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희-
dc.contributor.author임미빈-
dc.creator임미빈-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5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5Z-
dc.date.issued201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68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2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6882-
dc.description.abstract장학은 교사와 아동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는 방법으로 특히, 실천적 경험이 적은 초임 교사들의 교수의 질 향상을 지원하는 수업장학은 일반교육 현장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수업장학은 일반교육 뿐 아니라 특수교육 현장에서 초임 특수교사의 교수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 지난 30년간 특수교육의 동향은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이다.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이란, 장애 학생이 일반학급의 통합수업에 단순히 물리적으로 참여하는 것에서 나아가 비장애 학생들과 동일한 교육과정에 접근하도록 하는 것이다. 통합교육이 질적 향상을 이루기 위해서는 특수학급 교사의 교수의 질 신장이 요구된다. 특히, 교사로서 정체성을 형성하고 전문직으로서의 교사가 되기 위해 중요한 시기에 있는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경우 교수의 질 신장은 매우 중요하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수의 질 신장을 직접적으로 도울 수 있는 방법에는 수업장학이 있다. 수업장학은 교육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숙련된 전문가가 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교사를 가르치며 지원하고 상담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 받은 수업장학의 실태; (2)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 (3)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의 초등 특수학급 교사 중 경력 3년 이하의 교사 171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104부를 회수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특수학급 교사와의 면담 및 수업장학에 관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처리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거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 받은 수업장학의 실태를 알아본 결과, 초임 특수학급 교사 중 60% 이상이 수업장학을 제공 받은 경험이 있으며, 80% 이상이 일반학교 관리자 및 연구부장으로부터 수업장학을 제공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는 수업장학에 대한 부담감이 높은 반면, 수업장학에 대해 만족하거나 결과를 추후 수업 개선에 활용하는 정도는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2.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를 알아본 결과,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 받기를 희망하는 수업장학의 횟수는 1년의 1회가 50% 이상이었다.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희망하는 수업장학의 제공자는 5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특수교사였으며,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수업장학을 제공 받기 위해 마련되어야 하는 요소로 지적한 것은 장학 제공자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함양이었다. 3.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을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과 3단계로 알아보았다.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과, 3단계의 실행도는 4점 척도에서 평균 2점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장학의 4가지 영역과 3단계의 필요도는 4점 척도에서 평균 3점 이상으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장학에 대한 필요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 받은 수업장학에 대한 일반적 실태 정보를 제시하며, 수업장학에 대한 개선 요구를 조사한 연구로서 향후 일반학교에서 초임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수업장학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 필요한 체제를 마련해 나가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서울, 경기, 인천에 한정된 조사 결과를 제시하며, 심층적 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The main objectiv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ality of teaching supervision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are provided, and teacher's thoughts on teaching supervision and its develop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among 171 special class teachers under three years of carrier at elementary school in Seoul, In-Cheon and Kyung-Gi province. As a tool of the survey, researcher developed questionnaire based on interview with special class teachers and references on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and teaching supervision.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analyzing the mean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utilized for analysis of dat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1. More than 60% of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have at least once experienced teaching supervision and, among them, more than 80% are supervised by general director or the chief of the research department of elementary school. While teaching supervision can be a burden to newly appointed teachers, they are neither satisfied with the result of teaching supervision nor likely to apply teaching supervision to improving their teaching. 2. When it comes to newly appointed special class teachers' improvement demand, more than 50% of teachers answered that they want to receive teaching supervision less than twice a year and their hopeful supervisors are trained and professional ones with more than five years of experience. Plus, what the subjects strongly recommended for improvement of teaching supervision was supervisor's professionalism: knowledge and skill. 3. The implementation degree showed as low as average 2 points in each area and step. The demand for contents of it in each area and step was more than 3 points on average, which indicates they have higher needs for teaching supervision. This research provides general information about teaching supervision newly appointed teachers were offered and basic knowledge on preparing for a system which is indispensable to make effective and successful teaching supervision for newly appointed specialized class teachers. However, only covered Greater Seoul Area, it shows limitation on in-depth analysis of teaching supervi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장학의 개념 = 5 B. 장학의 여러 모형 = 6 1. 일반장학과 수업장학 = 6 2. 수업장학의 여러 모형 = 8 C. 특수교육 분야에서 장학 = 13 1. 특수교육 현장에서 장학의 개관 = 13 2. 초임 특수학급 교사에게 수업장학 제공의 필요성 = 15 Ⅲ. 연구 방법 = 17 A. 연구 참여자 = 17 B. 연구 도구 = 18 C. 자료 수집 = 20 D. 자료 처리 = 20 Ⅳ. 연구 결과 = 22 A. 초임 특수학급 교사가 제공 받은 수업장학의 실태 = 22 B. 수업장학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개선 요구 = 25 C. 수업장학의 실행도와 필요도에 대한 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인식 = 28 Ⅴ. 논의 및 제언 = 37 A. 논의 = 37 B. 제언 = 41 C. 연구의 제한점 = 42 참고문헌 = 43 부록 = 48 ABSTRACT = 5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946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임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장학 실태와 개선 요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Perceptions and Support needs of Teaching supervision-
dc.creator.othernameLim, Mi Bin-
dc.format.pageⅷ,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1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