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정성하-
dc.creator정성하-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9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90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stress factor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isability first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to support the mother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 designed a questionnaire suitable to our conditions, which consists of stress factor items borrowed from another researches and other questions based on interviews with mothers and teachers. The collected 118 mother's data were analyzed and being processed fo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per each area. In order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children's variations and mother's variation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 hoc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rough the data analysis, six stress factors were produced and named as follows: factor Ⅰ, regular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and attitude; factorⅡ, children's basic abilities; factor Ⅲ, relationship with non-disabled children's mothers ; factor Ⅳ,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titude and expertise; factor Ⅴ, parenting burden; factor Ⅵ,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2. Among the six factors, factor Ⅱ, children's basic abilities, factor Ⅴ, parenting burden and factor Ⅵ,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scored over the 3 point. This means mother received a lot of stress in factor Ⅱ, factor Ⅴ and factor Ⅵ. And factor Ⅰ, regular education teacher's awareness and attitude, factor Ⅲ, relationship with non-disabled children's mothers and factor Ⅳ,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titude and expertise were scored under the 3 point.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s levels of stress depending uopn the children's variables: types of disabilities and level of disability . To the types of dis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factor Ⅲ and factor Ⅴ. Mothers of autism disorder children have experienced more stress than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hysical disabilities children's mothers. To the level of disabil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factor Ⅱ and factor Ⅴ. Mothers of severely disordered children have experienced more stress than mild and moderate disorder children's mothers.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s levels of stress depending upon the mother's variables: existence of religion and job types(hired, part time or non-hir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focus on the first grade disabled children's mothers and the time that their children's adjustment elementary school after admission and focused on inclusiv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basic information for assist first grade disabled children's mothers.;초등학교 입학은 자녀가 처음으로 공교육의 테두리 안에 들어가며, 사회 구성원으로서 첫 발을 내딛는 과정이므로 가족에게 매우 설렘을 주는 일이다. 하지만 변화된 환경에 자녀들이 잘 적응을 하며 원만한 학교생활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걱정으로 부모들은 스트레스를 느끼게 된다. 특히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는 통합 환경인 자녀의 초등학교 적응과정 중에 경험하는 또래 비교와 사회구성원들의 시선 속에서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므로, 장애아동의 안정된 학교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아동의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적절한 지원을 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에 어머니가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어머니가 스트레스를 느끼는 요인은 무엇이며 자녀 변인과 어머니 변인에 따른 스트레스에는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입급 되어 있는 1학년 장애아동의 어머니로 총 118부의 응답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어머니들이 자녀를 초등학교에 입학 시키고 난 후 느낄 수 있는 스트레스 요인들을 뽑아 질문지를 구성한 후, 관련 전문가들과 어머니들의 예비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수정· 보완하여 31문항의 설문지를 만들고, 사전조사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 산출하였다. 총 31문항 중 문항분석을 통하여 24개 문항이 선정되었고, 24개 문항을 요인분석 하여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에 어머니가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을 알아보았다. 또한 24개 문항 전체와 하위 요인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연구 문제에 따라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Scheffe 사후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인분석 결과, 6개의 요인이 산출되었으며, 6개 요인의 명명은 다음과 같이하였다. Ⅰ요인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태도’, Ⅱ요인은 ‘자녀의 기본능력과 관련된 문제’, Ⅲ요인은 ‘일반아동 부모와의 관계’, Ⅳ요인은 ‘특수교사의 태도 및 전문성’, Ⅴ요인은 ‘가중된 양육부담감’, Ⅵ요인은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문제’이다. 2. 어머니들은 Ⅱ요인 ‘자녀의 기본능력과 관련된 문제’, Ⅴ요인 ‘가중된 양육부담감’, Ⅵ요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문제’에서 보통(3점) 이상의 스트레스를 느꼈고, Ⅰ요인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 및 태도’, Ⅲ요인 ‘일반아동 부모와의 관계’, Ⅳ요인은 ‘특수교사의 태도 및 전문성’에서는 스트레스를 많이 느끼지 않았다. Ⅵ요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문제’가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요인이었고, Ⅳ요인 ‘특수교사의 태도 및 전문성’이 스트레스가 가장 낮은 요인이었다. 3. 자녀 변인(장애유형, 장애정도)에 따라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에 어머니가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에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선, 자녀의 장애유형에 따라서는 자폐성장애 아동 어머니가 정신지체나 지체장애 아동 어머니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요인별로는, ‘일반아동 부모와의 관계’, ‘가중된 양육부담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음으로 자녀의 장애정도에 따라서는 자녀의 장애가 중한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자녀의 장애가 경하거나 중간 정도인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비해 높았다. 하위 요인별로는 ‘자녀의 기본능력과 관련된 문제’와 ‘가중된 양육부담감’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4. 어머니 변인(직업의 유형과 종교 유무)에 따라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에 어머니가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에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보면 어머니는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1학년 입학 초기에 자녀의 기본 능력과 관련된 문제, 자녀의 친사회적행동과 관련된 문제와 가중된 양육부담감 요인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통합학급 교사, 특수교사, 일반아동 부모와의 관계에서는 스트레스를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변인이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다. 이 연구는 장애자녀를 초등학교 1학년에 입학시킨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어머니를 지원하기 위한 실제적인 프로그램이 많이 개발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의 정리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장애아동과 가족 = 7 B.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변인 = 12 C. 초등학교 전환 시기의 부모의 스트레스 = 15 Ⅲ. 연구 방법 = 23 A. 연구 대상 = 23 B. 연구 도구 = 25 C. 연구 절차 = 28 D. 자료 처리 = 28 Ⅳ. 연구결과 = 30 A.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초기에 어머니의 스트레스 요인 = 30 B. 자녀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 = 37 C. 어머니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 = 43 Ⅴ. 논의 및 제언 = 45 A. 논의 = 45 B. 제언 = 52 C. 연구의 제한점 = 54 참고문헌 = 55 부록 = 64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7377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입학 초기에 어머니의 스트레스 요인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f stress factors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after their children enter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Jung, Sung-Ha-
dc.format.pageⅸ,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