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주부들의 여성주의 ‘실천인문학’ 공부와 풀뿌리 여성운동의 가능성

Title
주부들의 여성주의 ‘실천인문학’ 공부와 풀뿌리 여성운동의 가능성
Other Titles
A Study on Possibility of a Grassroot Feminist Movement Through 'Practical Humanities' Education Program
Authors
윤나래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순경
Abstract
Most of the women, after being married, are in charge of keeping house and raising children, and they tend to lead their lives relatively constrained in the residential areas. This feature does not apply only to full time housewives but also working mothers. Hence, in this study, I'd like to use the term of housewives to include full time housewives and also working mothers. Looking deeply into housewives' lives, we easily notice that many housewives suffer from a sort of depression, because of their restricted lives by domesticity. Related with this, feminist movements have tried to help women solve the difficulties that have been veiled as private things, this result in enhancing life politics. With these feminist movements, many housewives are participating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such as activities for raising children issues, movements for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alternative culture and consumers' cooperative, and local election campaigns. They can learn that a shift of individuals contributes to social changes, while becoming more empowered in the processes. However, there is need for new activities to meet various desires and needs from women. It is because desires and needs from women become more divergent, a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become fully recognized and welcomed in recent years. Local feminist movements refer to continuous movements that are voluntarily organized by women under the purpose of solving women's problems and social issues at a local level(Lee HaeSook, 2008:183). Hence, this study tries to figure out the possibility for a new feminist movement, through the case of housewives' participation in local activities that encourage them to solve their difficulties and to engage in other local movements. The lecture named ‘Hope School’ at D area in Seoul is designed to aim at studying ‘practical humanities’ and participating in other local activities. Participants in this program are over forties. On the social context, they are suffering from empty nest syndrome and housewife depression, common for housewives, and worrying that they would remain unimproved. On the private level, they have lot of interests in learning and development and needs for community to share their intellectual topics, instead of concerns for husbands, children or properties that seem like proper topics for housewives. Then, however, interviewees of this study joined in the 'practical humanities' program and extra-curriculum activities to solve the difficulties in housewives' lives. While studying together, they could enhance the bonding between them. And they designed successive activities based on the local area, such as activity to practice the tea ceremony and to learn about enneagram of personality. Taking part in these activities, they obtained the chance to reflect on and care for themselves, to escape from housewives' rigid roles to care for other family members. Also, they easily learned the knowledge deeply related with lived experience and utilized it in their daily lives, so they were very satisfied to get practical and helpful learning. In addition, it is very satisfying for them to meet other housewives who have thirsty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because it leads them to have sense of fellowship and to enhance self-esteem. Related with this feature, I find that learning programs focusing on relationship between members can be a successful example of feminist pedagogy. In addition to resolving their problems, as I mentioned above, they realized that their problems was relevant with social structure. This consideration could be a motive for them to join other activities for local area. However, they were not accustomed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at