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한국 근대기 인쇄 병풍화와 민화 연구

Title
한국 근대기 인쇄 병풍화와 민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rinted Folding Screen Pictures and Minhwa in the Modern Age in Korea
Authors
박근아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선표
Abstract
본 논문은 기존에 시도되지 않았던 인쇄 병풍화의 전개양상과 동물 · 화조화를 중심으로 인쇄미술과 민화와의 상관관계를 다룬 것이다. 한국 개화기에 도입된 인쇄기술은 다양한 회화의 복제를 가능하게 하였고, 집안 치장 및 장엄용으로 사용되었던 肉筆 민화를 대신하여 인쇄 병풍화가 일정 부분 그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인쇄 병풍화 중에서도 대량으로 제작되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던 것은 동물 · 화조화이다. 이는 민화에서 화조화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과 같은 이치로, 화려한 색채의 동물 · 화조화는 길상 · 미서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으면서 집안 장식으로도 잘 어울렸기 때문이다. 인쇄 동물 · 화조화는 복제라는 제작기술의 특성상 색깔만 조금씩 달리하여 정형화된 그림이 다수 전해지고 있다. 주로 그려지는 제재로는 호랑이, 공작, 독수리 등이 있고, 국화, 닭도 자주 등장한다. 호랑이, 닭 등의 제재는 우리나라의 전통회화에서도 그려졌지만, 구도나 모티브에서 일본화풍의 영향이 감지된다. 그리고 인쇄 동물 · 화조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인쇄 병풍화의 대부분에 일본화가의 이름이 찍혀있는 것으로 보아, 제작 초기부터 일본에서 제작되어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인쇄 병풍화는 1920년대에 이미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던 것을 사진자료를 통해 알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인쇄 동물 · 화조화는 1980년대까지 혼례식 및 회갑연 등의 행사에 병풍으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인쇄 동물 · 화조화는 ‘新 미술’로서 미술시장에서 새로운 수요를 형성하게 되고, 기존에 대중미술로서 존재해왔던 민화의 자리를 상당 부분 대신하게 된다. 즉 인쇄 병풍화가 민화의 속성과 가장 결부되는 값싸고 대중적인 이미지로서 기능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조선후기부터 존재했을 것으로 추측되는 민화 작가들의 존재가 사라진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민화 작가들은 인쇄 동물 · 화조화에 그려진 제재와 모티브를 적극적으로 차용 · 변용함으로서 당시 사람들의 취향에 맞추려고 했음을 현존하는 민화 동물 · 화조화를 통해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쇄기술을 통해 제작된 인쇄 병풍화와 민화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근대기에 유통된 시각문화의 전개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민화를 바라보는 시각 또한 기존의 국수주의적인 민화관에서 벗어나 인쇄 병풍화 및 일본화풍과의 비교를 통해 근대기의 미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보다 폭 넓게 접근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is study dealt with the developmental phases of Printed Folding screen Pictures(印刷 屛風畵) which had not previously been attempt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printed pictures and Minhwa(民畵) by focusing on the pictures of animals flowers and birds. Printing technology, introduced into Korea in its westernization, enabled the reproduction of various pictures. And to a certain degree printed folding screen pictures replaced holographic pieces of Minhwa which had been used for embellishment of houses and temples. Among printed folding screen pictures, it was especially pictures of animals flowers and birds that were manufactured largely and spread nationwide. For, the colorful pictures had meanings of auspiciousness and exorcism and harmonized well with houses as interior decorations in the same way as they occupied the most in Minhwa. In printed pictures of animals flowers and birds, some numbers of those formulated through a little different colors by the technical nature of reproduction have been handed down. Chief painted subjects are such as tiger, peacock and eagle, and chrysanthemum and rooster also often appear. The subjects like tiger and rooster were used in Korea’s traditional pictures but are perceived to have been influenced in design and motiff by Japanese style of painting. Considering Japanese painters’ names are impressed in most of various printed folding screen pictures as well as printed animals flowers and birds pictures, these pictures are deemed to have flowed into Korea after being manufactured in Japan since their early stage. After flowing into Korea already in the 1920s, the printed folding screen pictures were circulated nationwide, which is known by photo data. Among them, printed pictures of animals flowers and birds had been used for folding screens at celebratory events like wedding and 60th birthday until the 1980s. As ‘a new arts’, such printed pictures of animals flowers and birds came into a new demand and replaced for a large part the location of Minhwa pieces that had previously existed as a public art. In other words, the printed folding screen pictures functioned as cheap and popular images that were the most associated with Minhwa’s properties. For all that, the presence of Minhwa artists who might have existed since late in the Joseon Dynasty did not yet disappear. Rather, the Minhwa artists actively borrowed and altered the themes and motiffs painted in printed pictures of animals flowers and birds so that their Minhwa could meet the tastes of people in those days, which is known by the still existent Minhwa pieces of animals flowers and bird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phases of modern-circulated visual culture by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inhwa and printed folding screen pictures created through print technology. The comparison of Minhwa with printed folding screen pictures and Japanese painting style is expected to help form the basis of broader access to the understanding of modern fine arts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ultranationalist outlook on Minhw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