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도시 생활 환경에 관한 지리적 고찰

Title
도시 생활 환경에 관한 지리적 고찰
Authors
김영주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a country has not been achieved until each and every person of the society enjoys the satisfactory life. Although our country achieved the rapid economic growth since the late of 1960's, on the contrary, the living environment became worse. Also, the preponderant regional development resulted in the difference in quality between cities.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qual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with 73 cities in 1990 and to compare the living environment between them. In order to measure the living environment of a city, 33 indicators of politics, economics, administration, education, culture, traffic, communication, health and sanitation are selected. The data are analyzed with the technique of the factor, the cluster and the Z-score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since the late of 1970's in which the percentage of cities in our country passed over 50 %, the number of cities have grown rapidly showing over 74 % currently in 1990. However, about 40 % of new cities have the population of less than 100,000 and almost of them were raised in status of cities after 1980. The average rate of increase in population of cities are three times as fast as that of whole country. The reason is that many people moved into cities since the major national land development were cultivated in the urban area. Secondly, the major differences between cities which are determined by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are the number of parks, the number of college students, the number of markets, the number of parking lots,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the leathal traffic accidents. However, it is shown that there is relatively no difference between cities in the removal of refuse, the number of elementary students per teacher, the pavement of road and the water supply facilities. Thirdly, 6 key factors are extracted from 33 variables after the factor analysis. The basic facilities of cities, financial administration, medical and cultural facilities, housing facilities, education and communication, which stand for the housing environment and the public welfare, show the different spatial distribution, respectively. Fourthly, after the cluster analysis by the factor score, cities are broke down into 8 groups. Seoul and Gwachun are broken down separately and these two cities show the uniqueness in the living environment, respectively. The other cities are grouped together showinng the similar character in each factor score. Fifthly, with the Z-score of 33 indicators including the weighted 5 indicators (the welfare facilities, the removal of refuse, the number of parks, the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crimes which are selected by the questionaire) all cities are ranked in order. Jinju, Iri, Mokpo, Andong, Seoul, Jangseungpo and Namwon are ranked the first through the 7th from the top. On the other hand, Mikeum, Buchun, Siheung, Kwangmyoung, Hanam and Kuri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well as Yeochun and Onyang in the local area are shown to be in very inferior living environment. Most of these cities are the ones which show the rapid rate of increase in population. Kuri is shown to be in the poorest living environment.; 한 나라의 바람직한 발전은, 경제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그 사회에 속한 개개인이 만족스러운 삶을 유지해 나갈 때 비로소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는 1960년대 말 이후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 이에 비해 생활 환경은 오히려 악화되었고 또한 성장 위주의 편중된 지역 개발로 지역간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1990년 현재 전국 73개 도시를 대상으로 생활 환경의 질을 연구 분석하고 각 도시간의 생활 환경을 비교 고찰해 보고자 한다. 도시의 생활 환경을 측정하기 위해서 정치, 행정, 경제, 교육, 문화, 교통, 통신, 보건, 위생 등 도시 생활 환경 전반에 걸쳐 33개의 지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변동 계수를 알아보고 요인 분석과 군집 분석, 그리고 표준화 점수(Z-Score)등을 이용하여 연구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의 도시화 과정은 1970년대 후반 도시화율이 50%를 넘은 이래고 1990년 현재 74% 이상을 나타내며 매우 급속히 진해되고 있다. 또한 이들 도시의 약 40% 이상이 인구 10만 이하고 대부분 1980년 이후에 승격되었고, 시 평균 인구 증가율이 전국 평균 인구 증가율의 3배에 달하는데, 이것은 지역 개발이 주로 ‘시’급 이상의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많은 인구가 도시로 유입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변동 계수를 통해 33개 지표의 도시간 차이를 알아본 결과 도시 공원율, 전문대 이상 학생 비율, 시장 비율, 주차장 보급률, 인구 밀도, 교통 사망률 등의 지표에서는 심한 불균형을 나타낸 반면, 쓰레기 수거율, 교원 1인당 초등학교 학생수, 도로 포장률, 상수도 보급률 등의 지표에서는 비교적 평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인 분석 결과 33개의 변수에서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도시기반 시설, 금융 행정, 의료 및 문화, 주거 환경, 교육 및 통신, 주거 편의 및 복지의 성격을 나타내는 각 요인들은 각각 상이한 공간 분포를 보였다. 넷째, 요인 점수에 의한 군집 분석 결과, 각 요인 점수에서 유사한 성격을 보이는 도시들이 8개의 군집으로 묶였고, 서울과 과천은 각각 개별 분류되어 생활 환경면에서 그 성격이 특이함을 보였다. 다섯째, 33개 지표 - 그 중에서 복지 시설, 쓰레기 수거율, 도시 공원율, 인구 밀도, 범죄 발생율 등 5개 지표는 설문지를 통해 가중치를 두었다. -의 표준화 점수(Z-Score)로 전체 도시에 순위를 부여한 결과, 진주·이리·목포·안동·서울·장승포·남원 등이 1위에서 7위의 상위 도시들로 구분되었다. 반면에 수도권 위성 도시인 미금·부천·시흥·광명·하남·구리시와 지방의 여천·온양시 등이 생활 환경이 매우 열악한 도시로 하위의 순위에 구분되었는데, 이들 도시 대분분이 높은 인구 증가율을 보였다. 또한 구리시는 73개 도시 중 가장 생활 환경이 불량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