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0 Download: 0

朝鮮後期 濟州道 甕器 硏究

Title
朝鮮後期 濟州道 甕器 硏究
Other Titles
Study of the pottery of Jeju in the late Joseon dynasty : centering on the Heobeok
Authors
이경효
Issue Date
201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논문은 조선후기 제주도 옹기(甕器) 중 ‘허벅’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물 운반용구였던 허벅은 내륙에 없는 독특한 용기로서 주로 민속학·사회학적 관점과 성형방법을 중심으로 현대 도자공예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미술사 분야에서는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연구 또한 미진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허벅의 기원과 유래를 밝히고, 가마의 입지조건과 종류, 생산과 유통, 허벅의 기능과 양식변화 등 조형분석을 통해 그 실상을 파악하여 제주도 옹기가 도자사의 한 갈래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허벅의 정의와 기원에 대해서 살펴봄으로써 제주도 옹기 중 허벅이 근대기 상수도시설이 구비되기 이전까지 물을 긷는데 가장 긴요했던 용기 중의 하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허벅은 현무암으로 이루어진 화산회토 지형인 제주도에서 비가 오면 물이 땅으로 빠져 해안가에서 물이 솟아나기 때문에 해안가에 형성된 용천수(湧泉水)나 봉천수(奉天水)가 있는 곳에 물을 길러 다니기 위해 구경은 좁고 어깨외경이 팽만한 대병(大甁) 형태로 제작된 운반용기였다. 물 긷는 용구는 18세기 초까지의 문헌기록을 통해 나무로 제작된 목통(木桶)을 사용하였고, 도기(陶器)는 사용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18세기 후반(1780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제주읍지(濟州邑誌)」 대정현지(大靜縣誌) 도로조(道路條)에 기록되어 있는 대정현 서쪽 5리 정도에 있는 가미수(茄味藪) 옹점(甕店)을 통해 18세기 중후반에 나무로 된 목통에서 도기로 대체되었음을 추론해 볼 수 있었다. 제주도에서 가마가 형성된 시기는 17세기 중반의 정황을 보여주는 1649년「홍화각중수기(弘化閣重修記)」에서 제주에는 기와를 제작할 수 있는 장인이 없어 바다 건너 가까운 읍에서 불러와야 한다고 한 것, 1660년「제주장수당기(濟州臧修堂記)」에서 기와는 도토(陶土)를 잘 구워서 이것을 쓰겠다고 했던 대목, 이익태(李益泰, 1633~1704)의 「지영록(知瀛錄)」에 수록된 1694년의 연무정 보수에 필요한 기와를 명월면의 옛 가마터에서 굽는데 그 근처의 하인(下人)들에게 일을 시키고 있었다는 내용 등을 통해 17세기 중후반이 되면서 기술의 유입과 습득으로 기와를 자체에서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주목사 이형상(李衡祥, 1702~1703)의 「남환박물(南宦博物)」에서 도자기는 생산되지 않았다고 한 것처럼 18세기 초반까지는 도자기를 만들 수 있는 가마가 일반적으로 분포되어 있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옹기를 구울 수 있는 가마가 만들어지고 장인들이 기술이 전수되어, 18세기 중후반에 이르러 가마가 존재하고 도기가 제작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었다. 가마의 입지와 관련하여 「제주읍지(濟州邑誌)」에 기록된 대정현 서쪽 5리 정도에 있는 가미수(茄味藪) 옹점(甕店)이 위치했던 지역은 현존 가마터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곳이며 가마의 입지조건은 수요지 중심이 아닌 원료의 산지가 중심이었음을 규명할 수 있었다. 즉 수요지 중심이었다면 조선후기 제주의 인구밀도가 집중되어 있었던 제주목에 위치했어야 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낮은 대정현에 있었던 것은 도토의 수급이 용이하고 번조시에 연료로 사용되는 많은 양의 시목(柴木)을 획득 할 수 있는 입지조건이었다고 판단되었다. 특히 가미수(茄味藪)의 ‘수(藪)’는 수풀의 뜻을 가진 ‘곶’의 차자 표기로 제주도에서 일명 ‘곶자왈’이라 하는데, 이 지경에 가마가 위치해 있었기에 땔감을 구하기가 비교적 용이했던 것이라 생각되었다. 「해동지도-제주삼현도」(1750년경), 「제주삼읍전도-대정군지도」(1872년), 「제주군읍지도-대정군지도」(1899년) 등 고지도를 통해 옛 지명에 나타나는 수(藪)의 위치와 가마터가 분포하는 지경이 현재 월림-신평곳자왈 지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허벅을 생산했던 가마는 고온 산화번조[‘노랑굴’] 가마와 환원번조[‘검은굴’] 가마 두 종류가 있다. 현존 가마터의 조사와 비교분석을 통해 축요(築窯) 방식, 가마의 구조, 재임과 번조방식을 살펴보았으며 조선후기 제주 인구밀도와 도로망을 통해 생산된 제품과 허벅의 수요와 유통을 고찰하였다. 허벅의 제작기술, 기능과 양식변화 등 그 특징과 조형에 대해서 분석해 본 결과, 가마의 번조 방법 즉 고온 산화번조 혹은 환원번조에 따라 기물표면의 색과 강도가 다르고 제작방법과 기능에 따라서 크기와 모양이 달랐다. 특히 제작수법에 있어서 전라도 지역에서만 나타난다는 쳇바퀴 타렴이 제주에서도 나타나며, 제작도구에 있어서도 동일 명칭의 용어가 나타났다. 이것은 제주도와 전라도 지역간의 도자 제작기술의 유입 및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요도구에 있어 조개껍질흔이 내륙에서는 17세기 중반에서 18세기 초반 경이면 나타나지 않고 굵은 모래흔이 보이지만, 여전히 기물에서 내화재로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시대편년을 추측해 볼 수 있는 자료가 되었다. 섬 이라는 제주도의 지정학적 특성 때문에 내륙으로부터 들어오는 요소와 항해, 표류 등 외부유입이 있었지만 수용하는 측면에선 전통적이고 보수적이었다. 