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연순-
dc.contributor.author신희선-
dc.creator신희선-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00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31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318-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의 급변하는 사회 환경은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과거의 전통적이고 고정된 개념대신 새로운 이론과 과제를 부여하면서 예술분야의 조형관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예술계가 끊임없는 아이디어로 새로운 틀의 장(場)을 열어 가는데 패션계에서도 동참하였다. 현대 예술 전반에 걸쳐 일어나고 있는 표현영역의 확대 및 소재나 기법을 공유하고, 작가의 주관적 예술성과 창조적 이미지를 창출하는 독자적인 미의 가치 현상으로 표현되어지고 있다. 패션과 아트의 만남으로 이해될 수 있는 ‘아트웨어(art to wear)’는 독창적이면서 개성을 중시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른 아주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의 신석기시대 빗살무늬토기에서 나타나는 문양들의 접목을 통해 아트웨어를 현대적 양식으로 재해석하여 새롭게 접근하고자 하였다. 선을 기본으로 한 반복적이고 연속적인 전개성의 특징과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빗살무늬토기 문양들을 모티프로 응용하였다. 기존 오간자, 쉬폰 소재의 차별화를 위해 수공예적인 섬유소재 표현기법들을 혼합 사용하여 문양의 형태를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소재 표면에 변화를 주어 독특한 텍스추어의 새로운 소재들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시각적, 촉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반투명성과 중첩효과를 나타낸 총 10점의 아트웨어를 제작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빗살무늬토기의 개념과 각 지역별 빗살무늬토기 문양의 특징을 분석하고, 선행 연구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둘째, 아트웨어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고, 작품제작에 활용한 패치워크(patchwork), 턱(tuck), 슬래쉬(slash), 단위형태결합(the structure of unit form), 플라운스(flounce) 등의 수공예적인 섬유소재 표현기법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조형요소로서의 반투명성과 텍스추어에 대해 고찰하였다. 넷째, 앞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실물디자인 10점을 제작하여 작품의도와 방법을 제시하였다. 총 10점의 아트웨어 작품을 제작하였으며,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빗살무늬토기에서 나타나는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문양들을 모티프로 응용하여 아트웨어에 접목시켰다. 신석기시대의 민족정신이 살아있는 토기 문양과 현대조형예술의 조화를 모색하여 민속적이면서 현대적인 느낌을 동시에 표현하였다. 이는 현재와 과거의 연결고리역할로서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전통적 예술품인 빗살무늬토기 문양들이 가지는 예술적 가치의 향상과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둘째, 수공예적인 섬유소재 표현기법 중 패치워크(patchwork), 턱(tuck), 슬래쉬(slash), 단위형태결합(the structure of unit form), 플라운스(flounce) 등을 혼합 사용하여 대량생산으로 흔히 접할 수 없는 독창적인 소재들을 제시하였다. 독특한 텍스추어의 소재들을 제시함으로써 섬유·패션디자인산업의 아이디어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셋째, 작품제작에 있어서 주로 비치는(see-through) 패브릭인 간자, 쉬폰 등을 이용하여 반투명성의 시각적 텍스추어 효과를 나타낼 수 있었다. 또한 소재의 반복적 배열과 변화, 단위형태 등의 중첩(over-lapping)효과에 따라 상이한 촉각적 질감을 표현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창작 의지와 실험 정신을 가속화 시키고, 또한 고부가가치의 창의적이고 독특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Rapidly changed modern society flows in various and complex ways while new theories and assignments rather than traditional and fixed ideas in the past are given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ve aspects in arts. For opening new form of fields continuously with new ideas in arts, fashion field also join in the finding new waves. The fashion field's joining means expanding field of expression happened through all over the modern arts and sharing materials and techniques, and their efforts come out as the independent aesthetic value phenomenon which prompts artists' subjective artistic beauty and creative images. Thus, art-to-wear is a spontaneous fact being in the flow of the time when creativeness and personality are important. For the reason, the author tries to approach art-to-wear by reinterpretation of it in modern form through grafting patterns from the comb-pattern earthenware in the New Stone Age in Korea. The comb-pattern which shows repetition and continuously-spreading out characteristic based on lines and abstract image, are used for the motif. To differs from the present organza and chiffon material forms of patterns are expressed by using combined with various hand-made textile material expression techniques and new materials of unique textures are presented by giving some changes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s. Through the works, the author made total 10 pieces of art-to-wear which visual and tactile sensations are maximized and translucency and reiteration effect are shown. The study examines: First, it analyzes the concept of the comb-pattern earthenware and pattern characteristics of the earthenware in each region and looks at the precedent studies. Second, it contemplates the concept of art-to-wear and its characteristics and research for the hand-made textile material expression techniques such as patchwork, tuck, slash, the structure of unit form, flounce, etc. Third, it inquires into translucency and texture as a factor of the formative beauty. Fourth, base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mentioned before, the author made 10 pieces of the actual designs and then presents the meaning of the works and the methods to make. Total 10 pieces of art-to-wear were made,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irst, the art to wear was grafted with the geometric and abstract patterns from the comb-pattern earthenware. It seems to be helpful to improve artistic value of the traditional arts, the comb-pattern earthenware, and develop it. Second, unique materials which are hard to be found in mass-production are shown by using patchwork, tuck, slash, structure of unit form, and flounce in order to make a difference to the present materials. The study considers the unique materials can give some helps to improve new ideas of textile & fashion design by suggesting new materials for textures. Third, for making the pieces, organza and chiffon which are kinds of see-through fabrics could give translucency, a visual texture effect. Indeed, an arrangement of repeated and change materials and an effect of over-lapping units are given various tactile sense expressions of textures. The idea explained in the article is considered to accelerate both a will for creation and a spirit for experiment, also to full fill with people's desires in the modern society for high-valued creative and unique desig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 2 2. 토기에 나타난 빗살무늬 = 3 2.1. 빗살무늬 토기의 정의 = 3 2.2. 빗살무늬 토기문양의 특성과 종류 = 4 3. 표현 소재의 반투명성과 텍스추어 = 13 3.1. 아트웨어의 특성과 섬유소재 표현기법 = 13 3.2. 반투명성과 텍스추어 = 19 4. 작품제작 = 26 4.1. 작품제작 의도 및 방법 = 26 4.2. 작품분석 = 28 5. 결론 = 66 참고문헌 = 67 ABSTRACT = 6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28183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빗살무늬 모티프와 반투명 소재를 이용한 아트웨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rt-to-Wear applied by Comb-Pattern Motif and Translucent Materials-
dc.creator.othernameShin, Hee-sun-
dc.format.pageⅷ,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디자인학과섬유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섬유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