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4 Download: 0

생태주의에 기초한 중학교 1학년 시각문화교육 방안

Title
생태주의에 기초한 중학교 1학년 시각문화교육 방안
Other Titles
Visual Culture Education for 1st Year Junior High School level based on Ecologism: Focusing on Public Service Ads
Authors
김민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용
Abstract
이성에 의한 합리적 사고를 최고의 덕으로 생각하며 과학문명을 발달시키고 물질적으로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있는 오늘날, 우리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그 풍요로움 이면에 생태계 파괴와 인간성 상실이라는 ‘생존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사회·도덕·문화의 위기를 포함하는 생태적 위기는 근본적인 대안과 실천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한 것이 바로 생태주의다. 생태주의는 자연보호 측면의 단일한 개념을 넘어 사회구조적 변화와 인간의 도덕적·윤리적 가치관의 변화를 함께 추구하며 우리가 당면하고 있는 전 지구적 위기들을 극복하고자 하는 철학적·사회적·문화적 대안이다. 생태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과도 맥락을 같이하며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시각문화와 관련성을 갖는다. 시각문화는 타문화에 대한 이해와 모든 집단의 차이를 인정하고자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바로 이러한 점이 생태주의가 추구하는 사회평등, 사회정의, 생명존중, 인간성 회복과 같은 가치들을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교육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해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 사회의 다양한 양상을 맥락적이고 통합적으로 접근하고자 하는 시각문화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생태적 가치관을 형성시키고 내면화하도록 하여 오늘날의 생태적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설계해 나갈 수 있는 힘의 토대를 마련할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선행연구와 문헌의 고찰을 통한 ‘가치’ 중심의 접근으로 ‘가치화과정’의 모형에 적용하여 교수학습 절차와 활동 내용을 설계하였다. ‘가치화과정’의 첫 번째 단계는 예술을 통해 생태적 문제에 접근하여 당면한 문제를 파악하고 인식하는 ‘가치수립과정’이다. 두 번째 단계는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생태적 사회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단계로 생태주의 실천운동과 예술에서의 생태적 관점을 탐색해보는 ‘가치명료화(분석)과정’이다. 세 번째 단계는 미디어를 활용한 해석과 비평의 단계로 사진, 지면광고, TV광고, 동영상자료를 생태적 관점에서 토론을 중심으로 해석하고 비평하는 ‘가치참여과정’이다. 네 번째 단계는 생태적 가치관의 내면화 단계로 토론을 통한 주제선정과 다양한 생태주의 개념을 상징적인 공익광고로 디자인하는 ‘가치확인과정’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 단계는 새로운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반성 및 평가의 ‘가치심화과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수원시에 위치한 G중학교 1학년 8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의 40명에게는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총 8차시 수업에 걸쳐 적용하고 통제집단의 40명에게는 전통적인 감상과 표현활동의 수업을 총 8차시 수업에 걸쳐 실시하여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실험처치에 앞서 두 집단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1학년1학기 수행평가와 생태적 가치관 검사를 실시한 결과 유의수준 5%에서 동질한 수준을 나타내 동질 집단임을 증명하였다. 실험 처치하여 얻은 생태적 가치관의 양적 분석 결과에 대한 통계적 자료처리는 SPSS ver 12.0을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학습자의 변인을 고려하여 양적 검사에서 측정 될 수 없는 부분은 전체수업 과정의 활동지를 참고로 작품 결과물을 질적으로 서술 분석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생태적 가치관의 검사 도구는 이용우(2007)의 생태적 가치관 검사에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고 작품에 대한 평가도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토대로 박혜린(2009)의 공익광고 디자인 검사 도구를 활용하였으며 내용의 타당도를 위하여 미술교육전문가 2명의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생태적 가치관의 11개 하위영역 중에 <학교환경교육 효과>과 <과학기술>를 제외한 9개 영역에서 생태적 가치관이 높게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환경교육 효과>영역은 그 동안에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체감한 학교교육에서의 환경교육의 부족을 반영하는 결과로 사전·사후의 결과에서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에 대해 학교에서의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구경희(2006)의 연구와 대안학교 환경교육의 실효성을 주장하는 이용우(2007)의 연구를 바탕으로 당위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과학기술> 영역에서 사전·사후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은 것은 오늘날 과학 중심적 사고의 교육적 영향으로 판단하여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 이용우(2007)의 연구와 생태주의 교육을 그 대안으로 주장하는 조용개(2008), 구승회( 2001), 문순홍(1999), 홍성태(2007)의 이론을 바탕으로 결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둘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해 볼 때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수업을 진행한 통제집단보다 생태적 가치관 11개 하위영역에서 모두 높은 증진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작품결과물을 분석한 결과 4개 영역인 ‘주제표현’,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방법’, ‘표현재료와 용구’에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결론적으로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 방안으로 개발한 생태주의 공익광고 디자인 프로그램은 ‘가치화과정’을 토대로 중학교 1학년 학습자가 생태적 가치관을 형성하고 내면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은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생태주의를 ‘자연보호’의 측면을 넘어 다양하고 총체적인 이념으로 인식하게 한다. 둘째,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은 시각적 이미지를 통해 시각적 문해력을 키우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문화적 문제에 대한 생태적 문해력을 향상시킨다. 셋째,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은 시각적 표현활동을 통해 생태적 가치관을 내면화 시킨다. 넷째,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은 생태주의가 지향하는 가치들을 철학적·문화적·사회적으로 접근하여 ‘이성’중심의 교육에서 ‘가치’ 중심의 교육으로의 변화 시킨다. 다섯째, 생태주의에 기초한 시각문화교육은 타문화를 존중하고 사회적 의사소통을 향상시켜 지속가능한 생태적 삶의 방식을 일깨워 준다. 시각문화교육이 가지는 맥락적이고 통합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우리는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생태주의 교육을 더욱 확대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오늘날의 생태적 위기를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를 건설할 수 있는 올바른 가치관의 토대를 마련해주어야 할 것이다.;In today’s society of living a life of materialistic abundance with scientific advancement with the belief that rational thinking based on reason is the best virtue, we are faced with “crisis for survival” of ecological destruction and loss of humanity on the flipside of that abundance and development of our scientific civilization. Ecological crisis that includes crisis of social, public morals, and culture, requires fundamental alternatives and efforts to accomplish, and the one element that surfaced as a new paradigm for such demands is ecologism. Ecologism is not limited to the simple concept of environmental protection but pursues changes in social structure, and moral and ethical values of man, and it is a philosophical, social, and cultural alternative for overcoming the global crises we are faced with. Ecologism is in the same context as post modernism and correlates to visual culture of post modernism. Visual culture has the characteristic was wanting to understand different aspects of other cultures and to recognize them, and such characteristics allow social equality, social justice, respect for life, recovery of humanity, and other values ecologism pursues to be reflected educationally through visual imag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n educational alternative that will prepare the grounds for building the strength for designing a future society in which today’s ecological crisis can be overcome and be maintained by instilling ecological values to students through visual culture education of approaching in contextual