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62 Download: 0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의 작품에 나타난 권력 구조 비판

Title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의 작품에 나타난 권력 구조 비판
Other Titles
Critique by the Work of Niki de Saint Phalle on Power Structure
Authors
문고은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니키 드 생팔(Niki de Saint Phalle, 1930-2002)의 작품에 나타난 권력 구조 비판에 관한 연구이다. 니키 드 생팔은 1950년대 중반부터 2002년까지 왕성한 작업 활동을 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미술과 사회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니키 드 생팔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개인사와 페미니즘적 시각을 중심으로 한 분석에 한정되어 있으며, 그녀의 작품은 시기적으로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설명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에서 벗어나 니키 드 생팔의 50여 년 간의 작업 및 다양하고 방대한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니키 드 생팔의 작품에는 서로 다른 조형적 특성에도 불구하고 일관적으로 권력 구조에 대한 비판의 태도가 담겨있다는 인식이 본 논의의 출발점이다. 또한, 이는 작가의 개인적인 영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정치사회적 변화와 맞물리는 동시에, 니키 드 생팔이 활동하였던 누보 레알리즘의 정신과도 상통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기본 방향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국제 정세는 미국과 소련을 바탕으로 한 양극 체제를 구축하였으며, 냉전의 시대 속에서 미국과 소련은 자국의 실권을 유지, 확대하기 위해 정치적 권력을 남용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말에 이르면 냉전 체제는 약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여성 해방 운동, 흑인 인권 운동 등 사회 전반에서 위계적인 질서와 권력 구조에 대한 반발이 대두하였다. 누보 레알리즘은 1960년 프랑스에서 시작된 미술 그룹으로 당대 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자 하였다. 산업 사회의 쓰레기와 고철, 기계 부품, 거리의 포스터 등을 사용한 누보 레알리즘의 작업을 통해 현실 사회의 리얼리티를 차압하고자 하였던 누보 레알리스트들의 태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일군의 누보 레알리스트들이 견지한 사회 비판적인 시각과 전통적인 미학에 대한 반발의 태도를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특성은 니키 드 생팔의 작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나며, 이는 그녀의 모든 작품을 동일한 범주에서 설명할 수 있는 근거이자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이 된다. 니키 드 생팔은 작가 개인이 경험하였던 억압과 통제를 보편적인 정치, 사회, 문화의 지배적 권력 구조와 연결 지어 생각했으며, 이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다양한 작품을 통해 표출하였다. 그녀는 실제의 총을 사용하는 방식인 사격 회화를 통해 제작한 정치인 이미지로 당대 냉전의 상황과 현실의 정치인들에 대해 비판하였고, 종교적인 모티브를 도입하여 전쟁의 파괴력에 대해서도 비판하였다. 또, 그로테스크한 여성이미지와 나나 여성상과 같은 근원적인 여성상을 통해 여성에게 가해진 제도적인 억압과 성의 위계 구조에 대해서도 확고한 비판 의식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사격 회화의 작업에 내재한 신성 파괴적인 속성을 이용하여 전통적으로 미술에 함의되어 있던 권위나 형식에 도전했으며, 대중적 공간에 전시된 작품을 통해 평범한 일반인들의 일상을 미술 속으로 포용함으로써 고급 미술의 위계를 허물고자 하였다. 니키 드 생팔의 작품에 나타난 비판적인 태도를 정치사회적 맥락과 예술적 맥락에서 고찰한 본 연구는, 니키 드 생팔이 사회적으로나 미학적으로 고정된 힘의 논리와 권력 구조에 대해 비판과 도전의 정신을 보여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즉, 그녀는 자신만의 독특한 조형적 특성과 누보 레알리즘의 정신, 그리고 당대의 사회 현실을 바탕으로 미술과 사회 속의 권력 구조에 대해 명확한 저항의식과 비판의식을 드러냈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니키 드 생팔은 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한 미술가로 평가될 수 있는 것이다.;This thesis is an inquiry into the works of Niki de Saint Phalle(1930-2002), namely the work showing her critical stance of power structure. Niki de Saint Phalle worked energetically and thrived in the art scene from the mid 1950s up to 2002. She constantly raised to herself queries about art and society. But the existing studies on her career have only been dedicated to revealing her personal history and her far-reaching feminist view. It has also been thought that works from different phases of her life each had its own coherent attributes. Hence it is the aim of this thesis to find other peculiar qualities of Niki de Saint Phalle that can encompass the whole of her chronology and, concerning the span of 50 years of her career and her voluminous records, it is an attempt to pass the limits posed by existing studies. The beginning of this attempt has been marked with the realization that despite her diverse formative attributes, her works generally entail her criticism of power structure. The following step from this would be the argument that her realization does not restrict itself within her understanding. Rather, it qualifies for more beyond her own to meet well with the socio-political situations of the post-World War II period and the spirit of Nouveau Realisme, a movement that she joined. The power was starting to get abused after World War II when the advent of Cold War between Soviet Union and America arose against each other to protect their status quo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prepared for their own reaction for the polarized power structure of the world. But this trend ceased to strengthen in the late 1960s as the women's liberation effort and civil human rights movement came to the fore against the ranks of conventional social order. Meanwhile, Nouveau Realisme grew freshly from France in 1960 to harbor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contemporary society. Seizing and capturing the reality, the Nouveaux Realistes used abandoned junks, steel scraps and street placards produced and thrown away by the industry. This enabled some of them to express their effort to resist the traditional estheticism and their critical standpoint towards the society. The works of Niki de Saint Phalle offer a concrete set of well-embodied examples of these efforts and allows us to make necessary connections with all of her work under the same category - the main purported goal of this thesis. In her creation a variety of works, Niki de Saint Phalle linked the general authoritative structure of power of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sphere with her own experience of being under suppression and control. Through the means of 'Tir' works in which she used real guns, she created an image of a politician to criticize the contemporary Cold War regime and politicians as well as the power of destruction of war by bringing in religious motives. Also, she used grotesque feminine image or Nana, an archetype figure of women, to express her sense of disapproval towards the harsh society and power hierarchy. Lastly, she utilized the generic divinity-destroying characteristic of 'Tir' works to challenge the conventional authority and format. Furthermore, she chose public locations to exhibit certain works to breathe closer to the general audience, showing her viewpoint against the hierarchy of high art. The attitude shown by Niki de Saint Phalle's blunt refusal to accept the old means is the main pillar of this thesis which considers the above case from socio-political as well as artistic context. This thesis also affirms the esprit fort to show no nonsense in criticizing the logic held by an esthetically and socially fixed power and the structure of it. In other words, she carved out her unique spirit of Nouveau Realism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in her art to manifest her distinguished mind of resistance against the anachronistic art and social regimes. Taking this into account, Niki de Saint Phalle is one of the artists who effectively carried out the social function of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