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유경-
dc.contributor.author박혜주-
dc.creator박혜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7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742-
dc.description.abstract민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성과주의는 오늘날 선진국을 중심으로 공공부분에 도입되었으며 특히, 국민의 세금으로 이루어지는 재정분야에 있어 성과에 대한 책임이 중시되고 있다. 이러한 성과주의를 반영한 것이 사업별 예산제도이며 사업별 예산제도를 운용하기 위한 예산회계기법이 발생주의 ·복식부기 회계이다. 교육은 다른 영역과 달리 그 성과를 가시적으로 나타내기가 힘듦에도 불구하고 수요자가 원하는 교육의 성과를 제공해야 할 의무에 따라 다른 공공부분과 마찬가지로 사업별 예산제도를 도입하였다. 에듀파인은 교육에 있어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전산 인프라이다. 즉, 에듀파인은 성공적인 재정개혁을 위해 도입된 하나의 수단이다. 그러나 오늘날 전산화의 성공적인 정착이 곧 새로운 제도의 성공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단위학교에서 에듀파인의 성공적인 활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 전면도입도 되기 전부터 일부 교사들을 중심으로 에듀파인의 도입이 오히려 교원들의 업무를 증가시킬 거라는 우려가 크다. 따라서 행정직과 교원들의 에듀파인에 대한 직렬별 인식분석을 통하여 차이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 단위학교로의 에듀파인 전면 도입에 앞서 시범학교를 대상으로 에듀파인학교회계시스템의 직렬별 인식분석을 통하여 에듀파인 도입으로 인한 직렬간 사용자의 만족도 및 업무 효율성에 대한 인식, 도입 효과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향후 에듀파인 시스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필요한 개선방안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에듀파인의 도입으로 인한 직렬간 사용자 만족도는 어떠한가? 2. 에듀파인의 도입으로 인한 직렬간 업무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3. 에듀파인의 도입 효과에 대한 직렬간 인식은 어떠한가? 4. 에듀파인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서울시교육청 에듀파인학교회계시스템 시범학교 27개교[공립19교, 사립8교]의 행정직 94명, 교사270명으로 총3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조사대상 364명 중 회수된 270명의 의견을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통계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교차분석(chi-squar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듀파인의 도입으로 인한 직렬간 사용자 만족도는 메뉴구성의 사용자 용이성, 문제점 해결에 대한 신속성에 따라 검증하였을 때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편리성과 문제점 해결에 대한 정확성, 교육 및 연수의 충분성에 대하여 직렬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문제점 해결에 대한 정확성에 대하여 행정직이 교원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교육 및 연수의 충분성에 대하여는 교원이 행정직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듀파인의 도입으로 인한 직렬간 업무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은 업무능력 향상에 기여, 사용자 정보취득의 용이성, 시스템의 정보가공 능력을 검증하였을 때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업무처리의 신속성과 업무경감에 대하여는 직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업무처리의 신속성 및 업무경감에 대하여 행정직과 교원 모두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특히, 행정직이 교원보다 부정적인 인식이 더욱 높았다. 셋째, 에듀파인의 도입 효과에 대한 직렬간 인식은 교원들의 예산에 대한 관심과 참여확대, 사업담당자의 책무성 증대, 사업담당자의 예산의 자율성 증대를 검증하였을 때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사업성과 파악의 용이성, 학교재정의 투명성 확보에 대하여 직렬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업성과 파악의 용이성 및 학교재정의 투명성 확보에 대하여 행정직과 교원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나 교원이 행정직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에듀파인의 성공적 정착을 위하여 가장 필요한 개선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본 결과 가장 도움이 되는 연수 형태에 대해 행정직은 연수과정을 통한 직접연수를 교사는 단위학교 중심의 직접 연수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담당업무와 관련하여 에듀파인 도입의 가장 중요한 효과에 대해서는 행정직과 교사 모두 업무의 투명성과 신뢰성 제고를 가장 중요한 도입효과로 응답하였다. 에듀파인의 사용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장 개선할 사항에 대한 응답으로는 행정직과 교사 모두 전자문서와 에듀파인의 결재의 이원화를 단일결재로 통합할 것을 들고 있으며, 행정실과 교무실간의 정확한 업무분장이 다음으로 개선할 사항으로 응답하고 있으며 에듀파인의 사용자 만족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가장 개선할 사항에 대해서는 행정직과 교사 모두 사용하기 편리한 화면 구성 및 체계화된 메뉴가 필요하다고 응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에듀파인이 단위학교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행정직과 교사 모두 시스템 이용방법 및 업무처리절차에 대한 다양한 연수기회 확대가 가장 필요한 사항이라고 응답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에듀파인의 도입으로 인한 사용자 만족도가 행정직과 교원 모두 부정적인만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활용하기 편리한 에듀파인의 화면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시스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며 체계화된 메뉴 제작이 필요하다. 또한 연수 기회의 부족으로 인하여 에듀파인의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교직원이 많은 만큼 다양한 연수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에듀파인의 도입으로 인한 직렬간 업무의 효율성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행정직과 교사 모두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주목할 점은 업무가 경감되었는지에 대하여 행정직이 교원보다 부정적인 인식이 더욱 높다는 점이다. 실제로 에듀파인의 도입이 교원들의 업무를 가중시킬 거라는 우려는 많이 대두되었지만 행정직의 업무가중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따라서 교원뿐만이 아니라 행정직의 업무경감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셋째, 에듀파인의 도입효과에 대한 직렬간 인식을 살펴보면 행정직과 교원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특히, 예산은 행정실만의 고유 업무라는 인식으로부터 학교 전체 교직원 모두 관심을 가져야할 대상으로 전환을 가져왔으며, 예산 운용의 투명성과 사업담당자의 예산에 대한 책무성 증가 등 긍정적인 부분들을 더욱 극대화하여 에듀파인이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이면 본 연구는 2009년 서울시교육청 시범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조사대상에 있어 제한이 되어있다는 점과 사립학교의 경우 조사대상에 포함되는 학교도 적었을 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학교에서 에듀파인을 활용하는 교사가 많지 않아 응답률이 낮았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향후 에듀파인의 전면 도입 후, 조사대상을 더욱 확대할 경우 연구결과에서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후속 연구에 있어서는 이 점을 비교해 볼 수 있을 것이다.;A performance-based system that had been implemented in private sectors was introduced into public sectors in developed countries today; in particular, stress is laid on accountability for performance in the financial field dealing with national taxes. The business-based budgeting system reflects such a performance-based system, and accrual basis & double-entry bookkeeping accounting is the budgeting accounting technique to operate the usiness-based budgeting system. Although education can hardly show its performance visually, contrary to other areas, a business-based budgeting system was introduced as in other public sectors according to the obligation to provide educational performance desired by consumers. Edufine is a computing infrastructure to realize it in education. In other words, Edufine is a means introduced for a successful financial reform. However, as successful settlement of computerization today exerts enormous effects on success in a new system, successful use of Edufine in unit schools is most of all important. But even before its overall introduction, some teachers were much concerned about the possible increase in their duti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Edufin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perception of Edufine to see differences between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teacher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 of the Edufine school accounting system by occupation types at model schools before its overall introduction to those schools by 2010 in order to see users' satisfaction, perception of business efficiency, and perception of its effects by occupation types due to the introduction of Edufine and search for an improvement scheme necessary to settle the Edufine system successfully in the future.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user satisfa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Edufine by occupation types? 