and integrated manner the various aspects of today’s society. Visual cult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ecologism are “value” oriented approach through examination of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as well as literature and it was applied to the “valuation process” model to desig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dure and activities. The first step of “valuation process is “Value setting process” of approaching through art ecological problems, and facing them to understand and recognize them. The second step is the step of understanding and analyzing ecological social phenomenon through visual images and it is a “value articulation (analysis)” process of exploring ecological perspectives in ecological practice and art. The third step is the step of interpretation and critique using the media, and it is the “value participation process” in interpreting and critiquing images, advertisements, TV commercials, and video clips from the ecological perspective. The fourth step is the step of internalization ecological values and it is the “value verification process” in which the theme and various ecologism concepts through discussions are designed as symbolic public service ads. The fifth and the final step is the “value penetration process” of reflection and evaluation in which new behaviors can be practiced.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this study selected 80 students attends from G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Suwon, Korea as subjects as study, with 40 students participating as the test group in a total of 8 sessions of visual culture education program on ecologism and 40 students participating as the control group in traditional observing and expression activities to test the efficacy of this study. In order to test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prior to conducting the study, performance evaluation and ecological values test were conducted in the first semester of their first year in school and certified that they were homogeneous groups with level of significance of 5%. Statistical data analysis for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ecological values obtained from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ver. 12.0 and taking into variables of the learner, areas that cannot be measured in the quantitative test were analyzed by referencing the activity sheet of the total learning process and the results were qualitatively described and analyzed to arrive at comprehensive results. For test of ecological values, ecological values test by Lee Yong Woo (2007) was used after supplementing and modifying it b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or evaluation tools for pieces used, Park Hye Rin’s (2009) public service ad design test tool was used based on art achievement level and evaluation standard for Junior High School according to the 7th curriculum, and for feasibility of the study, it was verified by 2 art education specialists.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st group to which visual cult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ecologism showed that values were instilled at a high level for 9 of the 11 sub domains of ecologic values, with the exception of (school environment education effect) and (science technology). The domain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effect) is a result that reflects the insu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that the students have been experiencing, and in regard to the lack of change from before and after the study, its desirability was substantiated by studies conducted by Gu Hyeong Hee (2006) on the ne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udies conducted by Lee Yong Woo (2007) who claimed the practicali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In addition, the lack of change from before and after the study in the domain of (science technology) can be presumed to be a result of education al influence of today’s science oriented thinking,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studies conducted by Lee Yong Woo (2007) who produced similar results as well as and theories of Jo Yong Gae (2008), Goo Seung Whae (2001), Moon Soon Hong (1999), and Hong Seong Tae (2007) who claim ecologism education is the alternative measure. Second, when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are compared, the test group two which the visual cult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ecologism was applied showed higher increase in all 11 sub domains of ecologic values than did the control group to which traditional teaching was applied. Third, when artistic results of the test group to which visual culture education program based on ecologism was applied were analyzed, their evaluation results in “theme expression”,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Expressive methods”, and “expressive materials and tools” were superior to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vely, the ecologism oriented public service ad design program developed as a way of visual culture education based on ecologism can be said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first year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forming and internalizing ecological values based on the “valuation process.” Therefore, visual cultural education programs based on ecologism suggest the following. First, visual culture education base on ecologism allows one to recognize ecologism through visual images as a diverse and inclusive ideology that is beyond mere “environmental protection” Second, visual culture education based on ecologism builds visual literacy and based on this, enhances ecological literacy in relation to social and cultural problems through visual images. Third, visual culture education based on ecologism internalizes ecological values through visual expression activities. Fourth, visual culture education based on ecologism approaches values aimed for by ecologism philosophically, culturally, and socially and changes the “logic” oriented education to “value” oriented education. Fifth, visual culture education based on ecologism respects other cultures and enhances social communication and awakens sustainable ecological way of life. Based on the contextual and integrated properties of visual culture education, we will need to expand ecologism education that can be conducted in a school setting so that the students can recognize the ecological crisis of today, and we must also prepare the grounds for proper values on which a sustainable future society can be establish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