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손민정-
dc.contributor.author양숙희-
dc.creator양숙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1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2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8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25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중국어의 명사성 빈어를 고찰하고 한국어 목적어와의 차이점을 알아본 뒤 이를 토대로 효과적인 명사성 빈어의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는데 있다. 중국어의 빈어는 동사와 더불어 가장 기본이 되는 문장 성분으로 교수-학습에 있어서 그 의미와 용법에 대해 정확히 숙지하도록 강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중국어의 빈어는 교육 현장에서 그 용어조차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어의 목적어와 중국어의 빈어는 완전히 동일한 개념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모두 목적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어 빈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더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어 목적어와 구분되는 중국어 빈어의 특성을 자세히 살펴보고 이에 따른 교수 방안을 설계하기 위해 본 논문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해 진행되었다. 제 Ⅰ 장에서는 한국어의 목적어와 구분되는 중국어의 빈어를 간단히 살펴봄으로써 본 연구의 동기와 목적을 제시하였다. 또 연구의 범위와 방법을 간략히 살펴보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제 Ⅱ 장에서는 중국어 빈어의 일반적인 정의를 살펴보고 주어와 빈어, 보어와 빈어의 관계를 통하여 빈어의 정의를 명확히 내리고자 하였다. 또 학자들의 견해를 검토해 봄으로써 빈어의 종류를 살펴본 뒤 명사성 빈어를 본 연구의 범위로 제한하였다. 제 Ⅲ 장에서는 孟琮 외(1987)의『動詞用法辭典』을 참조하여 기타를 제외한 13가지의 명사성 빈어를 종류별로 고찰하고 각각의 빈어가 한국어 문장 성분으로 대응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제 Ⅳ 장에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기본 어휘표에서 75개의 상용 동사를 선정한 뒤 이것들이 수반할 수 있는 명사성 빈어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또 75개의 상용 동사를 중심으로 고등학교『중국어 I』교과서의 명사성 빈어의 용례를 찾아 그 사용 현황을 알아보았다. 제 Ⅴ 장에서는 제 Ⅲ 장과 Ⅳ 장의 연구를 토대로 한국인이 잘 틀리기 쉬운 명사성 빈어인 工具賓語, 方式賓語, 處所賓語를 중심으로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여 보았다. 또 빈어의 종류에 국한시키지 않고 동사를 중심으로 한 교수-방안도 아울러 설계하여 보았다. 제 Ⅵ 장은 본 논문의 결론으로 각 장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하여 종합적으로 마무리 하였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중국어 I』교과서에 수록된 명사성 빈어의 용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과서에 더 다양한 종류의 빈어를 수록할 필요성이 있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현재 교과서에 수록된 빈어는 우리말 목적어와 일대일의 대응 관계를 지니는 受事賓語나 부사어로 대응되는 處所賓語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중국어의 빈어를 다양한 각도에서 접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工具賓語, 方式賓語, 原因賓語 등 더욱 다양한 종류의 빈어를 수록하여 중국어 빈어의 의미와 용법에 익숙해지도록 해야 한다. 