내륙에서 잿물을 바른 갈색의 옹기[施釉陶器, 甕器]가 제작될 때, 제주도에서는 시유하지 않은 고온 산화번조의 옹기와 삼국시대 이래 제작된 회색 경질도기, 고려도기에서 보편화되는 환원번조의 옹기가 있었다. 그리고 고온 산화번조 무유옹기(高溫酸化燔造無釉甕器)의 생산은 최근까지 계속되었다. 현재 이 제작기술은 한반도 본토에서는 유사한 것이 없으나 오늘날에도 생산되고 있는 일본의 육고요(六古窯)와 오끼나와(琉球)의 아라야치[荒窯] 등과 유사성을 띠고 있어 해로로 연결되는 일본과 오끼나와 등지의 도기기술의 교류 부분은 향후 연구해야 할 과제이다.;This thesis deals with the Heobeok, which is a kind of pottery made on Jeju isl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eobeok was a pot for carrying water. It was a unique custom in Jeju, not found in the mainland. Accordingly,it has been dealt with in modern ceramics mainly in the aspects of folklore, sociology and the method by which it is made. However, it has not gained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arthistory and few studies have been done. Thus,the aim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to make clear the origin and history of the Heobeok 2.to prepare a ground for the pottery of Jeju to be accepted as part of the history of ceramics through figurative analysis like conditions of location and varieties of kiln,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iln, function of the Heobeok and changes in style of the Heobeok. First, by examining the definition and origin of the Heobeok, we could see that the Heobeok was an important container used for carrying water until modern times when water supply facilities were introduced. When it rained, water seeped into the layers of volcanic ash soil and basalt, finally springing on the shore of the island. The Heobeok was a big jar with narrow mouth and widened shoulder used for drawing water from the water spring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18th century literature, water containers were wooden tubs, not earthenware. From History of Jeju Eup and History of Daejeong Hyeon dating back to the late 18th century(circa1780A.D.), and also from the existence of the pottery store Gamisu, located two kilometers west of Daejeong Hyeon, we can infer that the earthenware Heobeok replaced wooden containers. When we look atthe formative phasesofkiln,there are three references. First,Honghwagakjungsugi of 1649, telling the situation of themid-17th century, says that there are not craftsmen capable of producing roofing tiles, and that they need to be broughtto Jeju from the closest town in the mainland. Second, Jeju jangsudanggi of 1660 says that roofing tiles can be replaced by well-baked earth. Third, Jiyeongnok of 1694 by Lee Ik-tae says that roofing tiles needed for repairing Yeonmujeong are baked at the old kiln site in Myeongwolmyeon, the work being assigned to the nearby servants. Through thesewecan inferthat, by 1694, producing roofing tiles became possible with the inflow and mastering of skills. Just as Jeju governor Lee Hyeong-sang said in Namhwanbakmul that ceramics were not produced in Jeju, generally kilns capable of producing ceramics didn't seem to present until the early 18th century. However, through this process, kilns capable of producing pottery were made and skills were handed down. We could infer that,by themid-to late-18th century, kilns came in to existence and that earthenware was produced. The region where the pottery store Gamisu existed,as recorded in the History of Jeju Eup, was located 2 kilometers west of Daejeong Hyeon. It is the region where the most existing kiln sitesare