is critical for a movement. This is the reason why they went through the conflicts, but they could learn how to reconcile and negotiate in the program of 'practical humanities’, especially in the workshop, to successfully maintain the their activities. Furthermore, they tried to connect with other local movements, while enjoying their small-scale group activities that allow them to fulfill their interests and to create strong bonding. This characteristic of the learning process plays a key role in maintaining the activities. Finally, they try to enlarge their activities by banding together with other NGOs in local. These are the feminist meaning of this analysis. First, this study unveils the feminist meaning of the local activities made by housewives who are not identifying themselves with feminists. On top of that, this analysis gives an instance for housewives to involve in new local feminist movements, which are quite different from hobbies or conventional life politics.;우리사회에서는 여성들이 결혼을 하면 일반적으로 살림과 육아의 주된 책임자가 되어 거주하고 있는 지역중심적인 삶을 살게 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전업주부에게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지만 취업주부에게도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전업주부와 취업주부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주부라고 통칭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여성주의 운동에서는 그동안 사적인 문제로 치부된 여성 삶과 관련된 문제들을 여성 스스로 자각하고 해결해나가도록 생활정치의 영역을 개척해 왔다. 주부들은 보육이나 환경, 문화, 지역정치, 생활협동조합 운동 등 생활정치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임파워되었고 자신의 삶이 변하고 사회가 변하는 것을 경험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생활정치는 주로 지역의 공동사안을 중시한 운동이었고 이제는 다양한 개인의 관심과 욕구에 응답하는 운동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 부분에 대한 보강이 요구되고 있다. 지역여성운동은 “지역사회 수준에서 여성문제와 사회문제를 해결하려는 목표 하에 여성들이 중심이 되어 자발적으로 만들어진 조직적이고 지속적인 사회운동”(이혜숙, 2008:183)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부들이 거주지역에서 자신들이 안고 있는 문제를 주체적으로 풀어갈 뿐 아니라 그 경험을 통하여 지역 활동을 하는 사례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풀뿌리 여성운동의 가능성을 밝히고자 한다. 서울의 D지역에서 조성된 D여성희망학교는 주부들의 ‘실천인문학’공부와 지역활동을 목표로 한 프로그램으로서 주부들의 경험과 특성에 기반해서 기획되었다. 참여 주부들은 40대 이후의 나이로 사회구조적 차원에서는 주부들이 일반적으로 겪는 빈둥지 증후군과 주부우울증, 성장이 정체된다는 두려움과 고립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지적 활동을 추구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주부들의 관심사로 여겨지는 남편, 자녀, 재테크에 관한 이야기 외에 말이 통하는 관계를 필요로 하고 있었다. 이들은 자신들이 주부로서 겪는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실천인문학’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공부하고 소모임 활동을 통해 서로 친밀감과 신뢰를 형성한 후에 관심사에 따라 다도(茶道)와 애니어그램으로 지역활동을 시작하였다. 참여자들은 이 과정을 통해서 돌봄노동을 주로 수행하던 역할에서 잠시 벗어나 스스로를 돌아보며 치유하는 기회를 가졌고, 삶에 근거한 경험을 토대로 지식을 더욱 잘 이해하고 습득하였으며 습득한 지식을 또다시 생활에 적용하면서 실질적인 도움과 만족을 얻었다. 또한 배움과 성장을 추구하는 같은 성향의 주부들과 교류하며 살아온 삶에 대한 자부심과 연대감을 느끼고 지지그룹을 형성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주부들이 이러한 성과를 얻게 된 데에는 D여성희망학교의 여성주의적인 성격이 큰 역할을 하였다. D여성희망학교의 ‘실천인문학’은 다른 ‘실천인문학’ 강좌와 달리 주부들의 특성을 세심하게 파악하여 강좌를 구성하고 운용하였기 때문에 주부들이 주체적으로 자신의 문제를 풀어나갈 수 있었다. 다른 한편, 주부들이 관계를 중심으로 학습하는 방식은 여성주의 교육의 장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여성주의 ‘실천인문학’ 프로그램을 통해서 자신의 문제들을 풀어갔을 뿐 아니라 자신의 문제가 곧 지역 사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구체적으로 깨닫고 지역 활동을 시작할 계기로 삼았다. 그러나 주부들은 운동을 실행하기 위한 의사결정 구조에 참여하는 데에 익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천인문학’ 프로그램 중 워크샵 등을 통하여 갈등과 조정을 경험하면서 조직화 훈련을 쌓고 운동의 기반을 만들어갔다. 또한 이들은 관심사에 따라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소모임을 구성하여 친목을 도모하면서 그 활동의 연장선상에서 지역활동과의 접점을 찾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학습공동체의 형태로서 운동의 지속성을 추구하기에 적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은 지역 내 여러 단체와 연계하여 활동영역의 확장을 추구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여성주의 ‘실천인문학’ 프로그램이 돌봄노동을 수행하는 주부들에게 스스로를 돌보고 치유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하였으며 주부들 간의 지지그룹을 형성하는 계기가 된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또한 여성주의자를 표방하지 않은 주부들이 자신들의 욕구와 필요에 따라 지역에서 만들어낸 활동방식을 여성주의적으로 해석하여 의미를 부여했다는 것과 주부들이 참여할 수 있는 새로운 지역운동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생활정치를 보완하며 또 다른 지점에서 의미 있는 활동을 추구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