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노용-
dc.contributor.author민성혜-
dc.creator민성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1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1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8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846-
dc.description.abstractModern society there are so many kinds of jobs, because the modern idea of the job, more than just simple life support but mean of self-achievement, is the most common social activity, a debate about a job satisfaction(JS) is significantly rising. In the education, the number of researches art teachers' JS research in art section is increasing but the research on art teacher's JS is lacking so it needs to be investigat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about the art teachers from art high-schools as an object and collected survey about relationship between causes and sub-causes of JS, in order to get a suggestion for their work environment and JS improvement, so at the end a way to improve quality of the art education will be concluded. In order to survey the art high-school art teacher's JS, the survey questions were organised in 2 big sections which were referred to proceeding theses about teacher's JS and art high schools. More specifically, the survey was divided into 2 sections questions, one was about the object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motive of becoming a teacher, and the another was about JS. To investigate JS the causes of it were assorted into 7 parts: personal relationship, work responsibility, work environment, compensation system, professional extension, reputation, and organized to total 50 questions with 5point likert evaluation rate. The objects were art teachers from art high-schools all over the country, 27schools in total and except national classical music school without art-professed teacher, so in the end 106 art teachers from 26 schools were surveyed, and from 20 participated schools 79(75%) results were handed back but only 75 of them were used for final data. A t-verification and member scatter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in yielding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echnologic statistics, finding sub-differences between JS and difference between reasons of JS and sub-causes were examined, in order to analyze the objects' about frequency and percent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motive to become the teacher and data analysis was made by SPSS ver 12.0. The research result was presented as below. First, when we look at the art high-school art teach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motive, there were great deal of weight on teachers, working in private and holding Master's degree and over 40 years of age home-room man teachers, who did not have over 10 years of work experiences on their speciality of pure section. The result of the motive of being teacher from art teachers, most of them were choose to be a teacher to participate in their specialty, and the motive of choosing art teacher was to work in their specialized study. Before working in the art high school, existence of work experience in general high school and about JS in there was 38.7% had worked there and 69% of them were satisfied when they were working. Secondly, changes in the JS by the causes of art high-schools art teachers was looked as below. The whole JS is seem to be more satisfactory than normal in average 3.28 under the 5 points evaluation rate. The causes has the highest satisfaction in personal relationship and followed by professional extension, work responsibility, work environment, reputation, administration system and compensation system. The compensation system showed lowest satisfaction which was under the normal value, therefore the teachers might feel the pay rates for them were not fair compare to their efforts and abilities, and also the administration showed low. Thirdly, when we look at the sub-causes of high-school art teachers' JS, in personal relationship, they were most satisfied with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 and followed by colleague teachers, parents, principle or vice principle and office worker. From the work environment, local society environment was the highest. This told that it wa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 circumstances in most of the art high-schools which are belong to local society, do not interfere academic atmosphere. When we look at the sub-causes of compensation system, salaries, pays, and public welfare were the sub-cause which was below the standard satisfaction from art teachers from art high-school, at