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우리나라 중학교 대상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연구

Title
우리나라 중학교 대상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조사 연구
Authors
신수화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Unlike the rapid advances of modern technogies and sciences they have not in many eye-catching improvement in educational field. Educational materials and method have failed to satisfy the diverse needs of different social classese and staied behind what people request. The role of television has emerged in resent year as a complement with its availability to meet various masses of different classes in different times. With the questionnaire for 79 middle school teachers and 359 students of first and second grades in two educational television demonstration schools in Seoul and Kyunggi-Do. this paper has introduced what they think of current educational television programs, how they utilize them and in which direction they wish them to change. The principal findings of this survey are as follows: 1. 38.0% of teachers are using educational television programs in classes. Most programs(70.4%) are used for self-study purposes after normal classes, and only 22.6% are used for classes supplements. 2. Teachers want to use educational television programs in the following order of preference - Science, English, Social studies, Arts, Technology, Music, and Korean history. In contrast students' preference are English, Science. Mathmatics, Social studies, Korean language, and Korean history. 3. Teachers using educational television programs during classes are generally contented with the program(M=3.40), for they offer opportunities for indirect experiences. However teachers regard the contribution of programs for the classes as below average(M=2.73). The investigation into the programs broadcasted for a month, september, 1992 reveals that interest, difficulty, and stisfaction levels are average. 4. Respondents indicate that the desirable running tine for educational televis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20 minutes ger program, 40 minutes per day. However, many respondents, especially middle school 2nd grade students, wish to have 30 minutes program rather than 20 minutes. Respondents are satisfied with the present time schedule, i.e. 6:00 PM through 6:40 PM, but 50.7% of teachers and 34.2% of students prefer after 7:00 PM. 5.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television programs, most respondents suggest that th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helpful enough to be a supplementary to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 For the dsirable program format, teachers prefer drama for Korean language and English, quiz or game for mathmatics. In the cas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y suggest an experiment, practice or field trip format, and documentary film for social studies. Compared with teachers, students are interested in cartoon film, quiz. or game. 6. For the satisfaction of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programs, respondents show that the aspect of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re above average, but the quality of program and the inducement of students are below average. Several suggestions based on the above results are proposed as follows: 1. The needs assessment on the educational television programa should be continually proceeded, for the programs to reflect the recievers' needs. 2. The educational television programs should contain various contents reflecting the merits of television.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nd the needs of recievers. 3. Financial Support and improvement in management should be preceded. Producers and reserchers should also reeducate themselves, and coofporation between the producers as a broadcasting specialist and the reserchers as an educational specialist is required. 