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윤희-
dc.creator박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52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5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6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1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661-
dc.description.abstractGyoojahnggahk(奎章閣) or the Palace Library was instituted as royal library in the 1st year of King Jurngjo(正組) (1776) during a Renaissance period of Yi dynasty, and have undergone various changes including tha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coordingly, its bibliographies have also been frequently compiled ; their examples are compiled 『Yehmoongo(藝文考)』, 『Gyoojahngchongmok (奎章總目)』, 『 Sursursurmok(西序西目)』 and 『JehseeIdosurmokrok(帝室圖書目錄)』 complied by the Department of Royal Household of Korean Empire(韓國宮內府). The most recent type is 『Josurndosurhaejeh』(朝鮮圖書解題)』, which was compiled by the branch of councilor offic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朝鮮總督府 參事官分室) in 1910 after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ince the 『Josurndosurhaejeh』was complied extensively selefting 2,795 classes(種) of collected so far, it may be the only source which can feature the korean book stored then in Gyoojahnggahk. In this context, this study was aimed at investigating how much well 『Josurndosurhaejeh』 are preserved now, and then examining the necessity of complementing it and thereby providing som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bibliography. To this end, the literature study and an actual survey wewe conducted. In the literature study, the changing process of Gyoojahnggahk and its managerial condition during the rule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wewe reviewed together with the compiled contents and bibliographic techniques of 『Josurndosurhaejeh』. The survey compared the 『Josurndosurhaejeh』 with the actual book stored now in Gyoojahnggahk. The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 ; 1. 『Josurndosurhaejeh』 which was compiled by the branch of counsilor office of Japanese Govornment-General in the 4th year of Daishou(大正) (1915) contained about 1,400 classes, and in the 8th year of Daishou(1919) it was re-compiled with an index and an appendix, and 1,300 classes added. The second version of consists of four divisions and 43 section, containting 2,795 classes in all. And in the 7th year of Shouwa(昭和)(1932) it was edited for the sefond time. 2. In terms of contents, the 『Josurndosurhaejeh』 contains 12 sections( 153 classes ) of the Philosophy division(經部) and 13 sections( 1,268 classes ) of the History division(史部). To the contrasr, Master's werk division(子部) has 13 sections( 375 classes ), while the Literature division(集部) harbors 5 sections( 996 classes ) among which acollection of work section(別集類) shares 799 classes. This four divisions was more or less adjusted from the traditional division to adequately address the new condition. 3. In terms of format, each section Indicates the titles, volume numbers, authors, printing conditions( printed book or discripted book ) and book numbers as well as a brief authors record and motives of compiled. Weak-point of the it may be the extremely short bibliographical remarks. 4.