절차 = 24 D. 자료 분석 = 25 Ⅳ. 연구 결과 = 26 A. 아동의 언어발달과 세부 몸짓 사용 비율 = 26 1. 아동의 언어발달 = 26 2. 아동의 세부 몸짓 사용 비율 = 28 B. 아동의 언어발달과 참조적 몸짓 사용과의 관계 = 32 1. 아동의 언어발달과 참조적 몸짓 사용 = 32 Ⅴ. 결론 및 제언 = 37 A. 결과 요약 및 논의 = 37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43 참고문헌 = 46 부록1. 아동 배경 정보 설문지 = 50 부록2. MCDI-K: 유아용 = 54 부록3. 발화의 구분 원칙 = 66 부록4. 형태소의 구분 원칙 = 67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57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문법형성단계 아동의 세부 몸짓 사용 비율의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참조적 몸짓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Change in the ratio of gesture utilization in children's grammar formation phase : Focusing on iconic gestures-
dc.creator.othernameAhn, So Jung-
dc.format.pageⅷ,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