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차영순-
dc.contributor.author김수진-
dc.creator김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8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887-
dc.description.abstract21세기 사회는 변화 속에 놓여 있으며, 고도의 산업화와 정보화, 개방화가 그 어느 때 보다도 복잡하게 얽혀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쉽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미술교육은 미술을 이해하고 생활 속에서 다양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융통성 있게 대처하면서 활용할 수 있게, 여러 가지 해결책을 모색하고 새로운 것을 창조할 수 있는 방향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요구로 제 7차 교육과정 뿐 아니라 개정교육과정에서도 학생들의 전인적 인격형성과 흥미를 고려한 교과내 각 영역별의 연계와 타교과와의 통합교육과정은 중요시되고 있다. 학교에서의 미술교육은 이제 경험의 통합을 강조하는 교육이 되어야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학습자가 미술교육을 통해 전인적이고 창의적인 사고와 새로움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고, 사고와 흥미는 자발적인 학습을 이끌어 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부분의 교육은 교과간의 연계가 미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습자는 창의적이며 자발적인 학습보다 비창의적이고 수동적인 학습을 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현재의 통합 교육은 아동의 경험을 통합시키고 재구성하여 아동의 발달 영역간의 통합, 영역별 활동 간의 통합을 통한 전인교육을 의미하는 것이다. 전인교육과 인간중심 교육과정간의 관계에서는 자아의 실현과 사회적 의식의 함양을 위한 경험의 통합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통합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시각 언어를 매개로 하는 미술과는 다른 교과에 비해 문화의 흐름에 민감하고 타교과와 문화적인 주제로 통합하는데 있어서 중심 교과로 자리를 잡았다. 하지만 현재 미술 교육환경은 표현 활동에 있어서 여전히 사고와 감상을 병행하는 미술활동보다는 표현 위주의 결과물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술과의 감상 활동에 정의적, 논리적 요소를 부여하여 아동들 수준의 말하기·듣기 영역과의 통합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 감상 영역과 국어 말하기·듣기 영역의 통합적 접근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에 의한 미술 감상 수업을 고안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W초등학교의 5학년 2학급 68명으로 하였으며, 국어과 말하기·듣기 영역과의 통합적 접근에 의한 미술 감상 수업에서는 수업시간에 국어과의 분석과 분류의 개념을 배운 후에 비교 감상학습지를 쓰는 활동을 하였다. 학생들이 작성한 비교 감상학습지와 수업 전, 후에 실시한 학습동기 설문지와 지필평가 결과를 통해 국어과 말하기·듣기 영역과의 통합적 감상 수업을 한 실험집단이 전통적인 미술 감상 수업을 한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는 주혜윤(2009)의 학습동기 검사지를 참고로 하여 연구자의 연구주제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학습동기를 측정하고, 에듀넷(Edunet)의 관련 단원 평가문항을 참고하여 제작된 지필평가도구와 김성동(2001)의 초등학교 미술과 예시평가도구를 참고하여 제작된 실기평가도구를 통해 미술학업성취도를 측정한 후, SPSS ver 12.0k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탐구 및 호기심,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동기지속에 관한 학습동기평가에 있어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지필평가에 있어서 통제집단보다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이 실기평가에 있어서 주제표현, 표현방법, 조형요소와 원리, 표현재료와 용구 등 모든 하위영역에서 통제집단보다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통합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초등학교 현장에서 통합수업의 활용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를 갖는다. 앞으로 후진들의 관심있는 연구로 초등학교에서 미술과와 타교과의 통합을 위한 노력이 계속해서 이루어질 것이다. 각 교과의 장점을 살리고 그것을 십분 활용하여 미술과 교수-학습방법이 미술과의 특성을 반영하는 체계적인 통합지도 프로그램의 틀로서 제시되어야 하리라고 본다.;Our society in the 21st century is in a big shift and faces many complications with high industrialization, information and internationalization than ever before. To cope with this environment, the arts education should aim to create something new and to probe various solutions, so as to deal with diverse problems in everyday life with flexibility. For this social request, it is important that each curriculum should be connected with others, considering the formation of the whole personality of students in the revised education course and the 7th education course, which is the integrated program. The education of Arts in schools should emphasize the integration of experiences now. Then, the learners come to have interests in novelty and creative ideas through the art education. This study can lead you to know that these ideas and interests can produce voluntary works. Most of the present education, however, hardly has connection among the subjects, and the learners have uncreative and passive learning rather than creative and self-active. The present integrated program coordinates and reconstructs the experiences of children, which means th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rough the integration of development areas of children and the integration of activities in each area. It is important that the integration of experiences is demanded to reach self-realization and to promote social consciousness in the courses of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nd the human oriented courses. The integrated program is necessary in this sense. The art department in which visual languages act as intermediaries is more sensitive to the currency of culture than other departments. Thus, it