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병권-
dc.contributor.author김소영-
dc.creator김소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3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2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24-
dc.description.abstract사회현상들이 복잡하고 다양해 잘수록 인간은 여러 가지 직면한 문제를 하나로 통합하려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단편적인 개별 지식으로는 더 이상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회현상의 기본이 되는 교육에 있어서의 초등교육은 창의적 사고방식의 기틀을 마련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창의력 증진을 위한 디자인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창의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다. 2008년에 지식경제부에서는 인간의 창의적 사고형성을 위해 디자인 조기교육을 시행하기로 했으며, 2009년부터 시범사업으로 초등학교에서 디자인을 확대하고, 초등학교 미술교과서를 미술에서 ‘미술과 디자인’으로 개편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으로 있다. 또한, 창의적인 디자인 사고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국가 성장동력 기반을 확보한다는 장기적 목표아래, ‘방과 후 디자인교실’을 향후 점진적으로 확대ㆍ개선하여 궁극적으로 디자인을 교육과정에 편입시킬 계획이다. 여기서 말하는 디자인은 출발부터가 사회적 행위이고 목적, 내용, 방법의 설정에 있어서의 사회적 요구를 생각해야 하며 여러 사람이 즐겨 쓸 수 있는 공적인 기능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현대 사회에서의 어린이 디자인교육 내용은 디자인의 요소에 폭넓은 경험과 디자인 원리에 대한 통합적 경험, 전 디자인 영역을 포괄하는 폭넓은 디자인 학습으로 이루어져 디자인에 대한 관심을 균형 있게 발전시켜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교육체제에 있어서 그 교육적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많은 준비와 연구가 필요하다. 디자인교육의 필요성은 강조하면서도 그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교육컨텐츠와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대부분의 연구가 창의성 계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미술교육에서 뿐만이 아닌 모든 교육 분야에서 창의성을 내세우고 있는 현시점에서 볼 때, 이제는 개념적인 부분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교육방법에 대한 제시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일선 교사들의 설문에서도 디자인 교육 시 가장 어려운 점에 대해 참고자료의 부족이라는 응답을 43.6%로 가장 많이 하였으며, 다음으로 교사능력의 부족 때문이라는 응답이 42.2%로 많이 나왔다. 이는 디자인교육을 강조하는 현실에서 볼 때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될 수 있으며, 디자인교육의 아이템 개발과 전문 교사의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체계적인 디자인교육을 위해서는 한 단원 내에서 입체와 평면, 지식과 습득, 조형과 표현활동 등을 모두 아우르는 능력을 기르고 이를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교육방법을 개발해야 하며, 필자는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써 북아트 프로그램을 제시, 자유로운 제량활동이 주 목적인 '방과 후 학교'의 활용을 제안했다. 북 아트는,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을 통해서 자기의 생각, 느낌, 이야기들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하며 다양한 형태의 독창적인 예술 책을 만드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한 권의 책을 기획하고 완성하는 과정에서 미술의 시각적 표현을 통한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타 교과의 학습과 쓰기의 과정을 통해 통합적인 수업을 모색할 수 있으며 타 학생들의 작품을 보고, 읽고, 느낌으로써 미술과의 감상까지 아우르는 통합 교육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2005년부터 시작된 어린이 북아트 지도사자격증 제도 또한 전문인력 배출과 컨텐츠 개발을 통해 일선 교사들에게서 부족한 전문적인 디자인 교육 여건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 디자인교육을 위한 북아트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실제적인 수업과 평가를 통해 창의적인 아이디어 개발과 이를 활용한 디자인교육의 효과를 검증했다. 그 결과, 초등 디자인교육으로서의 북아트의 교육효과를 살펴보면, 첫째, 책 만들기를 통해 창의적이고 논리적인 사고력을 증진시키고 그리기, 만들기, 꾸미기의 다양한 조형활동을 통해 폭넓은 기초 조형의 원리를 깨우칠 수 있다. 둘째, 획일화된 공교육 속에서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학습방식을 유도하고 한 권의 책을 스스로 기획하고 완성함으로써 자신감과 성취감을 북돋아준다. 셋째, 기존 미술수업과 연계한 새로운 미술교육의 장을 연다. 넷째,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의 통합교육이 가능하다. 본 논문은 초등교육에서의 디자인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 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그 중, ‘북아트-책 만들기’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이 향후 북아트 뿐만이 아닌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를 입증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시스템 개발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As the social phenomena become increasingly complex and diverse, the human beings’ tendency to integrate various problems into one is becoming increasingly pronounced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adapt to the society that is changing fast by merely using fragmented individual knowledge. Elementary education as the education that serves as the basis of this type of social phenomena is recognized as an important element for laying down the framework for the creative thinking method. Based on this, importance of the design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increase creativity. Diverse attempts are underway to ensure creative integrated education. In 2008, the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decided to carry out education of design early on, targe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form human beings’ creative thinking. Starting from 2009, the plan is to roll out education of design to the elementary schools in the form of pilot program, and to pursue after the measure of revamping the art textbooks used at the elementary schools from art to the ‘art and design.’ With the long-term goal of securing the basis for the nation’s growth through sustainable competitive edge based on the creative design thinking, the government plans to expand and to improve on the ‘after school design class’ in an incremental manner going forth, to include design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end. Design as it is referred here should include the function of the public nature that can help many people to enjoy it and should factor in the demands of the society when it comes to setting up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 Its start itself is a social act. Accordingly, contents concerning the education of design for the children in the modern society should advance the interest in design in a balanced manner since it includes diverse set of design elements, integrative experience concerning the principles of design, and all diverse domains of design. However, extensive preparations and researches will be required to ensure that there are educational benefits when it comes to the educational system today because the reality today is that there is a lack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pecialized personnel who are important in laying