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여고생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기술, 학교적응과의 관계

Title
여고생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기술, 학교적응과의 관계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lation Among High School Girls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y, Social Skill and School Adjustment
Authors
곽문정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아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기술 그리고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먼저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기술, 학교적응과는 각각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개인주의 성향을 지닌 집단과 집단주의 성향을 지닌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기술이 학교적응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지 확인해보고, 끝으로 사회적 기술이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속에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의 여부를 알아보려고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양천구, 강남구, 마포구에 위치하고 있는 여자인문계고등학교 에 재학 중인 학생 610명에 대한 설문지 실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기술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기술 총점은 상대적으로 집단중심성향과 높은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기술의 하위척도인 공감, 협동, 통제, 자기주장과의 상관을 살펴보았을 때, 개인중심성향은 공감, 자기주장과 같은 사회적 기술과 상관이 있고, 집단중심성향은 협동, 공감, 통제와 같은 사회적 기술과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특히 공감과 통제의 경우 집단중심성향의 평균이 개인중심성향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적응의 하위척도인 학교공부, 학교친구, 학교교사, 학교생활 중에 집단중심성향은 학교공부, 학교생활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중심성향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척도가 없었다. 평균차이정도를 살펴보았을 때, 학교공부는 개인중심성향이 높고, 학교친구, 학교생활척도에서는 집단중심성향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사회적 기술의 학교적응에 대한 상대적 예측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기술, 집단주의성향, 개인주의성향 순으로 학교적응에 대한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과 학교적응과의 관계에 있어 사회적 기술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보았다. 그 결과 개인주의 성향과 집단주의 성향은 각각 사회적 기술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is intend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among high school girls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y, social skill and school adjust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to 610 first and second graders in high school of Seou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social skill level according to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y showed that allocentrics had higher rates in empathy and total social skill levels than idiocentrics. 2.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 in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y showed that idiocentrics had higher rates in school-score levels than allocentrics, and allocentrics had higher rates in school-friend and school-life levels than idiocentrics. 3. The result of verifying how well the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y and social-skill predict the school adjustment, the order of list is social skill,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4. The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kill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showed that social skill mediates between individualism-collectivism t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