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영란-
dc.contributor.author신송이-
dc.creator신송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7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30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723-
dc.description.abstract지식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혼자서 해결 할 수 없는 과제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과학 수업도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학생들에게 적합한 수업으로 계속 변화되어야 하는데, 소집단이 함께 문제를 풀어나갈 때에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산출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개인 창의성 보다는 집단 창의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STAD 협동학습 수업모형을 적용한 생물수업이 고등학생의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에 어떤 영향을 주며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의 단계인 문제인식, 가설설정, 실험설계 및 수행 자료기록 및 결론도출 과정 중 어떤 단계에 특히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인문계 남자 고등학교 3학년 4개 학급 100명이었다. 4개 학급 중 2개반은 실험반으로 2개반은 통제반으로 하였다. 실제 연구에 참여한 학생 수는 실험반이 47명, 통제반이 53명으로 총 100명이었고, 실험처치는 12차시에 걸쳐 두 달간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에서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의 창의적 과학 문제 해결력 검사지 중 생물 분야의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STAD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생물 수업은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학습방법이다. 둘째, STAD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생물 수업은 창의력 문제해결력의 5단계 중 문제인식, 가설설정보다는 실험설계 및 수행, 자료 기록 및 처리, 자료 해석 및 결론도출의 단계에 효과적이다. 셋째, STAD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생물 수업은 전통적 수업보다 학생들의 생물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보면 STAD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생물 수업은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고,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생물분야 뿐만 아니라 다른 과학 분야에서도 협동학습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향상이 있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o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science.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but also the effects of knowledge. The subjects were 100 male students who attended academic high schools in Seoul. The study resulted in 200 copies.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one-way ANOVA, general linear model and correlate test for post-hoc.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STAD cooperative learning was applied,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science. Secon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class helps increase students' experimental design, experiment proceders, conversion of materials, ability to draw conclusions in contrast to a hypothesis establishment. Third, STAD cooperative learning is more effective than a tradition al method in that there are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academic achivements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application of cooperative learning helps increas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science. Thus it seems that the new learning tractic, the STAD cooperative teaching -learning, was effectiv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2 C.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4 A.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 = 4 1. 창의성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 4 2.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 = 5 3. 창의력 검사도구 = 8 4. 창의적 산물 검사 평가방법 = 12 5.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 13 B. 협동학습 = 15 1. 협동학습의 정의 = 15 2. 협동학습의 특징 = 15 3. 협동학습 모형 = 17 4.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비교 = 22 C. 선행 연구 = 23 Ⅲ. 연구방법 = 26 A. 연구대상 = 26 B. 연구 절차 = 26 C. 실험 설계 및 수업처치 = 28 D. 검사도구 = 3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5 A. 협동학습이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35 B. 협동학습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43 Ⅴ. 결론 및 제언 = 46 참고문헌 = 48 부록 1.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 검사지 1 (사후검사) = 53 부록 2.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 검사지 2 (사전검사) = 55 부록 3.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 채점표 1 = 57 부록 4.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 채점표 2 = 59 부록 5. 협동학습 교수-학습 지도안 = 61 부록 6. 학생 답안 예시 = 63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85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협동학습이 창의적 과학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to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Science : Application of STAD Model-
dc.creator.othernameShin, Song Yi-
dc.format.pageⅸ,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