the professional extension, it showed high satisfaction about trt teaearch and study, this told that trt individual teachers were puttool, heir effort on it and compare to their efforts the offering public opportunity or study supports from the schools were lacking. Under the administration system, the management of the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school were unsatisfactory for the teachers' jobs at the school, and from the reputation, sub-causes from inner-school, about the teachers' achievement or self realization through the education their own, and inner or outer school, appeared with high satisfaction but outer school gave unsatisfaction as art teachers themselves or fulfillment compare to their social position. In conclusion, through the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art education from the art high-school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the re-education program needs to be reenforced the professional extension of art teachers from art schools. The teachers told that the support from the schools, where wants more profession, are insufficient, even thought they have answered that most of them have once worked in general high-school and then changed to the art specialized high school in order to work in their specialization, and they were satisfied, and as a result from it, they are aware of self re-education needs and putting effort on the JS about the professional extension research and study. Various and systematic support expansion, such as study program, from schools needs to be supplied constantly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art education and professional extension. The art teachers need to get not only higher qualification or degree acquisition but also need to put efforts on improving overall the education quality such as teaching ability, school guidance, making learning material and etc. Second, compensation system of the art school which resulted in low satisfaction, needs to be reformed. These effects were much higher for the teachers in national schools, because the level of salary system has fairness externally compare to private one but there were differences from the general business, and the system is at lower standard so it pulled the their morale down. Therefore, the investigation by the schools and government needs to be made on deciding the teachers salary which is under salary step system, not with many kinds of payment but as granting existence of various standards. Third, the systematic and administrative adjustment is required for art schools. The standard of the personnel affair or the financial affair, and the teachers own work limit was unclear and extra work was too much because the number of the private schools were high among art schools. This means it can be more satisfied by the systematic adjustment rather than the teachers own efforts. The administrative support needs to be adjusted, in ways of sharing the jobs and expanding opportunity of their opinion or hiring more administration workers, so that not only the art teachers but also school teachers can work firmly with their prides, and then their attachment to work and effective improvement on education can be expected.;현대 사회는 직업의 종류도 매우 다양하며, 직업의 현대적 개념도 단순한 생계유지의 범주를 넘어 자아실현의 수단으로 가장 보편적인 사회적 활동이기 때문에 직무만족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교직에서도 예술계열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증가 하고 있으나 미술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으로 그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만족요인 및 직무만족 하위요인 간의 영향관계를 설문조사방법을 통하여 알아보고,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교사의 직무환경 개선과 직무만족도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미술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해 교사 직무만족과 예술계 고등학교에 대한 선행논문들을 참고 하여 설문지 문항을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의 인적사항 및 교직선택 동기 조사를 위한 문항과 직무만족도 조사를 위한 문항으로 구분된다. 직무만족도 조사를 위한 직무만족 요인은 인간관계, 담당직무, 근무환경, 보상체제, 전문성 신장, 행정체제, 인정지위의 7가지 요인으로 분류 하였으며, 5점 Likert 평정척도의 총 5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예술계 고등학교를 미술교사로 총 27개 학교 중 미술전임 교사가 없는 국립국악 고등학교를 제외한 26개 학교 106명의 미술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설문조사에 응한 20개 학교 79(75%)부를 회수하였으나 75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12.0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의 인적사항과 교직선택 동기에 대해서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과 미술교사의 직무만족도와 하위요인의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는 기술통계 분석, 직무만족 하위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상관분석, 직무만족 요인 및 하위요인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교사의 인적사항 및 교직선택 동기를 살펴보면 사립학교에 재직 중이고 석사이며, 경력 10년 이상의 순수계열 전공의 담임을 맡지 않은 40대의 이상의 남교사가 높은 비중으로 나타났다. 