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유수진-
dc.creator유수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21-
dc.description.abstract급변하는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기술과 과학의 발전 속에 방대한 지식과 정보를 접하게 되며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문제를 적절하게 대응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는 지식과 정보를 올바르게 이해하여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창의적으로 해결책을 모색하고 실생활에 전이를 시킬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사회적인 요구는 학생들의 전인적인 교육과 함께 일상생활 속에서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을 독려하고 있는데 초등학교 미술교육에서도 그 필요성을 인지하고 교육적 접근으로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적용한 교육과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미술은 일반 교과와 달리 학습자가 느끼는 감정이나 생각을 시각적 조형 언어를 통한 메시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문자 언어로만 짜인 것보다 훨씬 더 쉽고, 간결하게 의미전달을 할 수 있다. 미술 작품 안에서 자기가 생각하는 바를 표현하기 위하여 학습자 스스로가 주제 표현에 알맞은 준비물을 선택하여 구비하거나, 자신의 작품과 또래 집단의 작품을 보며 비교하고 감상하면서 작품 각각의 개성과 느낌을 자연스럽게 교류하고 이해 할 수 도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미술과의 활동은 자기주도적인 성격과 모둠별 협동 학습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중심학습 모형은 매우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수업 형태라 할 수 있다. 연구자가 3년간 근무하고 있는 E 초등학교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해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각 교과별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적용하고 있으며 계속적인 수정과 보완을 하고 있다. 이 학교에서는 문제중심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교과별 연구 수업을 실시하고 있는데 창의적인 사고와 자유로운 표현 활동을 하는 미술과 수업에서도 사립학교의 특색 있는 교육 과정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다양한 표현 활동을 활발하게 실시하고 있는 서울시 E 초등학교의 미술과 중심의 타 교과 통합 디자인 연구 수업 사례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문헌을 중심으로 문제 중심학습과 창의적 표현력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대상 학교의 초등학교 5학년 교육과정 내에서 미술과와 주제통합이 가능한 교과의 단원을 분석하여 수업 목표를 설정한 뒤 문제중심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미술과 중심의 타 교과 통합 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적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에게 실생활과 관련된 환경 문제 중에서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메시지가 담긴 <에코백 디자인-친환경 가방 만들기>라는 문제 상황을 스스로 해결해 나가기 위하여 지구 온난화에 이해와 친환경 디자인(그린 디자인)대해 알아보고 나만의 에코백을 디자인 한 후 직접 제작하게 함으로써 창의적 표현력을 심화하도록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위치한 E 초등학교의 5학년을 대상으로 2학급 30명씩 총 60명을 선정하였으며, 2009년 8월 3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실험집단은 문제중심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40분 수업에 총 10차시로 5주에 걸쳐 연구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은 전통적인 교수학습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해 사전 평가로 지구 온난화에 대한 전반적인 과학지식과 미술과 교육의 경험이나 생각을 묻는 질문지와 미술 표현의 수준을 보기위한 평면 활동으로 2009년 6월 8일부터 6월 19일까지 <환경 포스터 그리기>를 실시한 결과 두 집단이 동질 집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집단 간의 동질성 검증을 확인한 뒤 본 연구의 창의적 표현력에 대한 사후 평가로 2009년 8월 31일부터 9월 30일에 걸쳐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메시지가 담긴 <에코백 디자인-친환경 가방 만들기>를 하였다. 미술과와 타 교과 통합이 이루어진 연구 수업의 수업 목표와 단원 설정은 포가티(Fogarty 1998)의 모형 중 거미줄 모형인 주제중심 교과통합접근법을 선택하였으며 조연순(2006)의 문제중심학습모형을 토대로 경력 15년 이상의 과학교사 1인, 경력 4년 이상의 과학교사 1인, 경력 10년 이상의 미술 교사 2인의 감수 하에 연구자가 자체 개발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창의적 표현력을 측정하는 평가 도구는 7차 초등 미술 교육과정에 수록된 실험 학교의 평가 기준을 재해석하여 본 연구자가 고안한 것으로 평가 문항 및 각 문항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해 교육 전문가 1인과 경력 5년 이상의 미술 교사 2인으로 검증을 받아 실시하였다. 각 집단마다 한 사람 당 하나의 작품결과물이 나왔으며 경력 7년, 3년, 2년 미술교사를 채점자로 선정하여 결과물을 분석하였다. 통계적 자료 처리는 SPSS v. 13.0 과 독립표본 T검증을 활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제중심 교수-학습법을 적용하여 디자인 수업을 한 실험 집단 학생들이 전통적인 교수학습법으로 만들고 꾸미는 위주의 수업을 한 통제 집단보다 창의적 표현력 평가의 하위 영역인 주제 표현에서 주제 전달력과 독창성이, 화면 구성에서 통일감, 입체감, 배색의 조화, 재료와 용구에서 재료의 선택과 재료와 조화, 올바른 도구 사용에서 각 영역별로 구성하는 모든 창의성 요소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문제중심 교수-학습법을 적용한 미술과 중심의 타 교과 통합 디자인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문제 상황에 대한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길러주고, 수업의 만족도와 창의적인 표현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Due to the rapid development in technology and science in the 21st century, modern people began to suffer from high volum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leads to experiencing the situations of variety and complexity. In order to confront these circumstances appropriately and to find solutions in self-leading manner, the ability to come up with a creative solution and to adapt it into the real life is necessary. Such social demand has been encouraging education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our lives along with education for the whole man. Recognition of necessity on such demand in elementary art lessons developed vigorous education and researches grounding from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Such case can be applied especially for art. Since art expresses the feelings and thoughts of the learner using visual figures, it is easier and much precise in delivering messages compared to other subjects. In an art piece, a learner can express their thoughts by finding the right equipment in representing the topic. Also, by comparing and looking at other people’s art piec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and impressions of each piece. Because of such features, art lessons can be embodied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Model, a self-leading and integrated way of learning. To extend