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경숙-
dc.contributor.author나귀임-
dc.creator나귀임-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8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8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845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45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도전지향활동의 참여정도와 자신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체육 수업에서의 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업방법과 2007년 체육과 개정교육과정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재 7차 체육과 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체육수업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전지향활동의 참여정도와 자신감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그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동작구 교육청 산하의 남녀공학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 730명을 군집표집으로 선정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를 제외하고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698명이었다. 자료처리 방법은 상관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통계처리는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체육수업에서의 도전지향활동의 참가정도와 자신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참여 정도와 자신감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참여 정도와 기록도전, 표적도전에서의 자신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전체 동작도전에서의 자신감은 참여정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동작도전에 대한 하위 자신감 요인에 대해 살펴보면 참여정도와 신체적 유능감, 신체적 근력감, 신체적 매력감에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신체적 자신감 과 신체적 근력감은 유의미한 의미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도전지향활동에서의 자신감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록도전과 표적도전에서에서의 자신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작도전에서의 자신감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신체적 유능감과 신체적 자신감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근력감은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매력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동작도전에 대한 자신감은 남학생이 여학생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도전지향활동의 내용에 따른 자신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록도전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표적도전, 동작도전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기록도전, 표적도전, 동작도전의 순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여학생은 도전지향활동의 내용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체육수업을 통한 도전지향활동의 참가정도는 중학생의 자신감과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전지향활동의 종류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대부분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동작도전의 하위요인인 신체적 매력감에서는 여학생이 높은 자신감을 보였다. 또한 도전활동의 내용에 따른 자신감은 기록도전, 표적도전, 동작도전 순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기록도전, 표적도전, 동작도전의 순으로 나타났고, 여학생은 의미 있는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도전활동의 보다 효과적인 수업을 위해서 단위학교와 체육교사는 도전활동 수업을 계획함에 있어 학생들의 성차 및 수준차를 고려할 수 있는 다양한 종목 선정과 시설 및 용기구의 마련을 보다 구체적으로 계획할 필요가 있고, 도전활동의 내용을 선택함에 있어 평가자의 지도 및 평가에 대한 편의를 고려할 목적으로 특정 도전활동에 편중되어 도전활동의 내용을 선택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또한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의 취지에 부합하는 체육 수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도전활동 내용을 수업활동에 제시하고 학생들의 선택과 경험의 폭을 넓게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동작도전활동을 지도함에 있어 남녀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도할 수 있는 수업방법을 계획하여 시행한다면, 여학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challenging P.E. activities and their confidence, to seek a teaching method geared toward furthering their confidence in P.E. class and finally to help ensure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the revised 2007 P.E. curriculum.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in challenging P.E. activities and their confidence under the current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30 students who were in their third grade in coed middle school under the umbrella of the Dongjak-gu Office of education in Seoul. They were selected by cluster sampling, and the answer sheets from 698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some incomplete ones. As for data handling,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and a SPSSWIN 12.0 program was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challenging activities and confidence in P.E. class. Specifically, the degree of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confidence about record challenge and target challenge, and that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confidence about overall movement challenge as well. In the case of the components of confidence about movement challenge, the level of particip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physical competence, physical muscular strength and physical attractiveness, but tha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physical confidence. physical muscular strength didn't have any significant meaning. Second, confidence about challenging activities varied significantly with gender. The boys were more confident than the girls about record challenge and target challenge, and the ga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movement challenge, the boys excelled the girls in physical competence and physical confidence, and there was no gender gap in physical muscular strength. The girls outdid the boys in physical attractiveness, and the ga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boys and girls in confidence about overall movement challenge. Third, in regard to links between the content of challenging activities and confidence, the content of challenging activities made the largest difference to confidence about record challenge, followed by target challenge and movement challenge. In the case of the boys, the content of challenging activities mad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s to confidence about record challenge, followed by target challenge and movement challenge. Among the girls, that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ongoing challeng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confidence of the middle schoolers in P.E. class, and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physical confidence, one of the movement challenge subfactors. Concerning relationship between the kind of challenging activities and confidence, the boys were more confident mostly than the girls, and the girls were more confident in terms of physical attractiveness, one of the movement challenge subfactors. As to links between the content of challenging activities and confidence, that made the most differences to confidence about record challenge, followed by target challenge and movement challenge. Among the boys, that made the largest differences to confidence about record challenge, followed by target challenge and movement challenge. In the case of the girls, that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every school and P.E. teachers should select a variety of sporting events and prepare required facilities and tools in consideration of gender gaps and level gaps in order to ensure the efficiency of P.E. instru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P.E. curriculum when P.E. lesson plans are mapped out by employing challeng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selection of challenging activities, it should be avoided to lean toward any particular kinds of activities for the convenience of evaluators. In order to conduct P.E. instruction in compliance with the intent of the revised P.E. curriculum, a variety of challenging activities should be provided for students to have a bigger option and gain experien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boys and girl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stir up the participation of girls and produce better educational eff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연구의 제한점 = 6 D.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중학교 2007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 해설 = 8 B. 도전지향활동의 내용 체계 = 17 C. 자신감의 영역 = 24 D. 선행연구 고찰 = 34 Ⅲ. 연구방법 = 37 A. 연구대상 = 37 B. 연구도구 = 37 C. 설문지의 신뢰도 = 38 D. 자료 수집 = 39 E. 자료분석 = 39 Ⅳ. 연구 결과 = 41 A. 체육수업에서의 도전지향활동의 참가정도와 자신감과의 상관 관계 = 41 B. 도전지향활동의 성별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 = 43 C. 도전지향활동의 내용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 = 45 Ⅴ. 논의 = 48 A. 도전지향활동의 참가정도와 자신감의 상관관계 = 48 B. 도전지향활동의 성별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 = 49 C. 도전지향활동의 내용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 = 52 Ⅵ. 결론 및 제언 = 55 A. 결론 = 55 B. 제언 = 58 참고문헌 = 59 부록 = 64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214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체육수업의 도전지향활동과 중학생의 자신감과의 관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Challenging P.E. Activities to the Confidence of Middle Schoolers-
dc.creator.othernameNa, Kwi-Im-
dc.format.pageⅸ, 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