becomes the main subject to integrate it with different subjects with cultural topics. The present educational environment of fine arts, however, still depends on the results of practical performances instead of the appreciation of art. Therefore, this study has tried to integrate the appreciation of art in fine arts with speaking and hearing areas which impose the logical abilities on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s which the integrated approaches of the appreciation on art works and Korean speaking and hearing have on the learning motives and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the 5th graders are the subjects for the class of the art appreciation integrated with Korean class. The subjects were two classes of the 5th graders in W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 the class of art appreciation integrated with Korean speaking and hearing, they wrote the descriptions of their impressions on artistic works, after they learned the definitions of analysis and classification from the Korean class. Through the results of their performances, the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class and their descriptions on artistic work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of the learning motives and performances between the group with the integrated appreciation class and the group with the traditional art appreciations clas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referring to the check list for the learning motive by Joo Hye-yoon (2009), modified and complemented the check list for the topic of this study so as to check the learning motives. I also evaluated the students’ performance in fine arts, with using the writing examinations which were produced referring to the questions in each chapter by Edunet and the fine art talent testing tools referring to the sample evaluating tools of the art subject in the elementary school by Kim Seong-dong (2001). Then, the results and statistics were analyzed by the program of SPSS ver 12.0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group that belonged to the integrated class of fine arts and Korean received higher grades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erms of the evaluation of learning motivation on curiosity, relevancy, confidence, satisfaction and durability of motives. Second, the group in the integrated class received higher grades in the writing examinations than the controlled group. Third, the group in the integrated class of fine arts and Korean received higher grades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every sub-area such as expressing topics, using methods of expression, understanding the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and using materials and tools in practical tests. As a result, the integrated program of the fine art subject and Korean has influenced positively on the improvement of the learning motive and performance of the 5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integrated program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es that the integrated program of art and Korean has on the learning motives and performances of students. Moreover, it is meaningful that the study can become a fundamental material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integrated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future, the endeavors to integrate art and other subjects will continue to be made in elementary schools. To bring merits of each subject into relief and to apply them, the learning and teaching process of art should be suggested as a frame of the systematical integrated program which cont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depart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내용과 방법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교과 통합의 이해 = 4 1. 교과 통합의 의미 = 4 2. 통합의 유형 = 7 B. 초등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 = 9 1. 미술과와 국어과의 교과 특징 = 9 2. 미술 감상 영역과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의 교육적 의의 = 17 Ⅲ. 연구방법 = 19 A. 연구 대상 및 절차 = 19 B. 연구 도구 = 22 1. 수업 도구 = 22 2. 측정 도구 = 41 C. 자료 처리 및 분석 방법 = 46 Ⅵ. 연구 결과 및 논의 = 48 A. 연구 결과 = 48 B. 논의 = 60 Ⅴ. 결론 및 제언 = 71 참고문헌 = 73 부록 = 76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0389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 미술과와 국어과의 통합적 접근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an Integrated Program of Arts and Korean Using the Response-Based Appreciation Model : Focusing on the 5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Kim, Su Jin-
dc.format.pageⅸ, 10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