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confirmed that 80.8 % or 2,261 classes of the collected books( 2,795 classes ) are preserved now, and that only 1,460 classes( 64.5 % of the currently stored book in Gyoojahnggahk and 52.2 % of the cellected one ) are simultaneously collected in the 『Josurndosurhaejeh』 and the original Gyoojahnggahk catalogue. On the other hand, among 113 classes sampled 84 ones are indentified as same as those collected in the original issue and the rest( 29 classes ) are different in forms or contents : 23 ones are different in terms of volume numbers, while 5 ones in published year and 2 ones in authors respectively. All in all, the 『Josurndosurhaejeh』 contains extensively the annotated catalogue and has rich index. It is only a regret that it was compiled arbitrarily without any creteria,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compilation of the annotated catalogue.; 奎章閣은 朝鮮朝 文藝復興期라 할 수 있는 正祖 元年(1776) 王立圖書館의 기능으로 창건되어, 日帝 朝鮮總督府를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여러 기능을 하면서 변천하였다. 이에 따라 書目의 編纂도 이루어졌으며 『增補文獻 備考 藝文考』, 『奎章總目』, 『西序西目』 등이 그것이다. 또한 朝鮮本의 書目으로 가장 최근의 것이라 할 수 있는 것이『朝鮮圖書解題』이며, 1910年 韓日合倂후 朝鮮總督府 參事官分室에서 刊行한 것이다. 이는 당시 朝鮮總督府 參事官分室에서 관리하던 奎章閣圖書 가운데 朝鮮本을 대상으로 선택해 2,795種의 圖書를 收錄한 解題目錄이며, 비교적 광범위하게 수록되어 있어 당시 奎章閣에 所藏되어 있던 朝鮮本을 알 수 있는 유용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朝鮮圖書解題』 편찬당시 收錄된 圖畵가 어느 정도 보존되어 있는지, 그리고 그 收錄圖書에 대한 解題나 形態事項등에 修正을 加할 곳은 없는지 살펴, 정확한 解題目錄으로서 앞으로의 書誌學的인 연구에 도움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硏究目的을 두었다. 이를 위해 文獻硏究와 實際調査를 통한 연구를 하였다. 文獻硏究로는 奎章閣圖書의 變遷過程과 그 圖書들이 朝鮮總督府로 移管된 후의 藏書管理등을 알아보았으며, 『朝鮮圖書解題』의 編成內容과 書誌記述法 등을 살펴보았다. 實際調査는 奎章閣本을 대상으로 『朝鮮圖書解題』의 收錄圖書와 對照하여 보았다. 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朝鮮圖書解題』는 朝鮮總督府 參事官分室에 의하여 大正 4年(1915) 1,400餘種의 圖書를 收錄해 刊行하였으며, 大正 8年(1919)에 1,300餘種의 圖書를 추가하고 索引과 附錄을 넣어 增補版을 刊行하였다. 그리고 昭和 7年(1932)의 것이 重刊版이다. 이 解題目錄은 4部 43類로 구분되어 있으며 모두 2,795種의 朝鮮本이 收錄되었다. 2. 이 『朝鮮圖書解題』는 [經部]가 12類로 153種의 圖書가 收錄되어 있으며, [史部]는 13類 1,268種의 圖書로 가장 많은 圖書가 收錄되어 있다. [子部]는 13類에 378種, 그리고 [集部]는 5類 996種의 圖書가 收錄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 別集類가 799種으로 [集部]에서 가장 많은 數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이 解題目錄은 四部分類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四庫全書總目』의 전통적인 分類法을 그 圖書의 量과 性格에 맞도록 약간 改修하여 사용하였다. 3. 『朝鮮圖書解題』의 編成內容은 각 類아래 書名, 卷冊數, 編著者, 印本과 寫本의 구별, 所臟表示인 圖書番號가 記入되어 있으며, 圖書의 내용이나 편찬동기를 밝힌 解題와 編著者의 略歷이 記述되어 있다. 그러나 書誌記述을 너무 간략하게 한것이 단점이라 할 수 있다. 4. 『朝鮮圖書解題』의 收錄圖書를 奎藏閣本과 對照하여 본 결과 이 解題目錄 편찬당시 收錄된 圖書 2,795種 가운데 현재 奎章閣에 所藏되어 있는 圖書는 全 收錄圖書의 80.8%인 2,261種이었으며 그 중 『朝鮮圖書解題』의 收錄圖書와 奎章閣本과의 내용이 일치되는 圖書는 1,460種(全收錄圖書의 52.2%, 奎藏閣所藏本)임을 알다. 한편 奎章閣所藏本 가운데 審査할 수 있었던 圖書 113種 奎藏閣本과 對照하여 分析해 본 결과 同一本으로서 일치되는 것은 84種이었으며 그 밖에 形態나 內容上 差異가 있는 圖書가 29種이었다. 즉, 卷冊數에서 23種으로 가장 많은 誤謬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나머지는 내용상의 刊紀와 編著者 등에서 각각 5種과 2種의 誤謬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 『朝鮮圖書解題』는 奎章閣의 朝鮮本을 收錄한 폭넓은 解題目錄이라 할 수 있으며, 索引이 충실하게 收錄되어 있어 찾기에 편리한 점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다만 圖書를 收錄함에 있어 특정한 기준이 없이 무작위로 선정하여 收錄한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으며, 이는 解題目錄을 編纂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점으로 생각되어진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論文槪要 = ⅲ Ⅰ. 緖論 = 1 A. 硏究의 目的 = 1 B. 硏究의 方法 = 2 C. 先行硏究 = 3 Ⅱ. 朝鮮總督府의 藏書管理 = 5 A. 奎章閣所藏圖書의 歷史 = 5 B. 朝鮮總督府의 藏書管理 = 13 Ⅲ. 『朝鮮圖書解題』의 編成 및 內容 = 21 A. 『朝鮮圖書解題』의 編纂背景 = 21 B. 『朝鮮圖書解題』의 編成 및 書誌記述法 = 23 Ⅳ. 『朝鮮圖書解題』의 收錄圖書 分析 = 31 A. 『朝鮮圖書解題』의 分類體係에 대한 比較分析 = 31 B. 奎章閣所藏本과의 比較分析 = 45 Ⅴ. 結論 = 55 參考文獻 = 58 附錄 = 61 ABSTRACT = 13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750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도서관학과-
dc.title조선도서해제의 수록도서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14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도서관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문헌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