또 대부분의 동사는 한 종류의 빈어와만 결합하지 않고 여러 종류의 빈어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중국어 I』교과서에는 오로지 受事賓語와 결합되는 경우에만 국한되어 소개한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의미가 간단한 동사일지라도 여러 종류의 빈어를 수반하는 예문을 수록하여 동사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와줄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학습자들이 한국어의 목적어와 구분되는 중국어의 빈어에 대해 이해하고 한국어와 구분되는 중국어의 특성을 숙지하여 더욱 세련된 중국어를 구사하도록 하는데 있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本论文研究目的是考察汉语的名词性宾语,并与韩语目的语进行比较。以此为基础,设计有效的名词性宾语教学计划。汉语宾语和谓语动词一样是最基础的句子成分。所以我们必须得熟知宾语的正确意义和用法。韩语目的语与汉语宾语是两个不同的概念,但在实际教学中,对宾语用语的使用存在着问题。很多老师将汉语宾语叫做目的语,与韩语目的语混淆起来使用,让学生们更加难以理解汉语宾语的意义和用法。 本论文按照下面的步骤加以了研究。第一章通过简单比较汉语宾语与韩语目的语,介绍了本论文的研究动机和目的,同时提示了研究范围和方法,并对先行研究做了归纳整理。 第二章介绍了汉语宾语的一般定义,并考察主语和宾语、宾语和补语的关系,明确阐明宾语的准确定义。关于汉语宾语的种类,首先考察了一些学者的见解,然后归纳了一些有共同之处的宾语。以此为理论基础,本论文的研究范围局限于名词性宾语。 第三章考察了孟琮等(1987)在动词用法辞典上提出的十四种名词性宾语,并和韩语目的语一一进行了比较。 第四章从2007修订教育课程基本词汇表中选定了七十五个常用动词,考察了它们到底能带哪种名词性宾语,并从高中『中国语Ⅰ』教科书里找出七十五个常用动词所带的名词性宾语实例。 第五章以第三、四章的研究结果为基础,设计出韩国人容易犯错误的工具宾语、方式宾语、处所宾语的教学计划,同时还设计了不是只局限在宾语,而是以动词为中心的教学计划。 第六章综合分析了各章的核心内容,对本论文做出结论。 本论文从高中『中国语Ⅰ』教科书里找出了名词性宾语的实例。通过这个过程最终下了该结论,即在教科书上需要收录更多种的名词性宾语。目前,教科书所介绍的宾语大多是和韩语目的语相同的受事宾语或者处所宾语。这不能让学生们全面地理解汉语的名词性宾语。因此,为了让学生们熟悉宾语的意义和用法,本人建议应该介绍各种名词性宾语的例子,如工具宾语、方式宾语、处所宾语等等。 其次,汉语的大部分动词并不是只能带一种宾语,而是能带两种以上的宾语,但在高中『中国语Ⅰ』教科书里大部分写着一个动词只能带一种宾语,如受事宾语、处所宾语。因而,需要提示各种名词性宾语的例子,以便帮助学生进一步了解动词的含义。-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2 C. 선행 연구 = 3 Ⅱ. 빈어의 정의와 종류 = 5 A. 빈어의 정의 = 5 1. 일반적 정의 = 5 2. 주어와 빈어의 구분 = 6 3. 빈어와 보어의 구분 = 7 B. 빈어의 종류 = 8 1. 劉月華의 견해 = 8 2. 孟琮의 견해 = 10 Ⅲ. 명사성 빈어의 종류와 한국어 문장 성분과의 대응 양상 = 13 A. 명사성 빈어의 종류 = 13 1. 受事賓語 = 14 2. 處所賓語 = 15 3. 對象賓語 = 19 4. 結果賓語 = 20 5. 致使賓語 = 21 6. 施事賓語 = 22 7. 工具賓語 = 23 8. 目的賓語 = 26 9. 方式賓語 = 27 10. 等同賓語 = 28 11. 時間賓語 = 30 12. 原因賓語 = 30 13. 同源賓語 = 31 14. 雜類 = 31 B. 한국어 문장 성분과의 대응 양상 = 32 Ⅳ. 고등학교「중국어 I」의 명사성 빈어 사용 현황 = 33 A. 어휘 선정 및 수반하는 명사성 빈어의 종류 = 33 B. 한국어와의 대응 양상에 따른 명사성 빈어의 분류 = 37 C. 명사성 빈어의 사용 현황 = 38 1. 주어로 대응되는 빈어 = 39 2. 보어로 대응되는 빈어 = 41 3. 부사어로 대응되는 빈어 = 44 Ⅴ. 명사성 빈어의 교수-학습 방안 = 51 A. 문법 지도의 방법 = 51 B. 교수-학습 지도 방안 = 53 1. 工具賓語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 = 54 2. 方式賓語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 = 61 3. 處所賓語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 = 66 4. 종합 및 소결 = 71 Ⅵ. 결론 = 76 참고문헌 = 78 부록 = 81 中文摘要 = 9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50998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국어의 명사성 빈어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고등학교『중국어 I』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关于汉语的名词性宾语研究 : 以高中『中国语Ⅰ』为中心-
dc.creator.othername梁淑喜-
dc.format.pageⅶ,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중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