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연복-
dc.creator이연복-
dc.date.accessioned2016-08-25T10:08:49Z-
dc.date.available2016-08-25T10:08:49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otherOAK-0000000556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851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5685-
dc.description.abstract지금까지 테크노폴리스 개발효과에 관한 논의는 테크노폴리스 자체의 개발과 관련된 양적인 측면의 분석이 중심이 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는 지역 개발 전략인 테크노폴리스 개발이 실제 지역 주민에게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문제제기조차 하지 않는 경향을 지녔다. 이에, 본 논문은 테크노폴리스 개발이 지역 사회에 미친 영향을 지역 공동체 형성에 초점을 두고 밝혀 보고자 했다. 사례 연구 지역으로는 우리나라의 테크노폴리스라고 할 수 있는 대덕 연구 단지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심층 면접과 함께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된 발견점은 대덕 연구단지의 지역사회는 연구원들이 본격적으로 입주하면서 원주민 집단과 같은 지역에 공존하는 시기를 거쳐서 점차 이 두 집단이 단절화되고 분리되는 과정을 보였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대덕 연국단지내 연구원 집단과 원주민 집단은 물리적인 구조, 인구학적·계층적 구조, 생활 양식과 의식면에서 뚜렷한 분절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결과를 가져온 원인중 하나는 대덕 연구단지의 개발정책이 연구원들을 확보하는 것에만 초점이 맞추어졌고, 지역 원주민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없었던 것에 있었다. 연구원들의 유입을 기존 지역사회에의 침입으로 가정하고 이에 따른 지역사회 공동체의 변화 양태를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대덕 연구단지에서는 연구원들이 정착을 꺼렸던 초기에는 연구원들이 자신들의 공동체마저도 형성하지 못한 상태였다. 그러나, 연구원 집단이 점차 중대하고 원주민들이 재정착 지역으로 이전하기 전까지는 공존하면서 하나의 공동체로 융합될 기회가 있었던 것으로 생각되나, 두 집단 모두 사회적인 거리감으로 하나의 지역사회 공동체를 형성하지는 못했다. 점차 연구원들의 정착이 많아지고, 대덕이 연구단지의 성격을 확고히 해가는 과정에서는 원주민의 지역 공동체와는 별개의 연구원 공동체가 형성되어지고 있었고, 이것은 침입의 요소로 가정했던 연구원들이 유입이 기존 지역 사회에서 원주민들을 압도하는 상황이다. 결국, 고학력 외지인의 침입으로 인해서 결과될 수 있는 지역사회 공동체의 유형중에서 분절적인 지역사회를 형성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국가 정책이 사회에 미친 효과 중에서 테크노폴리스 개발로 지역사회에 미친 질적인 면의 분석을 시도했다는 점과 둘째 도시 사회학의 측면에서 고학력 외지인의 유입이 기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밝힌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지역사회의 질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춘 결과 테크노폴리스 전체의 거시적인 차원의 분석과 연결이 미흡한 점과 둘째 지역 사회 공동체의 유형을 사례의 수준에서 검토함으로써 일반화가 어려운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Discussions on Technopolis development have mostly been focused upon it's technical and instrumental aspects and upon quantitative analysis. The impact on the local residents and the community has been negelected. This paper intends to study the impact of Technopolis on the local community. Daeduck Science Town, the largest Technopolis of Korea, was selected as the ca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questionnaire servey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there has developed two seperate sub-communities within the local society as researchers' families moved in and settled down in the formerly rural community. Researchers and original residents, forming two segregate communities, live side by side with no commonality except that they live in the same geographical area. In consequence Daeduck Science Town has a segregate structure in terms of physical environment, class, and life style. This segregate structure was gradually formed : after a period of coexitence with some personal interations, since 1990 there two groups have became totally segregated, to the extent that the schools where the children of the two groups are segregated. One of the reason for this consequential segregation was that the technopolis polices contained no concern about the original residents, who in the process of the technopolis development, were relocated at the fringe of the Town. In sum, the technopolis policy had nothing to do with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society from the original residents' point of view : The new facilities were all for the new commers, who do not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local area or the local people. Moreover, there was none who are satisfied with the current state of the technopolis.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cannot be extended to claim grnerality, since it was a case study, However, this study has two implications; practically, it reminds us that the technopolis as a regional development plan can achieve its goal only when it takes into account the impact upon the local society and community; and, theoretically, it reveals one of several patterns of the change of a local society caused by the invasion of a large groups of homogeneous, but not congenial to the original residents, peop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 1 2. 연구 방법및 절차 = 4 Ⅱ. 전제적 논의 = 9 1. 지역 개발과 테크노폴리스 = 9 2. 테크노폴리스와 지역사회의 변화 = 13 Ⅲ. 본론 = 20 1. 대덕 연구단지의 설립 배경 = 20 2. 분절적 사회구조 = 28 1) 분절적 사회 구조의 현황 = 28 A. 물리적 구조 = 28 B. 인구학적·계층적 구조 = 33 C. 의식 및 생활 양식 = 41 2) 분절화 과정 = 62 A. 제 1단계:연구원들과 원주민들의 공존기(1979-1990) = 62 B. 제 2단계:분리기(1990년대 이후) = 70 3. 토의 및 소결 = 74 Ⅳ. 결론 및 요약 = 79 참고문헌 = 83 ABSTRACT = 86 부록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3136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dc.title테크노폴리스 개발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dc.format.page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199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