2. How is business efficiency perceived with the introduction of Edufine by occupation types? 3. How are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Edufine perceived by occupation types? 4. What is an improvement scheme to settle Edufine successfully? To answer these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64 persons―94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270 teachers―at 27 model schools (19 public, 8 private) design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for the Edufine School Accounting System. Of them, 27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analyzed; and the statistical data went through chi-square using an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ser satisfa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Edufine between occupation types in terms of users' easiness with menu composition and rapidity in solving problems,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ccupation types in terms of convenience, accuracy in solving problems, and sufficiency in education and training. Administrative employees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 of accuracy in solving problems than teachers; and the latter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 of sufficiency in education and training than the former.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business efficiency with the introduction of Edufine between occupation types in terms of contributions to improvement in business competency, users' easiness with information acquisi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y of the system,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rapidity in business management and reduction in duties. While both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teachers negatively perceived rapidity in business management and reduction in duties, the former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Edufine between occupation types in terms of expansion of teach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budgeting, the increase in business managers' accountability, and the increase in business managers' autonomy of budgeting,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easiness with grasping business performance and security of transparency in school finance. While both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teachers positively perceived easiness with grasping business performance and security of transparency in school finance, the latter showed more positive perception. Fourth, as for improvement schemes most necessary to settle Edufine successfully, administrative employees suggested personal training through a process of training and teachers suggested personal training based on unit schools as the most helpful type of training; as for the most important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Edufine in relation to businesses concerned, both of them suggested improvement in transparency and reliability in businesses. As for the most important improvement scheme to increase business efficiency by using Edufine, both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teachers suggested integration of dual approvals based on e-documents and Edufine into a single approval, followed by precise division of duties between the administrative room and the teachers' room; as for the most important improvement scheme to increase user satisfaction with Edufine, both of them suggested screen composition convenient to use and systematic menus. Lastly, as for the most necessary thing to settle Edufine successfully in unit schools, both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teachers suggeste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various types of training concerning how to use the system and business management procedures. From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ould be drawn: First, as both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teachers showed low user satisfac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Edufin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creen of Edufine convenient to use in order to allow users to access the system easily and manufacture systematic menus. As many of the staff had difficulty in using Edufine due to lack of opportunities to get train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lots of opportunities for training. Second, both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teachers showed negative perception of business efficiency with the introduction of Edufine. What is remarkable in particular is that administrative employees showed more negative perception of reduction in duties than teachers. Although many people were worried that the introduction of Edufine would increase duties for teachers, there was relatively less interest in the increase in duties for administrative employee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take interest in the need to reduce duties for administrative employees as well as for teachers. Third, both administrative employees and teachers showed positive perception of effects of the introduction of Edufine. In particular, as budgeting which had been considered specific to the administrative room came to be considered in relation to all the staff, it is necessary to maximize positive parts, such as transparency in operating budgets and the increase in business managers' accountability for budgeting, so that Edufine can be settled successfully. Lastl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limited subjects at model schools design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2009; only a few private school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few teachers were actually using Edufine at school, resulting in the low response rate. With the overall introduction of Edufine and more subjects in the future, there will possibly be different results, which needs to be considered by follow-up research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3 D.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학교예산회계제도 = 5 B. 사업별 예산제도 = 19 C. 발생주의 · 복식부기 회계제도의 학교회계 도입 = 30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대상 = 37 B. 측정도구 = 39 C. 자료의 처리 = 4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41 A. 직렬별 에듀파인 학교회계시스템에 대한 세부 영역별 인식 분석 = 41 Ⅴ. 결론 및 제언 = 61 A. 요약 및 결론 = 61 B. 논의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7 부록 = 70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1644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에듀파인학교회계시스템에 대한 직렬별 인식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교육청 시범학교 교직원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Perception of the Edufine School Accounting System by Occupation Types : Centering on the Staff at Model Schools Designa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dc.creator.othernameBak, hye ju-
dc.format.pageⅹ,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