4. The understanding and concerns of recievers are necessary. It is required that the receivers positively express their needs to the producer.; 현대 사회는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폭증하는 지식, 쏟아져나오는 정보들로 인해서 사회 각 분야에서 획기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고, 교육 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현대와 같이 변화의 속도가 빠른 사회에서는 종래와 같은 제도적인 교육기관으로서의 학교라는 폐쇄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다양한 교육자원을 통해서만이 사람들의 교육적 요구를 효과적으로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학교교육에 있어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혁신이 필요하게 되고, 방송매체의 활용이 새로운 접근책으로서 역할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텔레비전은 교육적인 목적에 의해 개발된 매체가 아니기 때문에 이를 교육현장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활용 방법론적연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텔레비전은 자체에 교육적 가치가 있다기보다는, 여러가지 환경적 요인들과 올바른 상호보완적 관계를 정립할 때 그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는 것이므로,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은 그에 대한 수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하여 교육목적과 대상에 맞게 방송의 특성을 최대한으로 발휘하여, 각 교과별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계발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 목적과 수용자에 맞는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프로그램을 직접 활용하는 교사와 학생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반영함으로써, 교육방송에 체제적 접근 개념을 적용하고 교육방송의 목표를 최대한 달성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에 연구의 필요성을 두고, 현행 EBS의 중학생 대상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전반적인 인식과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편성, 내용 구성 등에 대한 요구를 중심으로 조사 연구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서울시 교육청 지정 교육방송 시범학교인 서울 양동중학교와 경기도 교육청 지정 교육방송 시범학교인 남양주 덕소중학교의 남, 녀 학생 396명과 교사 116명을 설문 조사 대상으로 하여, 1992년 9월 25일 부터 10월 14일에 걸쳐,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활용 실태와 프로그램에 대한 흥미도, 난이도, 만족도 및 전반적인 견해, 프로그램의 편성에 대한 요구,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부실기재 된 설문지를 제외한 학생용 359부와 교사용 79부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조사에 의해 밝혀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 중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교사는 조사 대상의 38.0%였다. 이 중 남자는 63.6%, 여자는 28.1%로, 남자교사가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이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주로 시청하게 되는 때는 주로(70.4%) 자율학습시간이었으며 보통 수업시간 중에 활용하는 경우는 22.6%에 불과했다. 둘째,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수업에 활용하는 데에 대해 교사들은 57.1%가 업무는 증가했으나 바람직하고, 또 28.6%는 업무부담면에서 별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어,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활용할 필요가 있는 교과로, 교사는 과학, 영어, 사회, 미술, 기술, 음악, 국사 등의 교과순을 나타냈고, 학생은 영어, 과학, 수학, 사회, 국어, 국사 등의 순을 나타냈다. 세째, 수업 중에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교사들은 프로그램에 대해 평균 3.40(5점 척도)으로 보통 정도로 만족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73.3%가 간접적인 경험을 위한 풍부한 학습자료를 제공해 주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방송되고 있는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수업기여도에 대해서는 평균 2.73으로, 프로그램이 수업에 기여하는 정도는 보통 이하로 나타났다. 네째, 1992년 9월 한달동안 교육방송 채널에서 방송된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흥미도, 난이도,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교사는 흥미도의 평균이 3.51, 난이도는 2.75, 만족도는 3.48로 나타났다. 학생의 경우, 1학년은 3.33, 3.01, 3.28이고, 2학년은 3.25, 3.09, 3.10로 나타나, 보통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학교 학생 대상의 텔레비전 교육방승 프로그램의 바람직한 방영시간은, 현재와 같이, 6시에서 7시 사이에, 단위 프로그램당 20분씩, 총 40분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들의 사설 학원 수강이 보편화됨에 따라 7시 이후를 원하는 응답자들도 교사 50.7%, 학생 34.2%로 많은 비율을 나타냈고, 단위 프로그램 당 시간량과, 중학교 대상 프로그램의 편성 시간량이 늘어나기를 바라는 교사와 학생도 상당수 있었는데, 2학년의 경우에 시간의 증가를 바라는 경향이 더 컸다. 여섯째, 현재 방송되고 있는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 중 확대 편성되기를 바라는 프로그램으로 교사들은 영어회화, 지구촌의 다큐멘터리, 컴퓨터를 배웁시다, 인간과 과학 순으로 지적하였다. 