creativity in problem solving, E elementary school, where I have been teaching for the last three years, have been reorganizing curriculums of all subjects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s with continuous development. Our school enforced Problem-Based Learning Model for each subject. Also for art class which requires creative thinking, continuous research has been done reflecting the special curriculum of private school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how a case study of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applied to art classes in E elementary school. As a reference, recently, E elementary is making a rapid development in the curriculums by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The study can be summarized with following phases. In the first phase, theoretical study has been done in Problem-Based Learning and Creative Expression. In the second phase,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an analysis has been done among the subjects taught to 5th graders in choosing a subject coordinating with art class under a relevant topic. After choosing the coordinating subject, I was able to set a goal for the class. The objective was to quantify whether art class coordinated by other subject appli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model had positive effect in student’s creative expression. Among the environmental problems from our daily life, students were informed to do an independent study of <Eco-bag Design: Making an environment friendly bag> as an assignment of solving global warming. The assignment aimed to develop student’s creativity in expression by making their own eco-bags based on a precise understanding in global warming and environment friendly design (Green Desig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5th graders of E elementary school at Seodaemun-gu in Seoul comprising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30 persons and the controlled group of 30 persons. From August 31, 2009 to September 30, 2009, the Problem Bas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5 weeks, 10 classes in total with 40 minutes each class. For the same period, the controlled group was taught under traditional method. All of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out any absence, leaving early or being late. The pre-evaluation for homogeneity testing among experimental group was done in two ways during the period of June 18, 2009 to June 19, 2009. First was by conducting a survey asking for general scientific knowledge in global warming and experiences in art lessons. Second was by enforcing <Environmental Poster Design>. Among Fogarty (1998) models, the spider’s web model which is the theme-based integration of subjects was selected for the part of experiment related to art and science integration. Also, in applying the program created by myself, based on the Problem-Based Learning Model of Cho, Youn-Soon (2006), I selected a science teacher with more than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4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long with two art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The checking-paper for measuring creative expression was reformed based on the evaluation criteria from the 7th Elementary Art National Curriculum. Then the assessment items and the feasibility of the assessment standards were proven by one educational expert and two art teachers with the career of over 5 years. There was one outcome from each person and this was measured by three graders consisted of art teachers with the career of over 7, 3 and 2 years. I applied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for testing homogeneity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s and applied the statistic software package SPSS v.13.0 and SAS v.9.1.3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studied the integrated lesson of art and science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Model showed better assessment in all factors under creativity such as the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originality of the theme under theme expression, unification, cubic-effect and harmonization of colors under screen organization for expression, and selection of materials and harmonization of materials under material and the tools for expression than the students of the controlled group who studied the conventional lessons focused on the expression itself. In conclus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Model in Art lessons integrated with other subjects developed creative solution skills and gave positive influence in class satisfaction and creative expression skills for 5th grad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E 초등학교 교육과정 = 5 B. 초등학교에서 교수-학습 전략으로서의 문제중심학습(PBL: Problem-Based Learning) = 14 Ⅲ. 디자인 수업 연구 = 21 A. 연구대상 및 절차 = 21 B. 연구 도구 = 30 1. 평가도구 = 30 2. 수업도구 = 35 Ⅳ. 결과 분석 및 평가 = 84 A. 창의적 표현력에 대한 연구 결과 = 84 B. 논의 = 96 Ⅴ. 결론 = 98 참고문헌 = 101 부록 = 103 ABSTRACT =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9191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초등학교 5학년 디자인 수업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Influence of Problem : Based Learning Model on Lesson of Design for the 5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dc.creator.othernameRyu, Su Jin-
dc.format.pagexi, 12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