distributed. From this we can infer that the condition of location was centered not on demand but on resources. That is, if it had been demand-centered, it should have been situated in the densely-populated Jeju Mok. However, kiln siteswere situated in the relatively sparsely-populated Daejeong Hyeon area, which shows that the Daejeong Hyeon area was good for acquiring earth and firewood when baking, thus meeting the need for resource-centered condition of location. Especially,'su'in Gamisu isaborrowed word for'got'meaning 'forest',and it is often called 'Gotjawal'. It was easy to seek firewood in this region. Through the old maps like Haedongjido-Jejusamhyeondo(circa1750), Jejusameupjeondo-Daejeonggunjido(1872), Jejuguneupjido-Daejeonggunjido(1899), we can identify that the site of 'su' and the boundary where kilns are distributed correspond to the present Wollim-Shinpyeong Gotjawal. There were two kinds of kilns that produced Heobeoks: the high-temperature oxidation modulating mode kiln(yellow cave)and the reduction modulating mode kiln(black cave). Through research and comparative analysis, we examined the style of kiln construction, structure of kiln, way of laying pottery in kiln and way ofbaking pottery.Also we looked into the demand and distribution of products and Heobeoks as they relatet opopulationdensity and road networks in the late Joseondynasty. After analyzing the techniques for producing the Heobeok and changes in function and style,wehavefound thatcolorand solidit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baking, whether it is high-temperature oxidation modulating mode or reduction modulating mode. We have also found that size and shape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producing and function.In particular, concerning the method of producing, Chetbakwitaryeom, meaning 'building wall sof dish on a treadmill'came into existencein Jeju,which used to be considered to be unique in JeollaProvince. Also manufacturing tools that share the same names with toolsin Jeolla Provinceappeared. This is the evidence that shows the influx and relation ship between Jeju and Jeoll aProvince. By the mid-17th to early-18th century, traces of shells disappear and traces of thick sandsbegin to appearasfire-proofing agents; whereasin Jeju traces of shells continued to exist. This is the evidence that allows us to guess the chronology of pottery.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 location of Jeju being an island, despite the elements of influx from the mainland and the external influx like navigation and drifts, Jeju was traditional and conservativein thereceptive side. When brown pottery painted with glaze was produced in the mainland,in Jeju, non-glazedandhigh-temperature oxidation modulating mode pottery, gray hard earthenware of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reduction modulating mode pottery from Goryeo earthenware were produced, and the production of non-glazed and high-temperature oxidation modulating mode pottery has continued untilrecently. At the present, the manufacturing technique for this has no counterpart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it does have similarities with Yukgoyo of Japan and Arayachi of Okinawa, which remains to be studied fur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