교직선택 동기에 대한 분석 결과는 미술교사직 선택 동기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전공을 살리기 위해서 교직을 선택했고, 예술계 미술교사직을 선택한 동기는 전공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기 때문에 선택했다고 응답했다. 예술계 고등학교에 재직하기 전에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재직유무와 근무만족도에 대해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에 38.7%가 재직 경험이 있었으며, 일반계 고등학교 재직경험자의 69%가 일반계 학교에 비해 예술계 학교의 근무여건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둘째,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교사의 직무만족요인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어떠한지 살펴보면 전체직무만족도는 5점 척도에서 평균 3.28로 보통보다 만족하는 경향을 보였다. 직무만족 요인별 직무만족도는 인간관계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전문성 신장, 담당직무, 근무환경, 인정지위, 행정체제, 보상체제의 순으로 만족도를 나타냈다. 보상체제에 대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는 것은 교직의 전체적인 급여수준이 노력이나 능력에 비해 정당한 보상이 따르지 않는다고 느끼며, 일반 기업체에 비해 보수 책정 수준이 떨어지는 수준으로 책정되어져 교사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행정체제도 낮은 수준을 보였다. 셋째,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교사의 하위요인별 직무만족도를 살펴보면 인간관계에서는 학생과의 관계에서 가장 만족 하고 있었으며, 동료교사, 학부모, 교장·교감과의 관계, 사무직원과의 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담당직무에서는 생활지도에 있어서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에서는 지역사회환경에 대한 직무만족도가 전체 직무만족도 중 가장 만족도가 높았다. 이는 전반적인 예술계 고등학교가 속해 있는 지역 사회의 주변 환경이 면학분위기를 해치지 않는 지역에 위치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상체제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급여 및 수당과 복지 및 후생이 보통이하의 만족도로 예술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가장 만족하고 있지 못하는 하위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신장에서는 연수 및 연구에 대해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는데 이는 교사 개개인이 전문성 신장을 위한 노력을 게을리 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개인적인 노력에 비해 학교 측의 공적인 기회제공이나 연수 등 뒷받침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행정체제는 교사들의 업무에 있어서 학교 측의 행정적 지원에 대한 행정관리에 있어서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정지위는 교사가 교직을 통해 자기 자신이나 학교내부와 외부로부터 얻게 되는 성취감, 자아실현의 정도로 하위요인인 학교내적 인정지위에 있어서는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으나 학교외적 인정지위에 있어서는 보통 이하의 낮은 만족도로 이는 미술교사로서 자기 자신의 만족감이나 성취감에 비해 사회적으로는 교사라는 직업이 인정받고 있지 못하다고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서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예술계 고등학교의 미술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의 강화가 요구된다. 예술계 고등학교의 미술교사의 대 다수가 전공의 전문성을 살릴 수 있어서 예술계 고등학교를 선택하게 되었다고 응답했고, 그에 따른 전문성 신장에 대한 연수 및 연구 등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교사 스스로 재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다 전문성을 요구하는 예술계 고등학교의 특성에 비해 학교 측의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교육의 질적 향상과 전문성 신장을 위해 학교 측의 연수 프로그램의 확대 등 다양하고 체계적인 지원의 확대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 미술교사 자신 또한 전문성 신장을 위해 상위자격 및 학위취득 뿐만 아니라 교수-학습 지도 능력, 생활지도, 학습자료 제작 등 학교현장에 전반적인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꾸준하게 뒤따라야 하겠다. 둘째,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교사의 보상체제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인식되고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하다. 이러한 현상은 국·공립에 재직 중인 교사의 경우에 더욱 강하게 나타났는데, 사립재단에 비해 급여책정 수준이 대외적으로 공정성은 있으나, 차이가 있으며 일반 기업체에 비해 보수 책정 수준이 떨어지는 수준으로 책정되어져 교사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호봉급제인 교원보수 결정에 있어서 많은 종류의 수당보다는 다양한 기준의 유인가를 부여함으로써 보상체제에 대한 지원확보 등 학교 및 행정당국의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예술계 고등학교의 제도적, 행정적으로 보완이 요구된다. 예술계 고등학교의 경우 사립학교의 비중이 높아서 학교의 행정관리에 있어서 인사행정이나, 재정관리 등의 기준이 명확하지 못하고 교사의 담당업무의 한계가 불명확하여 기타업무가 과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 자신의 스스로의 노력 보다는 제도적인 개선으로 인하여 충족 될 수 있는 부분이 크므로 미술교사 뿐만 아니라 학교 현장의 교사들이 긍지를 갖고 직무에 충실 할 수 있도록 업무의 분산과 교사들의 의사참여 기회의 확대 행정직원의 확충 등 행정적 뒷받침의 개선이 학교에 대한 소속감과 교육의 효율적인 향상도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 및 연구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직무만족 = 4 1. 직무만족의 개념 및 정의 = 4 2. 직무만족의 주요이론 = 5 3. 직무만족 결정요인 = 12 B. 예술계 고등학교 = 19 1. 예술계 고등학교 현황 및 교육목표 = 19 2. 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 21 3. 미술교사의 역할과 자질 = 26 Ⅲ. 연구방법 = 30 A. 연구대상 및 절차 = 30 B. 연구도구 = 30 1. 설문지 내용 및 구성 = 30 2. 설문지 문항 신뢰도 검증 = 31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33 Ⅳ. 결과 = 35 A. 연구대상 분석 = 35 1. 인적사항에 대한 분석 = 35 2. 교직선택 동기 대한 분석 = 37 B. 직무만족도 분석 = 39 1. 직무만족도 = 39 2. 하위요인별 직무만족도 = 45 Ⅴ. 결론 = 80 참고문헌 = 85 부록 = 88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001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예술계 고등학교 미술교사 직무만족도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Art Teachers at the Arts Senior High Schools in the Republic of Korea-
dc.creator.othernameMin, Sung Hae-
dc.format.pagexi,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