down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while emphasizing the need for the education of design. Moreover, most of the researches are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Given the realty in which creativity is considered important in all education areas instead of merely art education, it is possible to say that it is now important to come up with practical education method going beyond the conceptual level. In the survey conducted targeting teachers, most (43.6%) answered that the lack of reference data is the foremost difficulty when it comes to the education of design, followed by the response that the teaching ability is rather lacking (42.2%). This may emerge as an important problem given the reality today in which education of design is emphasized. This is the result that show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tem for the education of design and cultivation of specialized teachers are most importan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2D and 3D, to gain knowledge and to engage in the formative and expression abilities in order to ensure structured education of the desig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method that can teach these in an effective manner.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the author suggests book art program as a potential solution measure and to leverage the ‘after school program’ with the main purpose lying in the free use of the after school hours for activities. Book art can be considered the activity in which unique, diverse art book is made while expressing one’s own thoughts, feelings and stories in writing and painting by leveraging diverse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s. During the process of planning and completing a book, it is possible to improve creativity through the visual expression of the art, and to search for the integrated classes by leveraging the learning and writing processes concerning other curriculum. This also entails observing, reading and feeling the works of other students, which goes beyond the art appreciation. The book art leader certification system that was started since 2005, cultivation of the specialists and development of contents can become the alternatives for the specialized education of design which the teachers at the front line lack. Accordingly, this research searched for the ways to leverage book art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hen it comes to design, to develop creative ideas through actual classes and evaluation, and to prove the benefits of the design education by leveraging this. As a result, when the benefits of the book art education are examined as the education of design, the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it is the ability to increase creative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by making books, and to help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basic and broad formation through diverse formative activities such as drawing, making and decorating. Secondly, students are encouraged to learn voluntarily within the standardized public education. Students are encouraged to increase self-confidence and their sense of achievement increase as they plan and complete one book on their own. Third, it is possible to open up the forum for new art education by linking with the existing art classes. Fourth, it is possible to carry out integrated education including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design education in the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need to develop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Among the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the educational benefits of the ‘book art-making book’ an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leverage these.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help to develop specialized educational system that can prove the benefits and to enable development of diverse programs in addition to the book art going fort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내용 및 방법 = 2 C.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디자인교육 = 3 1. 초등학교 디자인 교육 = 3 1-1.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개념 및 목적 = 3 1-2.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의 변천 = 12 2. 외국 디자인 교육의 사례연구 = 14 2-1. 영국의 디자인교육 = 15 2-2. 미국의 디자인교육 = 18 2-3. 프랑스의 디자인교육 = 20 2-4. 일본의 디자인교육 = 21 3. 국내 디자인 교육의 현황 = 23 3-1. 초등학교 미술교과 디자인 영역의 교육 실태 = 23 3-2. 국내 디자인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28 B. 방과후 학교 = 30 1. 방과후 학교의 개념 및 목표 = 30 1-1. 방과후 학교의 변천과정 = 30 1-2. 방과후 학교의 비전과 목표 = 32 1-3. 방과후 학교의 필요성 = 34 2. 국내 방과 후 학교의 실태 = 35 2-1. 방과후 학교의 운영방식 = 35 2-2. 초등 방과후 학교의 단계별 목표 = 36 2-3. 초등 방과후 학교의 프로그램 = 37 3. 외국의 방과 후 학교 운영 사례 = 38 3-1. 미국의 방과 후 교육활동 = 38 3-2. 프랑스의 방과 후 교육활동 = 38 3-3. 영국의 방과 후 교육활동 = 39 3-4. 일본의 방과 후 교육활동 = 39 3-5. 독일의 방과 후 교육활동 = 40 4. 방과 후 학교의 성과 및 발전방향 = 40 C. 북 아트의 표현 활동 = 42 1. 북 아트의 개념과 유형 = 42 1-1. 북아트의 개념 = 42 2. 북 아트의 발전과정 = 45 Ⅲ. 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위한 북 아트-책 만들기 활용방안 = 47 A. 통합교육 관점에서 본 디자인교육으로서의 북아트 = 48 1. 교육으로서의 북 아트 = 48 1-1. 디자인교육과 북아트 = 49 1-2. 북아트 교육의 선행 연구 = 50 B. 디자인교육을 위한 방과후 학교 북 아트 활용의 실제 = 53 1. 방과후 학교 북 아트 프로그램 연간계획안(案) = 53 1-1. 교육 목표 = 54 1-2. 북아트의 특성을 활용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연간계획표 = 54 2. 교육의 실제 = 63 2-1. 북 아트 교육 계획안 = 64 2-2. 북 아트를 통한 디자인 교육의 필요성과 기대효과 = 74 C 북 아트를 이용한 디자인교육의 실제 = 75 1. 수업의 실제 = 75 1-1. 지도방안 = 75 1-2. 지도목표 = 76 1-3. 수업 프로세스 = 76 1-4. 수업의 실제 = 78 2. 작품분석 및 평가 = 79 3. 아동 설문을 통한 성과 분석 = 88 Ⅳ. 결론 및 제언 = 90 참고문헌 = 91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1575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디자인교육을 위한 “북 아트-책 만들기”활용방안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easures for Making Books-Book Art for the Education of Design at the Elementary School : Centered on the After School Program-
dc.creator.othernameKIM, Soyoung-
dc.format.pageⅸ, 9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광고·브랜드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