학생들의 경우는 일요특선, 중1, 중2영어와 EBS가족극장, 컴퓨터를 배웁시다, 중1, 중2과학 등의 순으로 나타나 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가 높았다. 일곱째, 과목별로 적절한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성격으로 교사는 대체로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하거나 학교수업을 보완, 심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많이 원하고, 학생의 경우는, 국어는 교과서 중심의 프로그램, 영어는 지식 전달을 위한 프로그램들과 함께 흥미 중심의 프로그램, 수학은 요점정리와 문제풀이에 대한 요구가 가장 많았고, 사회와 과학, 기술은 구체적인 자료 중심의 프로그램을 많이 원했다.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구성형식으로, 교사는, 국어와 영어는 드라마가, 수학은 퀴즈나 게임이 가장 적절하고, 과학과 기술은 실험, 실습, 현장견학의 형식을 선호하고, 사회는 다큐멘터리가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학생의 경우에는 교사에 비해 만화, 퀴즈나 게임과 같은 흥미를 불러 일으킬 수 있는 구성형식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보다 흥미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과 관련하여 교사들은 각 교과에 따라, 국어의 경우 창의적 사고와 활동을 자극할 수 있는 내용, 영어는 언어에 대한 이해, 활용, 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 수학은 관심과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내용과 원리학습, 문제해결의 과정과 방법을 제시해 줄 수 있는 내용, 사회의 경우 국내외의 생활, 풍습, 사회제도 등의 이해를 위한 내용에 중점을 두고 구성되기를 바랐다. 과학과 기술 과목은 각각 관찰 불가능한 구조, 과정, 현장견학 등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과 실험, 실습, 관찰방법과 과정을 제시해 주는 내용이 적절하다는 견해가 나타났다. 여덟째, 현재 방송되고 있는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내용에 관한 만족도에 있어서 대체로 교수 학습 전략적인 측면에서는 보통에서 만족하는 사이로 나타났으나, 프로그램 제작 상의 질적인 수준이나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측면에서는 보통 이하로 나타나, 학생들의 교육방송을 통한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질적인 개선과 동기유발을 위한 전략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의 질적향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방송 프로그램은 계속적인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수용자의 요구를 수렴하여 제작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교육방송 프로그램은 가능한한 대상 수용자를 세분화하고 그 세분화된 수용자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켜 줄 때, 비로소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편성에 있어서 현재 편성된 국어, 영어, 수학 등의 과목들을 일정한 시간에 따라 나열하는 고정된 틀을 깨고, 교사는 과학, 영어, 사회, 미술, 기술, 음악, 국사 등의 순으로, 학생은 영어, 과학, 수학, 사회, 국어, 국사 등의 순으로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 활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수용자들의 요구와 텔레비전 방송 매체에 적합한 다른 교과들에까지 점차 방송 시간 할애의 폭을 넓히고 과목 간의 비중도 조정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이제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은 교과내용 위주의 단편적인 지식 전달 매체로서, 또는 대학입시를 준비하는 수단으로서의 문제풀이 프로그램의 단계를 지나서, 교수 자료나 학교 수업을 보완, 심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각 교과에 대한 흥미와 관점을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내용의 프로그램이 교과의 특성과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텔레비전 방송 매체의 장점을 십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넷째, 텔레비전 교육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활용을 확대하고 수용자가 만족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수용자의 요구에 따른 개선이 필요한데, 즉, 프로그램의 내용 전개가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자료가 보다 풍부하게 제공되어야 한다. 또, 핵심적인 내용을 요약, 정리하여 제시하고, 시청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어휘의 선택이나 학습량의 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하는 유도 전략이 마련되어야 하고, 프로그램의 질적인 면에서, 시각적인 화면 구성이나 영상과 음향의 질적 수준으 높이며, 출연자의 행동과 진행이 자연스럽고 친근하게 느껴질 수 있도록 고려되어야하겠다. 다섯째, 그러기 위해서는 충분한 제작비의 확충과 전문성의 개발이 필요하다. 일반방송들이 엄청난 제작비를 투입한 우수한 교양 제작물을 제작하여 방영함으로써 사회교육적인 영역을 확대해 가고 있음에도, 교육방송은 재정적인 어려움으로 이를 따라갈 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운영체제에 대한 연구 및 개선으로 재정적인 확충이 우선되어야 하고, 또한 우수한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제작, 기술 요원 및 연구원을 위한 전문 교육 및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성을 개발하여야 한다. 그리고 우선적으로는 방송 전문가인 제작진과 교육의 전문가인 연구진간의 협조로 상호보완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사와 학생 즉, 수용자들의 이해와 관심이 필요하다. 자신들의 요구와 맞지 않고, 교육현장의 여건이 다소 어렵더라도 꾸준한 관심과 신념으로 지속적으로 활용하며, 자신들의 요구를 제작자에게 표현하는 적극성이 요구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